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인간의 욕망인 관음증과 노출증을 무대라는 막을 통해 이색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광경
▲ 인간의 욕망을 표현해 낸 광경 인간의 욕망인 관음증과 노출증을 무대라는 막을 통해 이색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광경
ⓒ 김용한

관련사진보기


인간 내면에 깊숙이 내재되어 있는 관음증, 노출증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골방안 사람들'이 안무자 신미영씨에 의해 지난 11일 봉산문화회관(대구광역시 중구 봉산동) 소극장에서 열렸다.

성(性)에 대한 호기심, 인간 내면의 세계에 숨어있는 인간의 끝없는 욕망을 무용이라는 표현수단으로 나타내 눈길을 끌었다.

"관객과 호흡하는 안무자가 되겠다"는 신미영씨.
▲ 안무자 신미영씨 "관객과 호흡하는 안무자가 되겠다"는 신미영씨.
ⓒ 김용한

관련사진보기

안무자 신미영씨는 "제가 가장 관심 있는 부분이 인간의 심리를 무용에 접목시키는 부분이다"고 설명하면서 "쉽사리 꺼내기 어려운 성에 대해 재미있게 엮어보고자 이번 무대를 준비했다"고 말했다.

신미영 무용수를 비롯한 정진우, 강현욱, 권승원, 최민금, 송은정 무용수들이 인간 내면 속의 본성(노출증, 관음증)에 대한 심리적인 면을 몸짓으로 표현해 내 눈길을 끌었다.

어둠 속에 후레쉬가 비춰지고 그 누군가가 남을 훔쳐보는 것을 만족스러워하는 대사 전달로 무대는 열린다.

남성 무용수들은 그 무엇인가를 훔쳐보는 동작을 표현해 주었고 여성 무용수들은 남성의 내면속에 숨겨져 있는 관음증을 끄집어내는데 주력했고 여성 무용수들은 치마를 들 춰 보이는 동작으로 성에 대한 표현을 극대화시켰다.

첫날 공연에는 무용을 전공하는 학생들과 중. 고등학교 학생들이 객석의 자리를 메웠다. 무용수들의 대사 전달이 우스웠던지 킥킥거리며 웃음을 자아낸다.

인간 내면에 깊숙이 자리잡고 있는 관음증을 표현해 내고 있다.
▲ 관음증을 표현하고 있는 광경 인간 내면에 깊숙이 자리잡고 있는 관음증을 표현해 내고 있다.
ⓒ 김용한

관련사진보기


관음증과 노출증을 적절하게 조화하여 표현해 내고 있는 광경
▲ 여자의 노출증과 남성의 관음증 관음증과 노출증을 적절하게 조화하여 표현해 내고 있는 광경
ⓒ 김용한

관련사진보기


검은 천을 통해 인간의 관음증을 표현하고자 했던 신미영 안무자의 의도가 제대로 맞은 것인지 관객들은 연실 웃음보를 터뜨린다.

무용 공연을 관람한 공자경씨는 "다른 현대무용은 지루한 면이 많은데 이번 공연은 재미있었던 것 같다"고 칭찬하면서 "공연이 재미있는 반면 주제에 대한 의미전달이 약해 아쉬웠다"고 말했다.

무용을 전공한 박준영씨는 "표현하기 어려운 성의 문제인 관음증, 노출증에 대해 조화롭고 재미있게 표현한 것 같다"고 하였다.

직접 무대에 올라 공연을 펼친 권승원 남성 무용수도 "안무자의 의도에 맞게 몸과 얼굴로 성의 문제를 표현한다는 것이 처음에는 쉽지 않았는데 거듭된 연습을 통해 익숙해 진 것 같다"고 설명했다.

권씨는 "안무자가 표현하고자 한 인간내면의 심리묘사나 성의 문제에 대한 시각 등에 대한 시도,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돋보인 것 같다"고 격려했다.

마지막 동작을 하는 것으로 성을 소재로 한 무용극은 막을 내린다.
▲ 앤딩 광경 마지막 동작을 하는 것으로 성을 소재로 한 무용극은 막을 내린다.
ⓒ 김용한

관련사진보기


▲ <골방안 사람들>의 한 장면 <골방안 사람들>의 한 장면
ⓒ 김용한

관련영상보기


안무자 신미영씨는 "삶에서 흔하게 느끼는 해프닝일지라도 관객과 함께 호흡할 수 있는 작품을 만들고 싶다"고 강조하면서 "예술로도 가치를 인정받고 대중성으로도 성공할 수 있는 그런 작품을 만들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인간의 내면에 숨겨진 성을 주제로 다룬 '골방안 사람들'은 오는 12일 저녁 7시 봉산문화회관 소극장에서 한 차례 더 무대 공연을 펼칠 예정이다.

덧붙이는 글 | 신미영의 <골방안 사람들>은 2008대구시 공모사업 젊은예술가 창작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펼쳐진 공연이다. 공연 이용요금은 10,000원이다. 봉산문화회관은 반월당 근처 봉산 미술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태그:#신미영, #관음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모든 사람이 기자가 될 수 있다"는 말에 용기를 얻고 글을 쓰고 있습니다. 우리가 바로 이곳의 권력이며 주인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