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신호 교육감 취임 2년째를 맞는 대전시교육청의 정책점수가 '낙제점'을 받았다.

 

전교조대전지부(지부장 전양구)는 지난해 11월 12일부터 24일까지 대전 시내 초중고교 150개교 교원 4453명을 대상으로 '대전시교육청 교육정책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 그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대전지역 교원들은 '지난 2년간 대전시교육청의 교육시책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점수를 매긴다면'이라는 질문에 '낙제점'인 평균 56.4점을 주었다.

 

대전 지역 교육계의 최대 과제이며 김신호 교육감의 최우선적 공약사항인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에 관한 정책(e-러닝 선도학교 지정, 경력교사 균형배치, 학력신장 T/F팀 운영 등)'의 실효성을 묻는 질문에는 '도움이 되었다'는 평가는 19.7%인 반면,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평가는 29.7%로 나타났다.

 

여기에 무려 50%의 교사들은 '그저 그렇다'고 답해 교육격차해소 정책이 현장교사들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학업성취도평가 결과를 시교육청에서 일괄적으로 채점하여 통지하는 것이 학교 간 경쟁을 심화시키고 사교육비를 증가시킨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그렇다'는 답변이 44.4%로 '그렇지 않다'는 답변 25.1%보다 압도적으로 많이 나왔다.

 

또한 '학력신장 페스티발, 수업혁신 114운동, TOP Class 운영제 등 대전교육청의 학력신장 추진계획이 학력신장에 도움이 되느냐'는 질문에는 24.5%만이 '도움이 된다'고 답했고, 38,8%는 '그러 그렇다', 33,5%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답했다.

 

전국 대부분의 시도에서 제정하고 있는 '학원교습시간 제한에 대한 조례'를 제정하고 있지 않는 방침에도 부정적 의견이 많았다. 19.5%의 교사만이 '시교육청의 방침이 합당하다'고 답했고, 54.7%의 교사는 '합당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김신호 교육감이 호주를 방문한 뒤 야심차게 추진하다가 시민단체와 학부모들의 반발을 샀던 '호주 어학연수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45.7%가 '적합하지 않다'고 답했고, '적합하다'고 답한 교사는 24%에 그쳤다.

 

이 밖에도 '교육재정의 미확보로 서남부권 학교 설립을 유보하겠다는 시교육청의 방침이 타당 하느냐'는 질문에 13%의 교사만이 '타당하다'고 답했고, 66.6%의 교사들이 '타당하지 않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대전 지역 현장 교사들은 대전시교육청의 정책에 대해 대부분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점검과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전교조대전지부 관계자는 "이러한 결과는 전체 현장교사 3분의 1일 참여한 엄정한 평가로서, 시교육청은 왜 이렇게 부정적인 결과가 나왔는지를 냉철하게 분석해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어떠한 정책도 현장 교사들의 지지를 받지 못하면 성공할 수 없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태그:#대전시교육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향나무는 자기를 찍는 도끼에게 향을 묻혀 준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