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가을비가 내리고, 아침저녁으로 찬바람이 완연한 가을아침, 눈부신 아침햇살에 이른 봄 하얀 목련을 피웠던 목련의 초록이파리가 연하게 그 속내를 드러낸다. 이런 가을햇살에 피어나는 꽃들은 어떤 꽃이 있을까?
▲ 가을햇살 가을비가 내리고, 아침저녁으로 찬바람이 완연한 가을아침, 눈부신 아침햇살에 이른 봄 하얀 목련을 피웠던 목련의 초록이파리가 연하게 그 속내를 드러낸다. 이런 가을햇살에 피어나는 꽃들은 어떤 꽃이 있을까?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여름부터 피어나지만, 가을꽃의 대명사로 자리잡은 코스모스가 들판에 가득 피어있다. 아직도 도심을 벗어나면 길가에 무리지어 피어난 코스모스를 볼 수 있다. 가을바람에 흔들리는 그들처럼 그냥 무심하게 살아가고 싶다.
▲ 코스모스 여름부터 피어나지만, 가을꽃의 대명사로 자리잡은 코스모스가 들판에 가득 피어있다. 아직도 도심을 벗어나면 길가에 무리지어 피어난 코스모스를 볼 수 있다. 가을바람에 흔들리는 그들처럼 그냥 무심하게 살아가고 싶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참으로 오랜만에 눈맞춤을 한다. '꽃을 찾아떠난 여행길'이 오랜만이라 어색하고, 그들도 삐쳤는지 이전처럼 자신의 예쁜 모습을 보여주질 않으려 한다. 사랑하지 않으면 그들도 자기를 보여주지 않는다.
▲ 솔체 참으로 오랜만에 눈맞춤을 한다. '꽃을 찾아떠난 여행길'이 오랜만이라 어색하고, 그들도 삐쳤는지 이전처럼 자신의 예쁜 모습을 보여주질 않으려 한다. 사랑하지 않으면 그들도 자기를 보여주지 않는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바위틈에 피어난 물매화, 홀로 피어나면 외로울까 둘이 피어났을까? 척박한 곳에서도 활짝 피었다 지는 중이니, 내년 가을에 또 그자리에서 피어날 것이다. 해마다 그곳에서 피어나는 꽃, 그것을 지켜주는 것은 서로에 대한 예의가 아닐까?
▲ 물매화 바위틈에 피어난 물매화, 홀로 피어나면 외로울까 둘이 피어났을까? 척박한 곳에서도 활짝 피었다 지는 중이니, 내년 가을에 또 그자리에서 피어날 것이다. 해마다 그곳에서 피어나는 꽃, 그것을 지켜주는 것은 서로에 대한 예의가 아닐까?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그냥 지나칠 뻔 했다. 그들이 피어날 철이 아니기때문이다. 철지났어도 아직 할 일이 남아있음을 그들의 열매에서 본다. 가을햇살에 잘 익혀서 내년에 더 많은 병아리풀을 피워내길 바랄 뿐이다.
▲ 병아리풀꽃 그냥 지나칠 뻔 했다. 그들이 피어날 철이 아니기때문이다. 철지났어도 아직 할 일이 남아있음을 그들의 열매에서 본다. 가을햇살에 잘 익혀서 내년에 더 많은 병아리풀을 피워내길 바랄 뿐이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돌틈에 피어난 자주쓴풀, 가을햇살에 피어나는 꽃들은 보라색이 많고, 다른 계절보다 색깔이 진하다. 가을햇살이 만들어내는 색은 고도가 높아질수록 선명한 빛을 만든다. 이 모든 것이 신비다.
▲ 자주쓴풀 돌틈에 피어난 자주쓴풀, 가을햇살에 피어나는 꽃들은 보라색이 많고, 다른 계절보다 색깔이 진하다. 가을햇살이 만들어내는 색은 고도가 높아질수록 선명한 빛을 만든다. 이 모든 것이 신비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이미 높은 산은 단풍이 들기 시작했다. 가을꽃 여뀌가 단풍든 나뭇잎에 숨은 그림인듯 숨어있다. 흔하게 들판에 피어나는 꽃, 그 꽃을 조시에서는 볼 수가 없다.
▲ 여뀌 이미 높은 산은 단풍이 들기 시작했다. 가을꽃 여뀌가 단풍든 나뭇잎에 숨은 그림인듯 숨어있다. 흔하게 들판에 피어나는 꽃, 그 꽃을 조시에서는 볼 수가 없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뚱딴지(돼지감자)가 피어난 들판, 돼지감자가 몸에 좋다는 소문이 돌아 심은 것인지도 모르겠다. 해바라기만큼 예쁜 꽃이다.
▲ 뚱딴지(돼지감자) 뚱딴지(돼지감자)가 피어난 들판, 돼지감자가 몸에 좋다는 소문이 돌아 심은 것인지도 모르겠다. 해바라기만큼 예쁜 꽃이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구절초, 가을꽃 중 국화과의 꽃들을 일반적으로 '들국화'라고 부르는데 그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꽃이 바로 이 '구절초'다. 사실, 들국화라는 꽃이름은 없다. 국화과의 꽃들 저마다의 이름은 있어도.
▲ 구절초 구절초, 가을꽃 중 국화과의 꽃들을 일반적으로 '들국화'라고 부르는데 그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꽃이 바로 이 '구절초'다. 사실, 들국화라는 꽃이름은 없다. 국화과의 꽃들 저마다의 이름은 있어도.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꽃을 뒤로하고 열매를 맺는 자리공, 제 때에 피었더라면 이미 열매까지 다 익혔을 터이다. 무슨 연유인지 늦게 피어나 늦게 열매를 맺고 있다. 어디에 피어나든 최선을 다해서 피어나는 꽃이다.
▲ 미국자리공 꽃을 뒤로하고 열매를 맺는 자리공, 제 때에 피었더라면 이미 열매까지 다 익혔을 터이다. 무슨 연유인지 늦게 피어나 늦게 열매를 맺고 있다. 어디에 피어나든 최선을 다해서 피어나는 꽃이다.
ⓒ 김민수

