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기사보강 : 17일 오후 10시 2분]

지난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디도스 공격에 대한 경찰 수사에 대해 청와대가 압력을 행사하고 사건의 중요 사실을 은폐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지금까지 청와대 행정관이 선거 전날 디도스 공격과 관련된 사람들과 술자리를 같이 했으며, 관련자들 사이에 돈거래가 있은 것은 알려졌지만, 청와대가 이를 은폐하기 위해 경찰에 외압을 가한 사실이 알려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9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10.26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 당일 일어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디도스(DDos, 분산서비스거부) 공격과 관련해 황운하 경찰청 수사기획관이 수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는 가운데, 황 수사기획관의 그림자가 경찰 로그에 비치고 있다.
 지난 9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10.26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 당일 일어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디도스(DDos, 분산서비스거부) 공격과 관련해 황운하 경찰청 수사기획관이 수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는 가운데, 황 수사기획관의 그림자가 경찰 로그에 비치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한겨레21>은 17일 보도에서 "청와대는 청와대 행정관 박아무개(38)씨가 선거 전날 저녁 디도스 공격 관련자들과 술자리를 함께한 사실, 그리고 한나라당 관계자들과 해커들 사이에 대가성 돈거래가 있었던 사실을 공개하지 않도록 압력을 행사한 정황이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한겨레21>은 이어 "지난 12월 초 최구식 한나라당 의원의 비서인 공아무개(27)씨 검거 직후부터 경찰 최고 수뇌부와 청와대가 교감을 한 뒤 경찰 발표 문안을 확정했다"며 "그 과정에서 청와대 행정관이 범행이 비롯된 술자리에 참석했다는 사실, 그리고 디도스 공격을 둘러싼 돈거래 내역 두 가지를 공개하지 않기로 미리 협의했다"고 사정 당국의 고위 관계자를 인용해서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경찰은 이런 합의 내용에 따라 지난 12월 9일 수사 결과를 발표하려고 했으나, 하루 앞선 8일 한 언론에서 청와대 행정관이 디도스 공격 관련자들과 술자리에 함께한 내용을 폭로해 발표 내용을 일부 수정했다는 것. 이에 따라 9일 경찰 발표에서 청와대 행정관의 술자리 참석 내용은 시인했지만, 한나라당 관계자들과 해커들 사이의 돈거래 사실은 공개하지 않았다.

사정 당국 관계자는 이어 "지난 12월 1일 경찰 최고위급 간부에게 '손발이 맞지 않아 못 해먹겠다'라는 전화가 청와대 정무수석실의 치안비서관으로부터 걸려오면서부터 본격적인 조율이 시작됐다"며 "청와대와 논의되지 않은 상황에서 공씨의 신원이 한나라당 의원 비서로 언론에 공개돼 당시 청와대는 패닉에 빠졌으며 이어질 경찰의 돌발행동을 우려해 비서관급에서 수석급으로 핫라인을 격상했다"고 말했다.

<한겨레21>은 "경찰 내부에서도 돈거래를 비롯한 모든 사실을 공개하자는 수사 실무진의 의견도 만만치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으나 실무진도 상부의 의지를 거스를 수 없었다"며 "사정 당국의 한 관계자는 '청와대와 조율을 거친 결정을 번복할 수 있는 경찰 간부는 아무도 없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17일 오후 낸 해명자료에서 이같은 보도가 "전혀 사실무근"이라고 부인하고 "디도스 사건과 관련해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한 바가 없다"며 "사실이 아닌 것을 보도한 해당 언론사에 대해서는 적절한 대응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말도 안 되는 얘기다. 사실이라면 뭐하러 그런 걸 감추겠느냐"면서 "바보가 아닌 이상 수사진행 상황을 감출 리가 없다"고 말했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청와대 비서관 수사, 경찰청에서 하지 않은 이유는?

한편, 경찰은 지난 8일 모 언론이 보도하기 전까지 청와대 박아무개 행정관이 범행 전날 박희태 의장 비서 김씨와 정두언 의원의 비서관, 공성진 전 의원의 비서관 등과 함께 식사자리를 가졌던 것을 언론에 공개하지 않아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박 의장의 비서 김씨는 대가성이 의심되는 1000만 원을 최구식 의원 비서 공씨를 통해 이번 디도스 공격을 실행한 업체 대표 강아무개씨에게 전달한 사건의 핵심 인물이다. 서울시장 보궐선거 이후 그가 강씨에게 전달한 9000만 원 또한 대가성을 의심받고 있는 상황이다. 경찰은 김씨가 사건에 연루돼 있을 가능성이 높음에도 그가 범행 전날 만난 청와대 인사를 언론에 감춘 것이다.

경찰은 또 청와대 비서관 박씨를 수사담당부서인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가 아닌 청와대 인근 장소로 찾아가 조사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경찰은 "청와대에서 가까운 서울지방경찰청으로 불러 조사했다"고 밝혔으나. 이후 민주당이 거듭 의혹을 제기하자 이렇다할 답변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경찰이 이 사건에 '청와대'가 언급되는 것 자체를 피하려 했다는 의심이 생기는 부분이다.

청와대가 경찰 수사에 개입한 것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이번 선관위 디도스 사건의 파장은 한나라당을 넘어 이명박 대통령에게까지 미칠 전망이다.


태그:#디도스 공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