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앞에서 '제1회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 기념 세계연대행동 및 제1087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시위'가 열렸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 할머니(왼쪽)와 중국에서 거주해 온 하상숙 할머니가 연단에 올라 증언을 하고 있다.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앞에서 '제1회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 기념 세계연대행동 및 제1087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시위'가 열렸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 할머니(왼쪽)와 중국에서 거주해 온 하상숙 할머니가 연단에 올라 증언을 하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앞에서 '제1회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 기념 세계연대행동 및 제1087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시위'가 열렸다.
▲ 제1회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 기념 세계연대행동 개최 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앞에서 '제1회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 기념 세계연대행동 및 제1087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시위'가 열렸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광복 68주년을 하루 앞둔 14일, 일본군 강제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88) 할머니는 "난 아직 해방되지 못했다"고 잘라 말했다. 이날 서울 중학동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수요집회에 참석한 김 할머니는 "난 우리나라가 힘이 없을 때 일본군에게 무참히 희생당했다"며 "이제 우리나라도 힘을 가지게 됐는데 여전히 일본 정부는 망발을 하고 조금도 사죄하는 내색을 안 보이고 있어 너무나도 억울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아래 정대협) 주최로 열린 이날 수요집회는 1087째를 맞았지만 여전히 일본군 위안부 피해 문제는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김 할머니는 "과거를 청산하기도 전에 일본 정부는 법을 바꿔서 다시 전쟁하겠다는 꿍꿍이를 가지고 있다"며 일본의 우경화를 비판했다. 그러면서 "LA에 소녀상을 세웠듯이 일본 도쿄에도 동상을 세울 것이다, 동상 세우기 전에 일본 정부는 하루빨리 사과와 배상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그는 "박정희 정권 때 한일기본협정을 체결해 우리가 배상 받을 기회를 놓쳤는데, 박 전 대통령이 못한 일을 딸인 박근혜 대통령이 나서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대협 "일본, 평화헌법 개악 중단하고 과거청산에 앞장서야"

한 여학생이 일본 정부를 향해 "과거는 지워지지 않는다"는 피켓을 높이 들고 있다.
 한 여학생이 일본 정부를 향해 "과거는 지워지지 않는다"는 피켓을 높이 들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응원하는 피켓을 준비해 온 학생들.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응원하는 피켓을 준비해 온 학생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폭염에도 열린 이날 수요집회에는 김 할머니를 비롯해 태평양전쟁 이후 귀국하지 못하고 중국에서 거주해 온 피해자 하상숙(85) 할머니도 함께했다. 이외에도 학생과 시민 3000여 명(주최 쪽 추산·경찰 추산 1300명)이 참석해 위안부 피해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집회가 열린 시각 서울 낮 기온은 33도까지 올랐지만 다들 나비 모양의 부채를 흔들며 자리를 지켰다.

이날 수요집회는 올해 첫 회인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을 기념하는 자리이기도 했다. 기림일은 고 김학순 할머니가 일본군 강제 위안부 피해 사실을 최초로 공개 증언한 날인 1991년 8월 14일을 기념해 제정됐다. 한국을 비롯해 미국·일본 등 9개 나라 17개 도시에서도 기념행사가 함께 진행됐다.

정대협은 기림일을 맞아 당시 김학순 할머니의 공개 증언 영상을 상영했다. 화면 속 할머니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입은 내가 엄연히 살아있다"고 또박또박 말했다. 김학순 할머니가 처음으로 위안부 피해 사실을 세상에 알린 지 22년이 흘렀지만 일본 정부는 여전히 침묵하고 있다. 그 사이 할머니들은 세상을 떠났고, 최근에는 이용녀 할머니가 별세했다. 이제 일본군의 만행을 증언할 수 있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는 57명이 생존한 상태다.

정대협은 "일본은 전쟁시에 위안부가 필요하다는 시대착오적인 망언과 피해자를 향한 인권침해적 언동들을 일삼고 있다"며 "일본 정부는 침략전쟁 준비와 평화헌법 개악을 중단하고 올바른 과거청산에 앞장서는 것만이 일본을 위한 길이란 것을 알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오래 전에 했어야 할 숙제를 풀지 못하고 방관하고 있는 한국 정부도 역시 피해자들을 기나긴 거리투쟁으로 내모는 반인권적 직무유기를 조속히 중단해야 한다"며 "더 이상의 방관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인권과 국민적 기본권조차 부정하는 또 다른 인권침해"라고 강조했다.

정대협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해 지난 2월부터 온·오프라인에서 '1억인 서명운동'을 시작했다. 정미향 정대협 상임대표는 "이날 오전 9시를 기준으로 세계 각국에서 100만694명이 참가했다"며 "앞으로 1억 명의 목소리가 모이면 일본 정부도 알아서 사과하지 않을까 싶다"고 전했다.

이날 집회에는 니마 나마다무 콩고민주공화국 여성인권운동가 등 세계 각국 여성 운동가들도 참석했다. 홍익표·이미경 민주당 의원, 이정희 통합진보당 대표도 함께했다. 홍 의원은 전체 국회의원 300명 가운데 238명이 참가한 서명용지를 정대협에 전달하면서 "'일제 침략사·범죄 부정 처벌 법안'을 정기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일본대사관앞 수요시위는 14일로 1087번째 열리고 있다.
 일본대사관앞 수요시위는 14일로 1087번째 열리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민주당 홍익표 의원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세계 1억인 서명운동>에 동참한 국회의원 238인의 서명지를 들어보이고 있다.
 민주당 홍익표 의원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세계 1억인 서명운동>에 동참한 국회의원 238인의 서명지를 들어보이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세계연대행동 및 수요시위 참석자들이 나비모양의 피켓을 흔들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세계연대행동 및 수요시위 참석자들이 나비모양의 피켓을 흔들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수요시위 참석자들이 함성을 외치고 있다.
 수요시위 참석자들이 함성을 외치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일본대사관앞을 가득메운 시민과 학생들.
 일본대사관앞을 가득메운 시민과 학생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태그:#수요집회, #일본군 위안부
댓글9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