관련사진보기


가을이 완연하다.
세상사에 시달려 살다가 하루가 어떻게 가는지, 일주일이 어떻게 가는지, 한 달이 어떻게 가는지 잊고 살아갈 때가 있다.

가을햇살이 좋아 무작정 아내와 밖으로 나왔다.
잠시 가을햇살을 쬐고 집으로 돌아올 생각이었는데 가을햇살에 끌려 강원도까지 이르렀다.

언젠가 진귀한 가을꽃들을 만났던 그곳을 가물거리는 기억을 더듬어 찾아갔다. 이럴때는 내비게이션의 안내보다 추억에 대한 기억력을 가지고 찾아가는 편이 훨씬 수월하다. 그래, 그곳을 찾았다. 큰 도로에서 호젓한 길로 접어들자, '맞아, 이 길이었어!'하고 몸이 먼저 느낀다.

10월이 시작되는 날엔 '눈을 뜨기 힘든 가을보다 높은~'로 시작되는 '시월의 어느 멋진날에'를 부르고, 10월의 마지막 날에는 '지금도 기억하고 있어요~'로 시작되는 '잊혀진 계절'을 부른다. 그러나 그것도 점차 나이가 들면서 잊혀져 간다. 언제부턴가, 그날이 그날같은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그곳에서 들꽃을 만나고서야 오늘이 시월의 첫날임을 알았다.
이미, 그곳의 가을은 한참 전에 시작되었고, 이제 막바지를 향해서 달려가고 있음은 이미 시들어가는 꽃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 얼마만일까, 그들을 담으러 달려온 것이....참, 오래되었다. 오늘도 기다리고 기다리다 온 것이 아니라, 그냥 가을햇살에 끌려나온 것이다.

그들이 제대로 반겨주질 않는다.
그들이라고 모를까? 자기들 사랑하는 마음이 이전과 다르다는 것을. 미안했다.

카메라로 세상을 다 담을 수는 없겠지만, 사랑하는 마음으로 담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깊이 깨달은 날이었다. 시월의 첫날, 그날이 내게 '시월의 어느 멋진 날'이 될 줄이야.


태그:#구절초, #코스모스, #병아리풀, #뚱딴지, #물매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자연을 소재로 사진담고 글쓰는 일을 좋아한다. 최근작 <들꽃, 나도 너처럼 피어나고 싶다>가 있으며, 사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