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통합 창원시 청사 소재지 조기 결정 촉구 결의안 상정을 놓고 창원지역의원들이 의장석을 점거하고 있다
▲ 청사소재지 촉구결의안 놓고 충돌 통합 창원시 청사 소재지 조기 결정 촉구 결의안 상정을 놓고 창원지역의원들이 의장석을 점거하고 있다
ⓒ <경남도민일보> 제공

관련사진보기


지난 10월 31일 통합 창원시의회에서는 국회의사당을 방불케 하는 진풍경이 연출됐다. 옛 창원과 마산지역 시의원들이 격한 몸싸움을 벌였기 때문이다. 옛 창원지역 시의원들은 의장석을 점거, 김이수 의장의 입장을 막으면서 시의회가 제대로 열리지 못했다.

시의회 파행의 이유는 '통합청사 조기결정 촉구 결의안' 때문. 통합시청사의 소재지를 두고 시의원들이 지역별로 나뉘어 충돌한 것이다. 마산과 진해지역 의원들을 중심으로 '통합 창원시 청사 소재지 조기 확정 촉구 결의안'을 상정하려 하자, 옛 창원지역 의원들이 이를 저지하며 '구 3개시(창원·마산·진해) 분리 촉구 건의안' 상정으로 맞불을 놨다.

익명을 요구한 한 시의원은 "창원지역 의원들이 '조기 결정 촉구안'을 필사적으로 막으려 하는 것은 이 촉구안이 통과될 경우 주도권이 마산지역으로 넘어가고, 통합 시청사 또한 마산지역으로 결정될 것으로 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3개 시 통합 당시 통합준비위원회는 시청사 소재지를 주민들의 의견을 받아 결정한 바 있고 소재지 선정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연구 용역을 맡겨놓은 상태다. 계획대로라면 연구결과는 내년 8월경에 나올 예정이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박스 참고).

옛 창원 출신 시의원들이 정당간의 교합을 통해서 단결력을 보이는 것은 창원 시의회의 지역별 의원 수 때문이다. 55명의 시의원 가운데 옛 창원시와 마산시 소속이 각각 21명이고 진해시 소속은 13명이다. 마산과 진해 출신 시의원들이 손을 잡을 경우 시청사는 마산이나 진해로 결정 날수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정당 별이 아니라 지역 구분별로 집단 행동이 발생한 것이다.

마산·진해출신 시의원들은 "용역 결과가 청사 후보지(마산종합운동장·진해 옛 육군대학·창원 39사단 터)에 대한 우선 순위가 아니라, 장·단점 나열 수준에 그칠 것"이라며 "이는 결국 참고 수준에 그칠테니 내년까지 부지선정 연구결과 발표를 기다릴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통합 창원시 청사 소재지 결정 경과
지난 2009년 마산·진해 시의회가 행정구역 자율통합 찬성에 이어 창원 시의회에서도 3개 시 통합안이 가결되었다. 이후 2010년 3월 2일 국회에서 3개 시를 창원시로 통합하는 법안이 가결됨에 따라 2010년 7월 1일 통합 창원시가 출범했다.

창원·마산·진해 통합준비위원회는 지난 2010년 지역주민들의 여론조사를 통해 신청사 후보지 공동 1순위로 마산종합운동장과 옛 진해 육군대학 부지, 2순위는 창원 39사단 부지로 결정한 바 있다.

통합시 신청사 부지선정은 시의회 내 갈등의 '시한폭탄'이 된 것이다. 통합 창원시는 통합준비위원회 결정에 따라 통합청사 위치 선정을 위한 용역(타당성조사·사전환경성·교통성·사전재해영향성 평가)을 진행하고 있었다.
사정이 이렇게 복잡하게 돌아가자 진해지역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통합 창원시를 '원래대로 분리하자'는 주장이 강하게 일고 있고 일부 시의원들도 동조하고 있는 분위기다.

특히 창원지역 시의원들은 '시청사가 창원이 아닌 다른 지역으로 간다면 다시 분리하자'는 입장이다.

한나라당이 장악한 시의회와 자치단체장들이 주도한 3개 시 통합은 겉으로는 자율통합이었지만 속내는 강제통합이었다. 요식 행위에 그친 주민의견 수렴은 진정한 의견 수렴이 아니었음이 통합시 출범 1년 4개월 만에 드러난 것이다.

오는 4일, 창원시의회 임시회 4차 본회의에서 '통합시청 소재지 결정 촉구 결의안'과 '통합시 분리안' 상정이 논의될 예정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http://blog.daum.net/gnccdm 블로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통합창원시, #창원시의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