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방해할 목적으로 벌어진 중앙선관위 홈페이지에 대한 디도스(DDoS, 분산서비스 거부) 공격을 둘러싼 윗선 개입 의혹이 증폭되면서 한나라당이 거센 후폭풍에 직면하고 있다. 이번 사건이 불거지기 전까지 당내 갈등의 초점이었던 당 쇄신안 논의마저 표류하면서 홍준표 대표 사퇴론도 다시 불거지고 있다.

 

당초 당 쇄신안을 논의하기 위해 소집된 4일 저녁 최고위원회의는 디도스 공격 사건의 수습책 논의만 하고 1시간여 만에 끝났다. 회의장에 입장하는 홍준표 대표를 비롯한 최고위원들은 하나 같이 굳은 표정이었다. 회의도 사진 촬영 시간 이후 곧바로 비공개로 진행됐다.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는 이날 회의에서 "수사 기관에서는 신분과 지휘고하를 막론하고 성역 없이 철저히 수사해 줄 것을 요구한다"며 "관련자는 엄벌에 처해야 마땅하다"고 밝혔다.

 

자신의 수행비서가 이번 디도스 공격을 주도한 혐의를 받고 있는 최구식 한나라당 의원은 최고위원회 도중 당 지도부에 당 홍보기획본부장에서 사퇴하겠다는 뜻을 밝혀왔다. 당 지도부는 논의를 거쳐 최 의원의 사의를 받아들이기로 했다.

 

홍 대표는 최고위원회가 끝난 후 기자간담회를 열어 "최 의원인 자기 비서가 구속된 것에 대해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했고 이를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최 의원의 당직 사퇴에도 불구하고 이날 최고위에서는 경찰 수사 결과와 관계 없이 당이 도의적 책임을 져야한다, 야당의 국정조사 수용 여부를 검토해야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국정조사 수용 여부에 대해 친박계 유승민 최고위원이 가장 적극적이었다. 유 최고위원은 회의 참석 전 기자들과 만나 "당 차원의 진상조사위를 구성한다고 해도 당이 진상조사를 하는 것을 누가 믿겠느냐"며 "야당이 요구하는 국정조사를 검토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최고위원회 후에도 유 최고위원은 "진상규명을 위해서는 필요한 일을 다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홍 대표는 국정 조사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나타내면서도 수용 가능성은 열어놨다. 그는 "(이번 사건이) 수사 중인 사안인 만큼 국정조사 대상이 아니다"라면서도 "(국정조사 수용 여부는) 수사가 끝난 다음 검토해도 늦지 않다"고 말했다.

 

당내에서는 지난 달 29일 쇄신 연석회의 후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던 홍 대표의 사퇴론도 재점화 됐다. '스핀 닥터' 운운하며 최 의원을 당 홍보기획본부장에 앉힌 홍 대표가 도의적 책임을 져야한다는 것이다.

 

홍 대표를 직접 언급하진 않았지만 원희룡 최고위원은 "이번 사건에 당이 관련돼 있을 것이라고 믿지 않아지만 워낙 엄청난 일이라 당으로서는 관리 책임(을 지고), 도덕적 사과를 해야한다"며 "수사 결과 당이 직·간접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면 관련자 뿐만 아니라 당도 책임을 져야 한다"고 밝혔다.

 

한 당직자는 "경찰 수사 종료 후 지도부가 물러나느냐, 그 전에 퇴진하느냐의 문제만 남은 것 아니냐"고 말했다.

 

당내에서는 이번 사태를 무마하기 위해 북한 연루설 등 색깔론을 동원하는 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이날 <조선닷컴> 보도에 따르면 최구식 의원실 관계자는 "3명의 진범이 민주당이나 민노당 혹은 북한의 사주 받아서 범행을 저지르고, 공씨에게 뒤집어 씌우려고 거짓말 하려는 것일 수도 있지 않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기사가 나간 지 16분여 만에 거센 비난이 일자 해당 기사에서 이 발언은 긴급하게 삭제되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전여옥 한나라당 의원도 트위터에 "한나라당이 170석 넘게 얻으면서 경험 있는 민주당이나 민노당 출신 보좌관들이 한나라당 의원 보좌관으로 많이 들어왔다, 좀 전부터 걱정이 됐다"는 글을 올려 비난을 자초하기도 했다.


태그:#디도스, #홍준표, #최구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