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고리원전. 사진은 고리1호기(오른쪽)와 고리2호기 모습.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고리원전. 사진은 고리1호기(오른쪽)와 고리2호기 모습.
ⓒ 정민규

관련사진보기


각종 사고와 비리로 몸살을 앓고 있는 원자력발전소 문제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부산시가 나섰다. 국내 최고령 원전인 고리1호기를 비롯 최다 원전 밀집 지역을 끼고있는 부산시는 올해 처음으로 원전전담 부서인 원자력 안전실을 신설하고 오는 13일 현판식을 연다.

부산시는 이번 '원자력 안전실' 신설을 두고 "원전안전에 대한 시민 불안을 해소하고 안전한 부산을 만들기 위해 앞으로 원전안전 문제에 적극적인 역할과 대처를 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나타낸 것"이라 자평했다.

이번 원자력 안전실 신설로 기존 담당체제로 운영했던 원자력안전 조직을 확대 개편해 실장(일반직 4급) 및 2담당 8명 직원을 배치하고 도시개발본부장 직속으로 조직을 격상시켰다. 향후 원전안전실은 자체 방사능 감시시스템 구축 및 분석결과 시민공개, 주민보호 시설 및 장비 확보 등 현실성 있는 주민보호대책 마련, 원자력시설 통합방호태세 구축, 정부·한국수력원자력 원전안전대책 촉구, 감시 등의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부산시는 다른 원전 소재 시·도와 원전안전 및 현안사항에 대해 공동대처 등 상호 협력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또 부산시는 원전안전실 신설과 함께 인적·사회적 재난 유형에 대비하기 위한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을 마련했다.

부산시는 "인적·사회적 재난은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전혀 알 수 없으며 예측이 불가능해 대형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며 "특히 초동대응에 따라 피해규모가 결정될 수가 있어 재난대응 행동매뉴얼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새로 마련한 행동매뉴얼에는 원전안전을 비롯해 도시철도, 대규모 환경오염, 가축질병,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등 25개 재난에 대한 초동대응과 현장조치, 지역안전대책본부 설치 및 운영 등의 내용이 담겼다.

김종해 행정부시장은 "상황 발생시 신속한 초기 대응으로 피해를 최소화 하고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행동 매뉴얼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번 정비된 매뉴얼을 지속적으로 정비·보완해 나가야 되며 사고 발생시 유관기관과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해 시민이 행복한 안전한 부산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태그:#고리원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