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마애불을 조각하기에 적합지 않은 바위면에 소물로 조각한 마애불이 빼곡 들어차 있다
▲ 마애불상군 마애불을 조각하기에 적합지 않은 바위면에 소물로 조각한 마애불이 빼곡 들어차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마애불을 새기기에 적합하지도 않은 바위. 온통 울퉁불퉁하여 조각을 한다는 것 자체가 힘이 들 듯하다. 거기다가 마애불을 조성한 아래로는 가파른 수직에 가까운 비탈이다. 그 밑으로는 물이 흐르고 있다. 어떻게 이런 곳에 마애불을 조성한 것일까? 그것도 한두 구가 아닌 30여 구에 이르는 마애불을.

경남 유형문화재 제209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경남 산청 도전리 마애불상군은 산청군 생비량면 도전리 '부처덤'이라 불리는 구릉 남쪽의 자연석 암벽에 새겨진 것이다. 현재 약 29구가 남아 있으며, 이들은 울퉁불퉁한 암벽에 4층으로 줄을 지어 새겨놓았다. 1층 14구, 2층 9구, 3층 3구, 4층 3구 등으로 배치되었고 크기는 30㎝ 내외의 소불 형태이다.

산청군 생비량면 도전리에 소재한 마애불상군을 음각한 바위. 마애불을 새기기에 적한한 곳이 아니다
▲ 바위면 산청군 생비량면 도전리에 소재한 마애불상군을 음각한 바위. 마애불을 새기기에 적한한 곳이 아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작은 소불로 조각한 마애불들이 29구 정도가 새겨진 바위면
▲ 바위 작은 소불로 조각한 마애불들이 29구 정도가 새겨진 바위면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뛰어난 조각술, 그 많은 것들을 어느 세월에

소불로 조각된 마애불군은 그 크기가 한 자 남짓이다. 대개 연꽃이 새겨진 대좌 위에 앉아 있는 소불군은 선각으로 결가부좌를 한 좌불로 조각을 하였다. 마애불군의 얼굴은 둥글고 단아하지만, 눈, 코, 입의 마멸이 심하다. 아마도 오랫동안 비바람에 씻겨 많이 마모가 된 듯하다. 전체적으로 몸은 사각형이면서도 단정하게 앉은 모습이다. 

법의는 양 어깨를 가렸는데, 이런 형태는 신라말기와 고려 초에서 보이는 법의의 형태이다. 아마도 이런 점으로 보아 이 마애불이 조성된 시기도, 신라 말에서 고려 초기일 것으로 추정한다. 좌불들은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지만, 법의의 모습이나 수인 등 세부표현에서는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수인은 다양하여 선정인과 시무외인, 보주를 받쳐 든 손 등 다양하게 표현을 하고 있다.

연화좌가 새겨진 위에 좌불로 새겨진 마애불. 옆에는 명문이 보인다. 사람 이름인 듯하다
▲ 마애불 연화좌가 새겨진 위에 좌불로 새겨진 마애불. 옆에는 명문이 보인다. 사람 이름인 듯하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바위가 움푹 파인 곳에도 그 바위면을 이용해 마애불을 조성하였다
▲ 마애불 바위가 움푹 파인 곳에도 그 바위면을 이용해 마애불을 조성하였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놀라운 모습의 마애불상군

비가 오는 날 찾아간 도전리 마애불상군. 8월 13일의 날씨는 한 마디로 종잡을 수가 없었다. 비가 내리 붓다가도 금방 햇볕에 따갑기도 했으니 말이다. 우산을 받치고 마애불이 자리한 곳으로 갔다. 나무 통로를 조성해 마애불상군을 보기 좋게 만들어 놓았다. 그런데 마애불이 있을 만한 바위가 보이지를 않는다.

통로 끝까지 가보니, 이럴 수가 있나. 울퉁불퉁한 바위 암벽에 작은 소불들이 즐비하게 자리를 잡고 있다. 도저히 조각을 할 수 없을 듯한, 움푹 파인 곳에도 마애불을 조성하였다. 어떻게 이렇게 작은 소불들을 조각을 하였을까? 그것도 조각을 하기에 적합하지도 않은 바위 면에. 그저 놀라울 뿐이다.

도전리 마애불상군은 모두 3단으로 조각을 하였다
▲ 마애불 도전리 마애불상군은 모두 3단으로 조각을 하였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작은 소뷸 형태로 조각한 마애불상군은 그저 놀라울 만큼 정교하다
▲ 마애불 작은 소뷸 형태로 조각한 마애불상군은 그저 놀라울 만큼 정교하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서원불로 보이는 마애불상군 

작은 마애불 옆에 글씨들이 보인다. 가만히 들여다보니 '김○자'. '○○先生'이란 명문들이다. 이 명분들을 보면 각각 소불 옆에 적어 놓았는데, 이런 글이 과연 처음부터 적힌 것인지가 의아스럽다. 통일신라 때부터 고려 초기에 조각된 마애불상군이라면 이런 류의 이름이 보인다는 것이 맞지 않기 때문이다.

아마도 이 마애불상군을 발견한 누군가 이 소불군을 서원불로 삼아 후대에 이름을 음각한 것이 아니었을까? 그러고 보면 여기저기 무엇인가 파려고 했던 흔적들도 보이는 듯하다. 전문적인 연구가 더 되어야만할 산청 도전리 마애불상군. 비가 오는데도 그 앞을 떠날 수가 없다. 선각으로 음각한 좌불 하나하나가, 모두 내 발을 붙들고 있기 때문이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티스토리 '바람이 머무는 곳'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마애불상군, #도전리, #산청, #유형문화재, #신라말 고려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