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고리원전. 사진은 고리1호기(오른쪽)와 고리2호기 모습.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고리원전. 사진은 고리1호기(오른쪽)와 고리2호기 모습.
ⓒ 정민규

관련사진보기


20일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본부의 안팎은 소란스러웠다. 검찰 원전비리수사단은 이날 고리원전을 비롯한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에 대한 전격 압수수색에 나섰고, 원전 밖에서는 한·일 시민사회단체의 원전 비리 규탄 기자회견이 이어졌다.

부산지검 동부지청에 마련된 원전비리수사단은 이날 오전 10시께부터 한수원 관계시설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서울 삼성동 한수원 본사를 비롯한 부산 고리원자력본부, 경주 월성원자력본부 등이 압수수색 대상이었다.

검찰은 한수원 뿐만 아니라 한수원 전·현직 임직원 자택 등에도 수사인력을 보내 압수수색을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검찰의 압수수색은 원전 비리와 한수원의 연관성을 찾기 위한 작업으로 보인다. 이미 검찰은 지난 18일 한수원의 전·현직 간부를 체포해 수사를 진행 중인 상태다.

간부의 비리연루 혐의와 함께 60여명의 수사인력이 동시에 투입돼 이루어진 압수수색을 당한 한수원 측은 바짝 긴장한 모습이었다. 검찰의 압수수색이 진행되고 있는 동안 고리원전은 평소보다 많은 경비 인력을 배치해 출입 인원 및 차량에 대한 검문검색을 실시했다. 또 취재 중인 기자들에게도 취재목적과 소속회사를 확인하는 등 민감하게 움직였다.  

탈핵아시아평화 한일시민투어 참가자들은 20일 오후 2시부터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본부 앞에서 원전 비리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탈핵아시아평화 한일시민투어 참가자들은 20일 오후 2시부터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본부 앞에서 원전 비리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 정민규

관련사진보기


오후 2시부터 시작한 한·일 시민사회단체의 기자회견에서는 정부와 원전 당국을 성토하는 목소리가 울려퍼졌다. 탈핵 아시아 평화 한일시민투어에 참가하기 위해 한국을 찾은 양국의 시민사회계는 국제연대를 통한 탈핵과 평화 실현을 소망했다.

이들은 "이번 사건이 납품업체와 시험업체, 한수원만의 고질적 관행으로 인한 문제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두고자 한다"며 "제대로 책임지려 한다면 원자력진흥이라는 정책을 폐기하고 정부와 핵산업계 내 특정출신의 폐쇄적인 인사구조를 전면 개혁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이들은 수명연장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고리1호기의 즉각 폐쇄도 주문했다. 이들은 "고리1호기는 설계수명이 지난 낡은 발전소로서 작은 부품의 오작동으로도 치명적인데 그간 교체된 부품 또한 신뢰할 수 없느 상황인 만큼 정부와 한수원, 원자력안전위원회는 더 이상 부산시민을 우롱하지 말고 고리1호기를 즉각 폐쇄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밖에도 한·일 시민사회단체 인사들은 ▲ 제대로 된 규제기관의 운영 ▲ 시민사회의 참여를 통한 원전 안전 담보 ▲ 국제 연대통한 탈핵평화운동 등을 촉구했다. 고리원전을 찾은 이흥만 반핵부산시민대책위 공동대표는 "국민적 합의와 정부의 결단만 있다면 탈핵 사회로 갈 수 있다"며 "이러한 결단을 박근혜 대통령이 해달라"고 호소했다.


태그:#고리원전, #원전비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