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6일 오전 서울 밀레리엄힐튼호텔에서 열린 제3회 아시아미래포럼이에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와 안철수 무소속 대선 후보가 참석해 자리에 앉고 있다.
 16일 오전 서울 밀레리엄힐튼호텔에서 열린 제3회 아시아미래포럼이에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와 안철수 무소속 대선 후보가 참석해 자리에 앉고 있다.
ⓒ 사진공동취재단

관련사진보기


"아픔이 있으면 치유를 해야 하고 보완해야 할 일은 보완해야 하지만, 그 과정에서 공동체라는 생각을 같이 해야 한다."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가 '통합'을 재차 강조했다. 안철수 무소속 대선후보는 고개를 끄덕였다. 박 후보는 16일 오전 서울 중구 밀레니엄 서울힐튼호텔에서 <한겨레> 주최로 열린 제3회 아시아미래포럼 참석 전 주최 측과 안 후보를 만나 "자꾸 국민을 편 가르기 하는데, 말은 통합이라고 하면서 내용은 국민을 찢어놓는 일은 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현재 박 후보는 정수장학회 지분매각 추진 논란으로 다시 과거사 논란에 휩싸인 상황이다. 박 후보는 지난 15일 경남 선거대책위 발대식에서 "내가 관여할 일이 아니다"며 정수장학회 논란과 선을 그었다. "(정수장학회가) 지역발전을 위해 좋은 일을 하겠다는 걸 가지고 야당이나 저나 법인에 이래라저래라 할 아무 관계가 없다"며 야권의 '대선용 이벤트' 공세를 일축하기도 했다.

박 후보가 이날 "말은 통합이라고 하면서 내용은 국민을 찢어놓는 일은 해선 안 된다"고 꼬집은 것 역시, 야권이 과거 문제를 놓고 '편 가르기'를 하고 있다는 인식이 기반된 것으로 보인다.

박 후보는 이어, "우리 모두가 대한민국 국민이다, 그래서 제가 100% 대한민국 이야기하는데 국민들이 더 찢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국민행복을 최고 가치로 생각하지만, 화합과 통합 위해 국민행복을 이뤄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후보보다 먼저 포럼장에 도착했던 안 후보는 묵묵히 박 후보의 말을 들었다. 간간이 고개를 끄덕이며 공감을 표하기도 했다. 앞서 안 후보 측 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은 지난 15일 "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이 '결승전 날이 다가오는데 저도 한몫해야 될 것 아니오'라고 한 부분은 '저와 관계없다'는 박 후보의 말과 배치된다"고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현대사에 내재된 상처 치유하고 국민통합 이룰 리더십 필요하다"

박 후보는 포럼 축사에서도 '통합의 리더십'을 강조했다. 그는 "격동의 시대, 변화의 시대에 우리에게 필요한 리더십은 무엇일까 생각해본다, 먼저 '통합의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우리 현대사의 특수성, 그 안에 내재돼 있는 아픔과 상처를 치유하고 그것을 통해서 새로운 국민통합과 국가도약을 이룰 수 있는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모두가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방황하는 시대에는 신뢰야말로 중요하다"며 "신뢰 리더십의  기본은 약속 지키기다, 정치든 외교든, 약속의 개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얼마나 많은 약속이 지켜지느냐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원칙과 신뢰'를 모토로 국민대통합 행보를 펼치고 있는 박 후보 본인의 지향점을 재차 설명한 셈이다. 박 후보는 이날 오후 새누리당 국민대통합위원들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뒤 강북구 수유동의 국립 4·19 민주묘지를 참배하는 등 '국민대통합' 행보를 할 예정이다.

그는 경제민주화 추진 의지도 다시 밝혔다. 박 후보는 "시장의 자유와 효율성을 최우선으로 하는경제체제에서 탐욕 추구가 만들어 낸 시장실패를 보완할 필요가 커졌고 정부 및 제3섹터의 역할이 중시되고 있다"며 "차갑고 반칙이 횡행하는 자본주의가 아니라 따뜻하고 원칙이 바로 선 자본주의가 요구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사회 전반에 만연한 불공정을 제거하여 더 이상 서러움과 억울함이 없는 나라, 복지와 일자리의 선순환을 통해 노력하면 더 나은 삶을 누릴 기회가 있는 나라, 성별과 지역과 학벌 때문에 차별받지 않고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공평한 나라, 이러한 국민행복의 시대를 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태그:#박근혜, #안철수, #정수장학회, #4.19 국립묘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