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구이용 흑염소입니다.(핸드폰으로 찍은 겁니다)
 구이용 흑염소입니다.(핸드폰으로 찍은 겁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색다른 먹을거리 없을까?"

먹을 때마다 고민입니다. 식도락(食道樂)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행복한 고민입니다. 이로 보면 행복은 역시 가까운 곳에 있는 게 분명합니다. 사는 곳에서 마땅히 먹고 싶은 게 떠오르지 않다면 외지로 눈을 돌리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여행 삼아 훌쩍 떠날 겸, 또 입에 맞는 음식을 찾는 재미 또한 좋습니다. 어제, 지인이 먹을거리 여행에 동행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재고 자시고 할 거 없어 바로 "콜~ " 했습니다. 그랬더니, 지인 입이 찢어졌습니다. 뺄 줄 알았는데, 시원하게 'OK' 사인이 났다는 겁니다.

고속도로가 막히지 않고 시원하게 뚫리니 기분마저 상쾌했습니다. 그동안 못다 한 이야기도 나누고, 우정도 나누며 '룰루랄라~' 흥에 겨웠습니다. 메뉴를 물었더니 "흑염소 어때?" 묻더군요. 두말할 필요 없었습니다. 몸보신(補身)도 하고, 여행도 즐기니 누이 좋고 매부 좋은 격이었습니다.

'누린내는 안 날까?' 의심 속에 맛본 흑염소구이

흑염소구이 밑반찬입니다.
 흑염소구이 밑반찬입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경남에서 맛이 먹는 콩잎 장아찌입니다.
 경남에서 맛이 먹는 콩잎 장아찌입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소고기와 비슷한 흑염소 구이입니다.
 소고기와 비슷한 흑염소 구이입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이렇게 지난 토요일 찾은 곳이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여양리 둔덕마을의 '흑염소마을'입니다. 지난해 가을, 한 번 찾았던 곳이라 맛에 대해 왈가왈부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음식이 나오기만 하면 손가락 까닥 놀려 맛있게 먹기만 하면 그만인 곳이니까.

주인장은 도시에서 살다 시골을 찾아 들어온 귀농인입니다. 그런 그가 지금은 동네 이장까지 맡는 걸 보면 성공한 축입니다. 대개 귀농인들이 마을 사람들과 어울리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데 반해, 이장까지 하는 건 엄청난 성공(?)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는 얼굴에 털이 많아 이름보다 '털보'라는 별칭이 더 어울리는 사람입니다.

흑염소 맛 기행에는 몇 번 만났던 지인 친구까지 합세했습니다. 좋은 건 나눠 먹는다는 취지였습니다. 밑반찬은 간단했습니다. 콩잎, 기름장, 양념 된장, 김치, 상추 등이었습니다. 마산 등 경상도에서만 많이 먹는다는 콩잎 장아찌가 특이했습니다. 투박했지만 먹을 만하더군요.

어~, 그런데 저번에 먹은 메뉴와 달랐습니다. 저번에는 주방에서 염소를 일차로 볶아 낸 흑염소 불고기였는데, 이번에는 불판에 굽는 구이였습니다. 이렇게 먹으면 '누린내는 안 날까?' 의심스러웠지만 한번 먹어보자 싶었습니다. 새로운 걸 먹기 위해서는 '도전'이 필요하니까.

맛 여행은 머릿속 깊이 박힌 추억이 있을 때 가능

흑염소구이도 소고기와 먹는 방법이 같습니다.
 흑염소구이도 소고기와 먹는 방법이 같습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흑염소마을 주인장 털보아저씨입니다.
 흑염소마을 주인장 털보아저씨입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흑염소구이 부드러운 맛이었습니다.
 흑염소구이 부드러운 맛이었습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흑염소가 나왔습니다. 음식이 나오면 입으로 먹기 전에 먼저 눈으로 먹습니다. 이 점에서 충분히 합격점이었습니다. 색깔이 소고기와 아주 흡사했습니다. 아니, 더 곱다고 할까. 대신, 흑염소 불고기는 소고기에 비해 완전 얇게 썰어져 있었습니다. 이쯤 되자 맛이 더욱 궁금했습니다.

고기가 익자 얼른 한 입 넣었습니다. 어쭈구리, 맛이 장난 아니었습니다. 입 안에서 살살 녹았습니다. 상추고 뭐고 챙길 틈이 없었습니다. 흑염소를 얇게 썬 탓이지만, 사람 입맛에 맞게 연구한 노력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귀농해서 몇 차례 말아먹은 뒤끝으로 이해했습니다.

"이렇게 구워 먹는 줄 알았으면 그때 이걸 먹었어야 했는데…."

지인은 자신이 유사였던 친구 계모임에서 메뉴 선택에 대해 후회했습니다. 그만큼 누린내가 없고, 고기도 질기지 않고 부드러웠으며, 영양까지 만점이란 의미였습니다. 저도 염소를 먹는 것도 괘 괜찮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습니다. 맛을 찾아 떠난 여행은 특별합니다. 맛 여행은 머릿속 깊이 박힌 추억이 있을 때에만 가능합니다. 맛에 대한 기억은 좀체 왜 빗나가지 않은지, 알 수가 없네요. 맛 기행은 그 자체로 행복입니다.

흑염소구이입니다.
 흑염소구이입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흑염소구이 된장에 찍어 먹어도 맛있더군요.
 흑염소구이 된장에 찍어 먹어도 맛있더군요.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흑염소도 마블링이 소고기와 비슷합니다.
 흑염소도 마블링이 소고기와 비슷합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제 블로그에도 올립니다.



태그:#흑염소구이, #콩잎장아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묻힐 수 있는 우리네 세상살이의 소소한 이야기와 목소리를 통해 삶의 향기와 방향을 찾았으면... 현재 소셜 디자이너 대표 및 프리랜서로 자유롭고 아름다운 '삶 여행' 중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