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필자가 살던 고시원방의 모습
▲ 수유동 고시원방 필자가 살던 고시원방의 모습
ⓒ 김영경

관련사진보기


나는 바람이 시원하게 부는, 시원한 풍광을 자랑하는 북한산 자락 밑 수유동의 한 고시원에서 1년여를 살았다. 1.5평짜리 방이었는데 그나마 이곳에 자리를 잡은 이유는 여성전용이기 때문에 덜 불안하다는 것. 그리고 그나마 창문이 달려있는 고시원이라는 점 때문이었다.

대구에서 20년을 살고 서울과 안산으로 거처를 옮기며 10년 동안 떠돌아다녔다. 대학교 입학과 동시에 안산으로 올라온 난 대학교 앞 싼 방을 돌아다니며 10년 동안 자취했다. 대학교를 졸업하고 학원 강사로 일했지만, 서른 살까지 학자금을 갚으면서 보증금을 모으는 일은 늘 빠듯했다. 돈을 모으다가도 중간중간 목돈 들어갈 일은 꼭 생겼고, 결국 보증금 없는 상태에서 서울로 거처를 옮겨야 했다.

서울로 올라와, 처음부터 고시원으로 들어간 것은 아니었다. '고시원 들어가면 폐인된다'는 주변 사람들의 만류 때문도 있었지만, 다행히 보증금 없이 월세만 내고 살자는 룸메이트를 소개받았다. 그렇게 그와 1년을 살았다.

하지만 룸메이트가 작년 겨울 결혼을 하는 바람에 결국, 난 보증금 없이 나만의 공간을 찾아 고시원으로 들어갔다. 타지생활 10년, 작은 짐꾸러미들을 들고 이사를 다닐 때마다 이렇게 넓고 화려한 서울 도시에서 거처할 곳이 없다는 게 서럽고 속상했다.

그렇게 정착한 고시원. 누군가 내게 고시원은 감옥 같다고 했다. 그렇다. 맞는 말이다. 고시원은 나에게 감옥이었다.

모든 일을 끝마치고 들어와 몸을 누이면 좁은 고시원 건물 복도조차 나가지 못하고 숨죽여 지냈다. 누군가가 고시원에서 사는 사람들은 도둑고양이처럼 산다고 이야기 한 적이 있다. 옆방의 사람과 단 한 번도 마주치지 못한 채 복도를 지나다닐 때 발뒤꿈치를 들고 다니니, 도둑고양이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누군가가 방 밖으로 나오는 소리가 들리면 아무도 방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이 고시원이라는 공간의 가장 답답한 점은 좁은 방, 안 좋은 시설이 아니라 사람과 마주치지 않도록 해야만 하는 것이다. 서로의 존재를 인지하지만 결코 관계를 맺으면 안 된다는 분위기다.

고시원생활은 공간을 잘 활용해야 한다
▲ 짐이 많지 않은 고시원방 고시원생활은 공간을 잘 활용해야 한다
ⓒ 김영경

관련사진보기


집 없는 죄수에서 사면되는 그날을 꿈꿔요

'언제 여기를 탈출할 수 있지?'하는 생각이 들면 알카트래즈 감옥에서 멋진 탈옥을 꿈꾸는 죄수가 치밀한 계획을 짜듯이 내가 가진 저축액수와 한 달에 버는 돈, 그리고 돈을 빌릴 수 있는 곳들을 모색하며 계획을 짜본다. 그러나 지난 1년간 그 계획이 실현된 적은 없었다.

그렇게 매일 밤 고시원 방에서 답답함에 치를 떨던 나를 탈옥시켜 준 것은, 내 저축액수와 버는 돈, 그리고 빌린 돈이 아니었다. 날 탈옥시킨 것은 한 여성단체이고, 그곳에서 운영하는 여성전용 공공임대주택으로 난 탈옥할 수 있었다.

비정규직, 저소득층 여성을 대상으로 싼 값에 주거지를 제공하는 여성단체를 지인이 소개해줬고, 인터뷰를 봐 통과했다. 이사를 할 때 도와주는 사람이 꼭 왔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1.5평 고시원 방을 채운 짐은 실로 별게 없지만, 이사할 때마다 드는 쓸쓸함 때문이었다. 다행히 청년유니온 조합원이 도와주러 왔다. 그래서 고시원을 탈출할 때의 쓸쓸함이 덜해졌는지도 모른다.

그렇게 월세 10만 원도 채 되지 않는 여성전용 공공임대주택의 방 한 칸을 얻었다. 고시원방에 들어가는 월세가 한 달에 30여만 원이었으니 이것보다 좋은 조건은 없었다.

이사 간 여성전용 임대주택은 각 방을 여성들이 나누어 쓰는 곳이다. 물론 다른 사람과 함께 살아야 하는 것이 주는 소소한 불편함도 있다. 욕실화가 더러운 신발로 밟혀 있다거나 늦게 들어와 음식을 해먹지 못하는 불편함 말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감옥 같은 고시원을 탈출할 수 있었다는 것만으로도 감사하다. 아직 이곳이 나의 보금자리라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그러나 나는 이제 막 감옥을 탈옥한 죄수가 아닌가? 언젠가 나만의 작고 따뜻한 보금자리를 마련해서 집없는 죄수라는 신분에서 사면되는 날을 꿈꿔본다.

덧붙이는 글 | 필자는 국내 최초 세대별 노동조합 청년유니온의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태그:#청년유니온, #김영경, #고시원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22,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