메뉴 건너뛰기

close

▲ 미군기지확장반대평택대책위 회원들이 평택 미군기지 확장 예정터 앞에서 "성토공사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 문만식

@BRI@미군기지확장반대평택대책위(평택대책위⦁상임대표 이은우) 회원과 지역 주민 등 30여명은 15일 오전 팽성읍 내리 검문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방부의 성토공사 중단을 촉구했다.

평택대책위는 회견문을 통해 "이미 내리·동창리 일대 주민들은 비산먼지와 진동, 토사운반 덤프 차량으로 인해 고통을 받고있다"며 "그런데도 정부는 형식적인 세륜 시설과 방진막만을 설치한 채 공사를 강행하고 있다"고 규탄했다.

국방부는 지난 2월 21일부터 미군기지 확장 예정터인 대추리, 도두리 일대에 수도군단 2개 공병중대를 동원해 성토공사를 위한 공소용 도로 개설을 시작했다.

대책위는 확장 예정부지 285만평에 최소 2.6m 두께를 성토하는 데는 15톤 트럭 260만대 분량의 흙이 들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평택 덕동산 규모의 야산 180여개가 사라질 정도의 규모다.

이에 대해 대책위는 ▲대규모 생태계 파괴 ▲평택호 수질오염 ▲비산먼지 대량 발생 ▲토사운반 차량으로 인한 교통안전 문제 등을 위험 요소로 꼽고 있다. 따라서 성토공사에 반대하는 여론 조성은 물론 오는 4월말까지 시민감시단을 조직해 일상적인 감시 활동을 벌인다는 계획이다.

대책위는 "미군기지 성토공사는 LPP-용산기지협정에 포함되지 않았다가 2005년 11월 주한미군이 요구하면서 갑작스럽게 이루어진 위법적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성토공사는 공사현장 주변 뿐만 아니라 토취장 인근 지역이나 토사운반차량이 지나는 지역까지 연쇄적인 환경대란에 빠뜨릴 것"이라며 "주민들의 고통은 물론 협정위반과 예산낭비, 환경대란을 초래하는 성토공사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 주민들의 민원이 발생한 뒤 평택 미군기지 확장 예정터 공사현장에 설치된 세륜 및 방진시설. 평택대책위는 이 시설들이 매우 형식적이라고 비판했다.
ⓒ 문만식
한편 주한미군기지이전사업단은 대책위의 '브리핑 요청' 공문에 대해 회신하면서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한 결과 기지이전 예정부지 내 보호대상 야생동물 보호, 공사시 소음 및 진동 저감, 토양오염 방지 등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본격적인 공사가 시작되면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브리핑 요청에 대해서는 "시설종합계획(MP)을 확정해 언론을 통해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고 거부했다. 이에 대해 이은우 대책위 상임대표는 "국방부가 지역 주민과 협의하려는 자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며 "기지 이전을 일방적으로 강행해 해당 지역 주민에게 고통을 준 폭력적인 행태를 반복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기지공사 주변 마을의 분위기도 술렁거리고 있다. 당장 주민들을 괴롭히는 먼지나 소음 탓이 아니다.

도두리 주민 김치성(56)씨는 "성토공사로 막대한 피해가 예상된다, 특히 도두1리 주민들은 3m 가량 성토가 이루어질 경우 마을 자체가 물에 잠길 수 있다는 불안감에 사로잡혀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도두리와 본정리 등 인근 마을 주민들은 지난해 말 '팽성주민자치위원회'를 구성한 뒤 이달 초 총회를 여는 등 기지공사로 인한 피해에 대응하기 시작했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