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삼성 반도체 노동자들의 직업병 문제가 처음으로 국회에서 다뤄졌다. 야당 의원들은 삼성전자를 대표해 참석한 최우수 부사장에게 "노동자들의 직업병을 인정하고 공식 사과하라"고 요구했지만 최 부사장은 "노력하겠다"는 원론적인 대답만 되풀이했다.

18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환노위)가 근로복지공단 등을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장에는 삼성전자계열 공장에서 송창호(43)씨와 한혜경(35)씨가 참고인으로 출석했다. 송씨는 1993년부터 만 5년 7개월 동안 삼성전자 온양 반도체 공장에서 납과 화학약품으로 반도체 도금작업을 했고, 2008년 악성 림프종 진단을 받았다. 기흥공장 LCD사업부에서 6년간 일하다 2001년 퇴사한 한씨는 2005년부터 뇌종양으로 투병 중이다.

"대화로 풀자"고 한 삼성, 보조참가인 불참 요구엔 '침묵'

고 이윤정씨가 삼성반도체 온양공장에서 6년간 일하다 악성 뇌종양으로 세상을 떠난 가운데, 지난 5월 10일 오전 서울 서초구 삼성 본관 앞에서 엄수된 노제에서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 '반올림' 회원, 삼성일반노조, 시민들이 참석해 고인의 넋을 위로하며 삼성의 사과를 요구하고 있다.
 고 이윤정씨가 삼성반도체 온양공장에서 6년간 일하다 악성 뇌종양으로 세상을 떠난 가운데, 지난 5월 10일 오전 서울 서초구 삼성 본관 앞에서 엄수된 노제에서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 '반올림' 회원, 삼성일반노조, 시민들이 참석해 고인의 넋을 위로하며 삼성의 사과를 요구하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송씨는 "같이 일한 동료들 중에도 아픈 사람들이 있고, 여사원들 머리가 빠지는 것도 많이 봤다"며 "삼성에서 (공장 생산) 라인 환경이 좋고 발암물질도 없다고 하는데 인정할 건 인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뇌종양 수술로 몸이 불편해진 한씨는 "하고 싶은 말이 있느냐"는 심상정 진보정의당 의원의 물음에 힘겹게 입을 열었다.

"산, 산업재해 인정해주세요. (그래야만) 펴, 편하게 병원생활 할 거에요. 그래야지만 될 거에요."

그러나 최우수 부사장은 '반도체 노동자들의 병은 직업병이 아니므로 산재가 아니다'라는 삼성의 기존 입장에서 한 치도 벗어나지 않았다. 그는 "지금까지 여러 가지 노력을 했지만 그 노력이 현재 아픈 분들에게 덜 전달된 것 같아 안타깝다"며 "함께 근무하다가 투병 중에 있는 분들이 쾌유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사과'란 단어나 '직업병을 인정하는 것'으로 읽힐 수 있는 표현은 피하는 모습이었다.

또 그는 "대화를 통해서 이 문제를 풀어보고자 하는 것"이라고 말했지만, 반도체 노동자들과 근로복지공단 간의 행정소송에 피고 측(공단) 보조참가인으로 참여하는 것을 그만두라는 야당 의원들의 요구에는 답하지 않았다.

"대화 뜻 전한 것"... "삼성의 대화 제안? 없었다"

10월 18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 앞서 '삼성으로부터 그 어떤 대화 제안도 받은 적 없다'며 기자회견을 연 삼성 반도체 직업병 피해자와 그 가족들.
 10월 18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 앞서 '삼성으로부터 그 어떤 대화 제안도 받은 적 없다'며 기자회견을 연 삼성 반도체 직업병 피해자와 그 가족들.
ⓒ 박소희

관련사진보기


지난 17일 일부 언론은 '삼성이 보조참가인 자격으로 소송에 참여하는 것을 중단하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이고, 피해자들에겐 대화를 제안했다'고 보도했다. 피해자들은 같은 날 오후 늦게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라는 내용의 입장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최 부사장은 "아직 구체적인 내용을 준비한 적 없다"며 "단지 소송대리인을 통해 적극적으로, 또 진심으로 대화하면 좋겠다고 전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최 부사장은 삼성이 반도체 노동자들의 문제를 두고 곳곳에서 비판받는 상황이란 점도 인정했다. 환노위 소속 의원들은 공통적으로 '삼성 같은 글로벌기업이라면 의지를 갖고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 부사장은 "투자사로부터 (직업병 관련) 문의가 자주 오고, 회사 이미지에도 상당히 어려움이 있다"며 "이른 시일 안에 문제가 해결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삼성 직업병 피해자들과 이들을 돕는 시민단체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지킴이'(반올림)은 18일 오후 국감에 출석하기 전 기자회견을 열어 "삼성은 피해자와 반올림에 공식적으로, 또 '조건 없는' 대화를 제안한 적이 없다"고 거듭 밝혔다.

반올림에서 활동하는 공유정옥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연구원은 이 자리에서 "지난 2월 삼성전자 건강연구소 부소장이 만남을 제안하는 메일을 보냈다"며 "4월과 8월 두 차례 삼성에 공문을 보냈지만 묵묵부답이었다"고 설명했다. 공 연구원은 "대화 제안을 받은 적도 없는데 16일 산재 집단신청, 18일 국감이 있는 중요한 시기에 ('삼성과 피해자들의 대화가 시작됐다'는) 언론보도가 나왔다"며 "이 같은 언론 플레이에 언론과 사회구성원들이 휘둘리지 않으셨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삼성에서 일하다 백혈병으로 숨진 고 황유미씨의 아버지 황상기씨도 "삼성으로부터 어떠한 대화 제의도 받은 적이 없다"며 "삼성이 (노동자들을) 발암물질과 방사선에 과다노출시킨 결과 병에 걸린 것, 산재라는 걸 인정하고 사과하면 언제든 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엔지니어로 일하던 남편을 똑같은 병으로 잃은 정애정씨도 "지금 삼성전자 블로그를 봐도 우리 이야기가 다 거짓이라는 글이 올라와 있다"며 "(삼성은 피해자들을) 직업병으로 인정하지 않고 우리가 생떼를 쓰는 것처럼 만들고 있다"고 비판했다.


태그:#삼성, #삼성 백혈병, #반올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