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우리나라 전역에서 문화재를 아끼는 마음이 가장 두드러진 곳은, 당연히 괴산군이라는 생각이다. 괴산군의 문화재 중 몇 기의 탑들은 원래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던 것을, 주민들이 찾아내 복원을 시킨 것이다. 그 중 한 기가 괴산군 청안면 효근리에 소재한, 보물 제1299호로 지정이 된 보안사 삼층석탑이다.

 

보안사 3층 석탑은 옛 보안사 경내의 북쪽 담장 곁에 무너져 있던 것을, 1957년 주민들이 찾아내 복원을 하였다고 한다. 이 보안사 석탑은 단층기단 위에 3층의 탑신으로 조성되어 있다.

 

자연석으로 지대석을 삼은 보안사 석탑

 

 

 

보안사 삼층석탑은 딴 탑과는 다른 면이 있다. 지대석을 가공한 돌로 사용한 것이 아니고, 자연석을 그대로 이용하였다는 점이다. 자연석의 중심부에 네모나게 홈을 내어 그 위에 단층 기단을 세웠다. 기단은 4면에서 면석을 합하여 단층 기단부를 형성하고, 그 위에 삼층의 탑신을 올렸다.

 

자연석을 이용한 지대석은 4각형이지만 한 쪽 면은 각이 없다. 지대석은 위만 지면으로 솟아오른 형태이고 나머지는 모두 땅에 묻혀있어 원래 이 자리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기단부는 동쪽면의 상단부가 깨어져 있으며, 기단부 면석은 금방이라도 무너져 내릴 듯 많은 금이 가 있다.

 

 

인근에 있는 보안사 경내를 벗어나 도로변으로 나오다가, 좌측으로 들어가면 커다란 느티나무가 있다. 이 느티나무 옆에 삼층석탑이 서 있는데, 현재는 집의 울타리 안에 자리하고 있다.

 

탑신부에 조성한 감실 

 

 

전체높이 325cm 정도의 이 삼층석탑은 기단 면석에는 우주를 모각하고, 별도의 조형이 없는 갑석을 올려놓은 후, 그 위에 삼층의 탑을 조성했다. 일층의 탑 몸돌 남쪽면 중앙에는 12☓9cm 정도의 방형 감실이 조성되어 있다. 1층의 몸돌에 비해 2, 3층의 몸돌은 급격히 작아졌으며, 옥개석은 둔하게 조성되어 있다. 낙수면은 급하게 떨어지며 일층 옥개받침은 3단, 2,·3층의 옥개받침은 2단이다.

 

탑을 조성한 양식 등으로 보면 이 석탑은 고려 후기의 석탑으로 추정되며, 탑신부에 감실이 조형된 형태는 특히 충북지역에서는 보기 드문 모습이다. 상륜부는 노반석 만이 남아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각 면이 많이 닳아진 모습이다.

 

 

마을의 주민들이 흩어져 있던 것을 보아 복원을 하였다는 보안사 삼층석탑. 석탑을 보호하는 보호철책 안에는 술병이 놓여있고, 감실이 있는 일층 몸돌 앞에는 정화수 그릇이 있는 것으로 보아, 누군가 이곳에서 치성을 드렸나 보다. 비록 둔탁한 형태로 보존이 되어 있긴 하지만, 보물로 지정 될 만큼 나름대로의 특징이 있어보인다.


태그:#보안사, #삼층석탑, #보물, #재1299호, #괴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