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남양주시 평내에 소재한 중요민속문화재인 '궁집' 앞 작은 내에 걸린 돌다리
▲ 돌다리 남양주시 평내에 소재한 중요민속문화재인 '궁집' 앞 작은 내에 걸린 돌다리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남양주시 평내동에 있는 조선조 제21대 영조의 막내딸인 화길옹주가 시집을 가서 살았다는 '궁집'을 돌아보고 난 뒤 앞 정원을 거닐다가 작은 석교(石橋) 하나를 만났다. 처음에는 그저 무심코 지나쳤는데, 다리를 건너보니 작은 돌다리이기는 하지만 무엇인가 예사롭지가 않은 듯하다.

문화재 답사를 하면서 작은 돌 하나에도 그냥 지나치지 못하는 성미인자라, 다시 다리로 가서 찬찬히 살펴보기 시작했다. 그런데 길이가 불과 2.5m 남짓인 이 돌다리가, 그냥 예삿다리가 아니라는 걸 알았다.

작은 내 위에 놓인 반 아치형의 조형물인 석교
▲ 돌다리 작은 내 위에 놓인 반 아치형의 조형물인 석교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석교는 다리가 층이지게 했으며 양편에 해태가 다리를 지키고 있다
▲ 해태 석교는 다리가 층이지게 했으며 양편에 해태가 다리를 지키고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하나의 돌로 조형한 돌다리

돌다리는 둥글게 위가 불룩하니 구름다리 형으로 조성을 하였다. 양편 다리 끝에는 각각 한 마리씩의 해태가 앉아있어, 사방에 해태를 조성하였다. 그리고 다리는 턱이지게 올려졌다. 다리의 옆부분에는 길고 넓적한 돌을 이용해 바닥을 놓고, 그 밑으로는 원형의 꽃문양을 새긴 버팀목을 질렀다.

그런데 이 다리가 조금 이상하다. 아무리 보아도 틈새가 없는 것이다. 여기저기 갖은 조형물을 조성하기는 했지만, 어디 한 곳도 틈을 발견할 수가 없다. 처음에는 단단한 화강암을 갖고 참 정교하게 조형을 했다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아무리 정교하다고 해도, 어디 한 곳이라도 빈틈은 있게 마련이다.

다리를 지탱하는 지렛대인 지렛돌 역시 한 장에 붙여 조형한 문양이다
▲ 문양 다리를 지탱하는 지렛대인 지렛돌 역시 한 장에 붙여 조형한 문양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놀라운 조상들의 석재 다루는 솜씨

돌다리를 살펴본다. 그런데 세상에 이렇게 놀라울 수가. 이 돌다리는 커다란 화강석 한 장을 이용해 조성을 한 것이다. 조형물을 갖다가 붙인 것이 아니고, 처음부터 커다란 돌을 이용해 다리를 만들었다. 어떻게 이 작지 않은 돌다리를 한 장의 석재로 만들 수가 있었을까? 조상님들의 돌을 다루는 솜씨가 그저 놀랍기만 하다. 

하긴 선조들의 솜씨에 감탄한 것이 어디 한두 번이었던가? 깎아지른 절벽에 돋을새김을 한 마애불을 보고 있노라, 서산에 해가 지는 것도 모른 적도 있었다. 부도탑에 새겨진 정교한 조각들을 보고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비에 새겨진 받침의 용두와 머릿돌의 꿈틀거리는 용을 보고, 흠칫 놀라기도 하였다.

다리는 여러 개의 돌을 합해 만든 것처럼 꾸몄으나 한 장의 졸로 조성을 하였다
▲ 다리 다리는 여러 개의 돌을 합해 만든 것처럼 꾸몄으나 한 장의 졸로 조성을 하였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그러한 뛰어난 석재를 다루는 선조들이었다. 새삼 주변을 돌아본다. 여기저기 널린 석재들에게서 눈을 떼지 못한다. 그 하나하나가 다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작은 내 위에 걸린 이 돌다리는 그것들 중에서도 눈에 띤다. 단 한 장의 석재를 깎아내어, 이런 훌륭한 작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 놀랍기만 하다.

지금처럼 장비가 좋았던 것도 아니다. 그저 망치에 정 하나만을 갖고 이 작품을 완성했을 것이다. 이 돌다리 하나가 7월 17일 뙤약볕 아래서 구슬땀을 흘리고 답사를 한 나에게, 선조들의 배려인 듯해 고맙기만 하다. 물론 나만의 생각이겠지만.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경기리포트와 다음 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석교, #돌다리, #화강암, #남양주 궁집, #한 장의 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