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고리원전. 사진은 고리1호기(오른쪽)와 고리2호기 모습. 7일 정부는 '현재 가동 중이거나 건설 중인 28개 원전 모두의 10년치 시험성적서 12만6000건을 전수조사하겠다'고 밝혔다.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고리원전. 사진은 고리1호기(오른쪽)와 고리2호기 모습. 7일 정부는 '현재 가동 중이거나 건설 중인 28개 원전 모두의 10년치 시험성적서 12만6000건을 전수조사하겠다'고 밝혔다.
ⓒ 정민규

관련사진보기


정부가 원전 비리와 관련한 대책으로 현재 가동 중이거나 건설 중인 28개 원전 모두의 10년 치 시험성적서 12만6000건을 전수조사하겠다고 밝혔다.

정홍원 국무총리는 7일 오전 정부 서울청사에서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 원전비리 재발 방지대책을 논의한 후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이어 "강도 높은 수사를 통해 관련자 모두를 법에 따라 엄중하게 처벌하겠다"며 "고의적 범죄가 아니더라도 지금의 사태와 관련됐다면 지위를 막론하고 징계를 포함한 응분의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28개 모든 원전을 대상으로 시험성적서 전수조사를 거쳐 진위를 낱낱이 밝히겠다"면서 "이에 대한 내부고발과 자진신고 제도를 일정기간 운영할 방침도 내놨다. 또한 "'원전 마피아'로 불리는 구조적인 유착관계를 근절하기 위해 한국수력원자력 등 원전 관련 공기업 퇴직자가 유관업체에 재취업하는 것을 금지하고 퇴직자를 활용한 입찰 참여도 제한하겠다"고 밝혔다.

서류만으로 재점검 가능? "어쩔 수 없어"

정 총리는 이날 원전 비리의 가장 큰 문제로 부품제작사와 시험기관, 발주처 사이에 폐쇄적인 구조로 얽혀있는 유착관계를 꼽았다.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를 타파하지 못하면 어떠한 대책도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 시험성적서 전수조사  ▲ 원전 관련 공기업 퇴직자 유관기관 재취업 금지 ▲ 외부인사 영입 등이 발표됐다. 이번에 문제가 발견된 품질검증시스템 역시 기존 시험기관의 검사 결과를 국책기관이 재검증하는 '더블체크제'를 도입해 보완하고 비리가 발견될 경우 가중처벌 할 계획이다.

그러나 불량 부품 납품으로 원전 3기의 가동이 중단된 마당에 이같은 대책으로는 현재 가동중인 나머지 원전들의 안전성 문제는 담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원칙적으로 안전성에 직결되는 문제가 또 발견될 경우 해당 원전은 바로 정지되게 된다.

서류 재점검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이유는 또 있다. 실제로 지난해 원전 비리 사건이 발생했을 때 민관합동조사단이 2개월 동안 활동했지만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는 결과가 나온 전례가 있기 때문. 이날 기자회견에서도 이 지점에 질문이 집중됐다.

이은철 원자력안전위원장은 '서류검토만으로 재점검이 가능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지금 서류검토만으로 충분하느냐 하는 데에는 의아해하는 분이 많을 것"이라며 수긍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서류검토 밖에) 어쩔 수 없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전산화해서 자동 비교가 가능하도록 만드는 2가지(장·단기) 대책을 세우고 있는 것"이라고 답했다.

한편 윤상직 산업자원부 장관은 '원전에 의존하는 비율이 크다보니 원전 몇 기 멈추니 전력난이 일어나는데 궁극적 대책을 마련할 생각 없느냐'는 질문에 "전력수급과 관련된 부분은 원전과 직접 연결시키기는 어렵다"고 답했다. 그는 "우리가 수요 예측을 잘못해 공급확충이 제대로 안 됐다"며 "선진국처럼 예비율을 20% 이상 가져가면 안정적인 전력수급이 가능할 것"이라는 대답을 내놨다.

윤 장관은 "현재 23개의 원전이 건설돼 있고 앞으로 11개가 추가적으로 건설 계획돼 있다"며 "96%의 에너지를 수입하는 한국 입장에서는 적정한 수준의 원전은 불가피하다"고 덧붙였다. 지금의 원자력 중심 전력공급 기조에는 변함이 없다는 얘기다.

윤 장관은 현재 부품 교체 중인 세 곳의 원전이 재가동되는 시점에 대해서는 "4개월 정도 걸릴 것"이라고 답했다.


태그:#윤상직, #원전, #원자력안전위, #원전 비리, #원전 대책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