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누누가 이렇게나 자랐네요

9월 15일, 케냐의 소인이 찍힌 편지를 받았습니다. 저의 처가 후원하고 있는 월드비전으로부터 온 '아동 연례 발달 보고서'였습니다.

월드비전의 케냐 오실리기 지역개발사업장Osiligi ADP에서 온 누누에 관한 아동 연례 발달 보고서
 월드비전의 케냐 오실리기 지역개발사업장Osiligi ADP에서 온 누누에 관한 아동 연례 발달 보고서
ⓒ 이안수

관련사진보기


처가 후원하고 있는 아동은 케냐의 오실리기Osiligi 지역에 살고 있는 13살 만디키 메리 누누로 여학생입니다.

누누는 저희 가족과 인연을 맺은 지 만 4년이 지났습니다. 그 사이에 이렇게 훌쩍 자랐습니다.
 누누는 저희 가족과 인연을 맺은 지 만 4년이 지났습니다. 그 사이에 이렇게 훌쩍 자랐습니다.
ⓒ 이안수

관련사진보기


누누는 2008년에 받은 편지보다, 그리고 2010년에 받은 편지보다 한층 어른스러워진 모습입니다. 아이들의 성장은 마치 비온 뒤의 죽순이 자라듯 변합니다.

키가 이미 154cm로 자란 누누는 양친이 모두 살아계시고 4명의 형제자매를 두고 있습니다. 밥을 좋아하고 밤 9시에 잠자리에 들며 아침 6시에 일어나서 1.5km를 걸어서 학교로 갑니다.

8시에 시작하는 첫수업으로 시작해 오후 4시에 학교 수업을 마치면 집으로 와서 집안청소를 돕습니다. 공부는 잘하는 편이고 독서를 좋아하고 자라서 선생님이 되고 싶어 합니다.

눈에 밟히는 풍경들

누누가 사는 지역은 케냐 남서부의 리프트 밸리 구역Rift Valley Province, 카지아도 지역Kajiado District의 나만가 지방Namanga Division입니다.

마사이족들이 살고 있는 곳으로 탄자니아와의 국경에 인접한 곳입니다. 케냐에서 탄자니아로, 혹은 탄자니아에서 케냐로 육로 이동할 경우 대부분 이 나만가 국경을 통과하게 됩니다.

저는 작년 2월부터 3월까지 중부 아프리카를 여행하면서 케냐 마사이마라를 거쳐 후 탄자니아의 세렝게티로 갈 때 이 나만가 국경을 거쳤습니다. 나만가 국경을 통과하기 위해 누누가 살고 있는 동네 인근을 지나면서 누누를 생각했어요.

.

( 1 / 5 )

ⓒ 이안수

하지만 아쉽게도 그 여행이 다국적 여행자들이 함께 이용하는 트럭을 타고 있었기 때문에 저 혼자 대열에서 이탈해 누누의 마을을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양과 소를 모는 메마른 초원 위의 목동, 언덕 위의 흙집 교회와 몇 가구씩 흩어져 있는 마을의 중앙에 있는 작은 학교, 수레만으로도 무거워 보이는 그곳에 큰 물통을 얻고 밀고 가는 아기를 엎은 아낙, 왼쪽 가슴을 내놓고 아이를 안고 있는 젊은 엄마, 사람의 키보다 두 배쯤 높은 짐을 실은 자전거, 집 앞에 주저앉은 걸인에게 물을 내미는 아이들이 자꾸 눈에 밟혔습니다.

.

( 1 / 38 )

ⓒ 이안수

길가 언덕 위에서 손을 흔드는 아이들을 볼 때마다 누누가 있을까 눈을 비볐습니다.

저는 탄자니아에서 다시 나만가 국경으로 출발하는 아침, 아루샤를 떠나면서 충격적인 장면을 목격했습니다.

쓰레기 수거함 주위에 흩어진 쓰레기를 뒤지는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들은 아마 지난밤에 주민들이 내버린 쓰레기 속에 아침끼니를 해결한 무언가가 있기를 기대하는 듯싶었습니다. 그러나 그 쓰레기 더미 속에서 다시 활용될 만한 것을 찾기는 거의 불가능한 쓰레기의 쓰레기밖에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세 남자는 쓰레기를 뒤적이는 노력을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그 옆에서는 역시 야윈 세 마리의 떠돌이개가 그 남자들과 동일한 목적으로 쓰레기를 뒤졌습니다. 쓰레기를 다투는 세 남자와 세 마리의 개는 모두가 그곳에서 아침을 해결할 수 있는 가망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

( 1 / 10 )

ⓒ 이안수

행복해질 수 있는 선택이 있습니다

처는 2007년 6월부터 월드비전을 통한 '해외아동결연'으로 누누를 후원해오고 있습니다.

우리 가족은 오늘 아침, 함께 두 가지를 결정했습니다. 후원자를 다섯 명으로 늘이는 사항과 후원금을 올리는 사항입니다.

그동안 처의 이름으로 한 학생만을 후원하던 것을 가족 각자 한 명씩 하기로 동의한 것입니다.

아직 자신의 수입이 없는 학생인 영대, 주리, 나리의 경우, 제가 후원금을 대납하는 대신 스스로 수입을 발생시키는 경제활동을 하게 되면 후원자를 늘려서 자신의 계좌로 옮겨가도록 약속했습니다.

저는 아이들을 학원에 보내는 대신 그 비용의 일부를 극빈아동의 꿈에 힘을 보태는 일에 사용하는 것의 소중함을 아이들이 깨닫는다면 단지 지식을 늘리는데 돈을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교육적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사랑은 전염의 힘이 강한 유익한 바이러스입니다. 여러분도 아래의 링크를 클릭해보세요. 최근 한 결정 중에 가장 행복한 결정을 했다는 자부심을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정원에서 도라지를 다듬던 처의 티셔츠의 하트 문양에 잠자리가 앉았습니다. 한가위가 지난 이제, 완연한 가을입니다. 풍요로움을 구가할 때입니다.
 정원에서 도라지를 다듬던 처의 티셔츠의 하트 문양에 잠자리가 앉았습니다. 한가위가 지난 이제, 완연한 가을입니다. 풍요로움을 구가할 때입니다.
ⓒ 이안수

관련사진보기


월드비전 | www.worldvision.or.kr
굿네이버스 | www.goodneighbors.kr

덧붙이는 글 | 관련글 바로가기
-만디키의 희망에 투자하세요. | http://motif_1.blog.me/30078369900



태그:#월드비전, #굿네이버스, #누누, #나눔, #행복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삶의 다양한 풍경에 관심있는 여행자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