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고려 중기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수원 봉령사의 석조 삼존불
▲ 삼존불 고려 중기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수원 봉령사의 석조 삼존불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우만동 248번지에 소재한 비구니의 요람 봉녕사. 봉녕사는 비구니 승가대가 있는 절이다. 봉녕사의 용화각에는 고려시대의 석불로 보이는 석조삼존불이 모셔져 있다. 이 석조삼존불은 대웅보전 뒤편 언덕에서 건물을 지으려고 터를 닦던 도중에 출토되었다고 한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1호로 지정돼 있는 석조삼존불상은 본존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보살입상을 배치하고 있다. 불상과 연화대좌는 각각 하나의 석재로 구성이 되었는데, 모래가 많이 섞인 화강암으로 조성을 하였다. 삼존불 모두가 뚜렷한 이목구비가 보이지 않는데, 이는 오랜 시간 땅 속에 파묻혀 마모가 된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1호인 석조삼존불을 모셔 놓은 용화각
▲ 용화각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1호인 석조삼존불을 모셔 놓은 용화각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삼존불은 중앙에 본존불인 좌상이 있고, 좌우에 협시보살인 입상이 서 있다
▲ 삼존불 삼존불은 중앙에 본존불인 좌상이 있고, 좌우에 협시보살인 입상이 서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마모가 심한 석조삼존불

삼존불의 중앙에 좌정하고 있는 본존불의 얼굴모습은 원만한 편이다. 그저 편안한 느낌을 받게 하는 본존불의 머리 부분은 파손되어 있고, 눈, 코, 입 부분은 심하게 마모돼 희미하다. 법의는 왼쪽 어깨에만 걸치고 오른쪽 어깨가 노출된 우견편단으로, 법의의 주름도 상당히 도식화돼 있다.

오른손은 무릎에 놓고 왼손은 가슴에 대고 있는데, 상당히 부자연스럽게 조각을 하였다. 밑에 받치고 있는 좌대인 연화대는 일석으로 2단으로 돼 있으며, 가운데가 잘록하고 아래 위를 넓게 조성했다. 연화대 위편은 커다란 앙련을 조각하였는데, 사이가 너무 벌어지게 잎이 조성되어 있어 매우 부자연스럽게 보인다.

심하게 마모가 되어 제대로 알아볼 수 없는 본존불의 안면
▲ 본존불 심하게 마모가 되어 제대로 알아볼 수 없는 본존불의 안면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우편견단을 조성한 법의와 양 팔 등이 도식화 되어있다
▲ 보존불 우편견단을 조성한 법의와 양 팔 등이 도식화 되어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받침돌은 연화대 역시 간략하게 표현을 하였다. 고려 중기의 석불로 보인다
▲ 연화대 받침돌은 연화대 역시 간략하게 표현을 하였다. 고려 중기의 석불로 보인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아래쪽 연화대에도 앙련이 흐릿하게 조성이 되어있으나, 상당히 마모가 심하여 정확하지가 않다. 본존불은 전체적으로 비례가 맞지 않는 편이다. 얼굴은 네모나게 조성을 하였는데, 양편의 귀는 어깨에 까지 늘어졌으며, 목은 두꺼워 얼굴의 넓이와 목이 뚜렷하게 구별이 되지 않고 있다.  

섬세한 연화문이 새겨져 있는 협시불

12월 6일, 봉녕사에서는 큰 스님의 다비식이 거행되어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었다. 오전 11시부터 시작된 묘엄명사의 영결식과 다비식에 참석한 사람들로 인해, 각 전각마다 발 디딜 틈이 없다. 그 틈에도 문화재를 답사하겠다고 안으로 들어가, 사람들을 피해 조심스럽게 촬영을 한다.

협시불은 법의가 통견으로 되어있으며 연화대와 입상이 각각 일석으로 되어있다
▲ 우협시 협시불은 법의가 통견으로 되어있으며 연화대와 입상이 각각 일석으로 되어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좌우 협시불은 입상으로 조성을 하였으며, 삼존불은 한 사람에 의해서 조성이 되었다
▲ 협시불 좌우 협시불은 입상으로 조성을 하였으며, 삼존불은 한 사람에 의해서 조성이 되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본존불의 좌우에 서 있는 협시불의 얼굴 형태는 원만한 편이나, 각 부분은 마멸이 심하여 정확한 모습을 알아보기가 힘들다. 협시보살의 법의는 두 어깨를 모두 가린 통견으로 조성을 하였는데, 조각 등은 섬세하지 못하다. 왼손은 가슴에 대고 오른손은 무릎 밑으로 내리고 있으며 원추형의 대좌에는 연화문이 섬세하게 조각되어 있다.

삼존불이 모두 평평한 느낌을 주는 영감 없는 조각 기법이나, 각 부분의 형식과 표현 수법이 도식화 되어 있다는 점으로 보아 고려시대 중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삼존불 모두 전체적으로 표현기법 등이 동일해, 한 사람의 장인에 의해서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삼존불의 답사를 마치고 밖으로 나오니, 하늘에 무지개가 걸려있다. 이 날은 봉녕사에서 입적하신 묘엄명사의 극락왕생을 기리는 것은 아니었는지
▲ 무지개 삼존불의 답사를 마치고 밖으로 나오니, 하늘에 무지개가 걸려있다. 이 날은 봉녕사에서 입적하신 묘엄명사의 극락왕생을 기리는 것은 아니었는지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큰 스님의 다비식을 맞아 찾아간 봉녕사. 많은 사람들 틈에서 조심스럽게 촬영을 하고 나오면서 생각을 한다. 어쩌면 저 삼존불의 원력이 있어 이렇게 큰 비구니스님이 득도를 한 것이나 아닌지. 삼존불 촬영을 마치고 밖으로 나오니, 봉령사 하늘에 무지개가 걸려 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수원인터넷뉴스와 티스토리 '바람이 머무는 곳'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삼존불, #봉녕사, #유형문화재, #수원, #무지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