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홍수 등 폭우 피해가 우려되는 7월, <매일신문>과 <조선일보>는 7월 첫날 각각 4대강 공사로 강변에 방치되어 있는 준설토(강 바닥에서 파낸 흙과 자갈) 문제를 진단했습니다. 하지만 두 신문의 접근방식은 180° 달랐습니다.

 

<조선일보>는 국토해양부에서 발표한 자료를 그대로 믿지 않고 확인 취재를 통해 정부 측 오류를 진단하고, 준설토 처리가 늦어지는 이유, 실험을 통해 이 흙과 자갈로 인해 발생할 피해 대책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반면 <매일신문>은 장마철 대비해 준설토 유실 우려가 있다는 문제의식은 동일했지만, 국토해양부가 제공한 경상북도 자료를 확인 절차 없이 그대로 인용하고, 공사 현장 담당자들의 말만을 인용 '괜찮다'고 결론 내리고 있습니다.

 

우리 지역 문제를, 지역신문이 아니라 전국일간지를 통해서 찾아야 하는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국토부 자료 '오류' 밝힌 <조선일보>, 받아 쓰는 <매일신문>

 

<조선일보>는 7월 1일 1면과 5면을 통해 <4대강 준설토 비상>, <준설토 적치장 확보 늦어져 … 폭우땐 오염된 흙 흘러들어 우려>, <준설 효과 실험해 보니, 수위 0.6~1m 낮아져 점람위험은 줄었지만, 준설토 방치땐 큰 피해>, <홍수기 앞두고 비상 걸린 4대강 공사 현장>을 다루고 있었습니다.

 

<4대강 준설토 비상>, <준설토 적치장 확보 늦어져… 폭우땐 오염된 흙 흘러들어 우려> 등의 기사를 통해서는 국토해양부가 발표한 자료의 오류를 현장 취재를 통해 오류를 지적하고 있었습니다.

 

기사에 따르면 "정부는 올 3월 발표한 '4대강 수해방지 대책'에서 "홍수기에 대비해 둔치에 임시 적치한 준설토를 홍수기전에 하천 밖으로 모두 치울 것'이라고 밝혔지만, <조선일보> 취재결과 6월 30일 현재 20t 덤프트럭 수십만대 분량의 준설토가 하천 둔지에 쌓여있었다고 합니다.

 

또한 국토해양부 소속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가 농경지 리모델링 부지나 골재 적치장 등으로 옮기지 못한 '미처리 준설토'는 전국 64대 공구 중 11개 공구에서 총 276만㎥(6월 24일 기준)이라며, 이 준설토는 6월 30일까지 모두 하천밖으로 반출된다"고 주장했지만, "4대강 본부가 '임시 적치된 준설토를 모두 치웠다'고 밝힌 53개 공구 가운데 20여개 공구를 <조선일보>가 취재한 결과, 그 중 5개 공구에서 115만 5000㎥의 준설토가 하천 둔치에 적치된 사실이 추가 확인되었다"는 것.

 

준설토 처리 늦는 이유 밝힌 <조선>, 괜찮다 <매일>

 

뿐만 아닙니다. <조선일보>는 준설토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는 이유를 꼼꼼하게 체크하고 있다. 주요 원인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긴밀한 협조가 부족한 탓에다, 시공사들이 공정률을 맞추느라 홍수기가 시작된 뒤에도 계속 준설작업을 하기 때문이라는 것인데요.

 

준설토를 쌓아둘 적치장 마련과 골재 매각, 농지 보상 및 리모델링 등을 담당하는 곳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인데, 이것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인데요.

 

사실 지방자치단체도 죽을 맛(?)일 것입니다. 정부가 공사기간을 맞추라며 지방자치단체에 빨리빨리를 요구한 탓에, 구미시에서 문화재지표조사도 제대로 하지 않을 채 준설토 적치장을 선정했다가 문화재가 발견, 준비 비용 7억을 날리기도 했고(매일신문 6월 9일), 구담보 공사현장에선 지방자치단체와 절차와 합의도 없이 시공사가 주민들의 동의만 받아 준설토를 농지리모델링에 사용, '묻지마 공사'라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경북일보 6월 14일).

 

이외에도 몇 가지 더 있을텐데요.

 

낙동강 일부 공구, 임금 20억 체불로 공사중단

 

<조선일보> 기사에선 볼 수 없지만, 최근 <한겨레>에서 보도한 바에 따르면, 낙동강 달성보 공사구간에선 '임금 20억'이 체불되어 공사가 중단되는 사태까지 빚어지고 있는 것이죠.

 

문제의 핵심은 무리한 공사 일정, 무리한 추진, 그리고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백만가지 갈등요소 및 우려 상황에 대한 위기대처 매뉴얼이 전혀 없는 정부 측 책임이 큽니다.

 

현장은 부글부글 끓고 있지만, 정작 지역언론은 <매일신문>은 '괜찮다'는 말만 되풀이 하고 있습니다. <매일신문>도 1일 1면과 3면에 <낙동강 사업, 장마철 비상>, <"장마 오기 전에 끝내라" 가물막이 철거 밤새 꽝꽝>을 통해 낙동강에 쌓여있는 준설토가 비로 인해 유실되면 하천 오염의 우려가 있다는 내용을 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기사 앞부분에만 제시된 내용이고, 기사 뒷부분과 3면 기사를 통해 '괜찮다', '충분히 대비하고 있다'는 경상북도, 정부 측, 공사 현장의 이야기를 상세하게 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용하는 대부분 자료도 경상북도 측에서 제공한 자료를 토대로 작성했을 뿐, 확인 취재는 없습니다.

 

공사현장에 방치된 준설토가 위험한 이유에 대해 <조선일보>는 "준설토에 포함된 각종 유해물질(중금속 제외)이 수질을 오염시키고 강물을 정수 처리하는 과정에서 클로로페놀 같은 독성물질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강에서 파낸 흙의 양만큼 강의 '물그릇'이 커져 홍수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는 4대강 추진본부 관계자 측 이야기와, "제방 안쪽에 준설토가 쌓여 있으면 홍수기에 이 구간에서 물 흐름이 막히는 '병목 현상'이 발생해 홍수 위험이 커진다"는 4대강 사업 반대론자의 이야기를 제시하고, 독자의 판단을 묻고 있습니다.

 

하지만 <매일신문>은 영남대 이순화 교수의 입을 빌어 "8월 태풍이 닥칠 경우 저지대 침수, 준설토 유실 등의 가능성이 높다. 대형 태풍이 지나가면 보 구조물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는 전하고 있지만, 그 뒤를 이어 경상북도, 국토해양부 관계자들, 공사 현장 인사들이 "그걸 방지하기 위해 열심히 일하고 있다"는 해명성 내용을 훨씬 많이 편집하고 있습니다.  

 

<매일신문> 관계자들에게 묻습니다. 4대강과 관련된 <매일신문>의 기사방향은 정부 측 주장을 시민들에게 전달하기 위함입니까? 아니면 이 사업 강행사업으로 지역 곳곳에서 생채기가 나고 있는데, 이 현장의 목소리를 청와대에 전달하기 위함입니까?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미디어오늘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 글쓴이는 참언론대구시민연대(www.chammal.org)  사무국장입니다. 


태그:#4대강, #낙동강, #조선일보, #매일신문, #준설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