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책본부에 항의하는 자원봉사자들(왼쪽)과 돌아가는 지원 차량. 그 옆으로 쌓이는 폐기물을 한 대의 차량이 운반하고 있어 쌓이는 폐기물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었다.
 대책본부에 항의하는 자원봉사자들(왼쪽)과 돌아가는 지원 차량. 그 옆으로 쌓이는 폐기물을 한 대의 차량이 운반하고 있어 쌓이는 폐기물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었다.
ⓒ 신문웅

관련사진보기


사고 발생 9일째를 맞고 있는 태안 기름유출사고가 범정부적인 특단의 조치가 내려졌음에도 불구하고 복구 현장에서는 여전히 법령 타령 등으로 피해 복구를 더디게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15일 오후 복구 작업이 한창 진행 중인 소원면 의항리 대책본부 앞에서는 몇 명의 자원봉사자들이 관계 공무원들에게 강하게 항의를 하고 있었다.

경기도 남양주에서 자원봉사자 30명과 대형 지게차를 가지고 봉사를 하러왔는데, 폐기물을 수거하는 방제조합에서 "지게차는 할 일이 없으니 다른 곳으로 가라"고을 요구하면서 언쟁이 벌어진 것.

“최근 보도에 자원봉사자들이 수거한 수천톤의 폐기물이 수거가 안 된다기에 하루 일당 50만원을 포기하고 내 돈으로 기름을 넣어 이 곳까지 왔는데 방제조합에서 자신들의 일감이 줄어든다며 필요가 없다니 말이 됩니까. 저기 저렇게 폐기물을 처리도 못하면서요.”

자원봉사자가 분통을 터트리고 있었다. 실제 이 현장에서는 지게차 하나가 절실한 실정임에도 방제조합의 거부로 빈 차로 돌아가고 있었다.

자원봉사자들의 손길이 해양 생태계에도 희망을 주고 있다. 의항리 해변에서 기름낀 돌 틈에서 작은게가 살기 위해 힘들게 움직이고 있었다.
▲ 이 작은 게가 살수 있을까 자원봉사자들의 손길이 해양 생태계에도 희망을 주고 있다. 의항리 해변에서 기름낀 돌 틈에서 작은게가 살기 위해 힘들게 움직이고 있었다.
ⓒ 신문웅

관련사진보기


문제는 이것만이 아니다.

이 때문에 지난 13일 지역주민들은 효과적인 제거 작업을 위해서는 일부 소나무를 베고 길을 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환경부에 전화를 걸어 사정을 호소했다. "전 지역에서 동시에 제거 작업을 하지 않으면 청소한 해변에 또 다시 기름이 몰려들 것"이라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었다.

환경부의 허가를 받은 주민들은 소나무를 베고 길을 내려 했으나 국립공원 직원들이 나와서는 사진을 찍고 "적법한 절차를 밟아서 일을 하라"며 작업을 중단시켰다. 이후 주민들이 강력히 국립공원과 태안군에 항의를 하자 뒤늦게 양 기관이 협의를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주민 이모씨는 "대통령이 특단의 조치를 지시했지만 현장에서는 이러한 일들이 자주 일어나고 있다"며 "법령 타령에 죽어가는 태안반도 해안은 언제 살릴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피해를 입은 어민들과 중소기업을 위해 지원하기로 한 3000억 원에 대해서 ' 좋은 개살구'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이 자금을 지원받기 위해서는 행정기관의 사고확인서를 발급받아 금융기관에 신청해야 하지만, 금융기관에서 신용대출이 아닌 담보대출을 할 것으로 알려져 이 자금을 받을 주민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지역 금융기관 한 관계자는 "농업신용보증보험이나 기술신용보증기금에서 보증을 안 해줄 경우 정부가 당연히 담보대출로 집행할 수밖에 없는 실정인데 아직 지침상 기금에서 보증을 하겠다는 지시가 없다"고 말했다.

이러한 상화에서 특별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은 극히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 지역에서는 '대규모 펜션 등 담보 설정이 가능한 일부 업체에서는 1~3%의 정기 저리 자금을 받아 현재 7~10%대의 대출금을 갚을 수 있다'는 얘기도 나돌고 있다.

이처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가 되고 대통령이 방문해 모든 조치를 다해 피해 복구를 지시했지만 현장에서는 아직도 효율적인 복구와 피해 주민들에 대한 대책이 겉돌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태그:#태안반도 기름유출, #특별재난지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지방자치시대를 선도하는 태안신문 편집국장을 맡고 있으며 모두가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