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왼쪽부터 두번째), 민병희 강원도교육감, 김승환 전북도교육감이 20일 토론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왼쪽부터 두번째), 민병희 강원도교육감, 김승환 전북도교육감이 20일 토론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 윤근혁

관련사진보기


정부가 국정교과서와 편수국 부활을 추진하고 나서자 일부 시도교육감들이 "정당성 없는 유신정권을 미화했던 국정교과서의 부활은 시대착오적"이라며 정면 반박하고 나섰다. 21일 오후 교육시민단체들이 연 토론회 자리에서다.

"정당성 없는 정권 미화 위한 게 국정교과서"

이날 교육운동연대와 교육원탁회의가 서울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공동으로 연 '교육감에게 묻는다' 토론회에 참석한 민병희 강원도교육감·김승환 전북도교육감·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은 "교학사의 고교<한국사> 교과서 채택이 좌절된 뒤 정부가 국정교과서와 편수국 부활을 추진하는 것은 퇴행적인 조치"라고 입을 모았다. 이날 토론회에는 교육시민단체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했다.

민병희 교육감은 "(중·고교) 역사교과서를 국정교과서로 만든 것은 박정희의 유신 시절인 74년부터였다"면서 "독재 권력이나 정당성이 없는 정권을 미화하기 위한 것이 국정교과서"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민 교육감은 "현 정부가 국정을 추진하는데 이 정부가 뭐가 문제가 있지 않느냐, 뭔가 감춰야 할 게 있지 않느냐 하는 생각을 갖게 된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국정교과서? 합법적으로 정당하게 대응할 것"

이에 대해 김승환 교육감은 "국정교과서가 발행되면 전북도교육청은 자체적으로 고교 <한국사> 교과서를 만들 것"이라면서 "이렇게 되면 정작 수업시간에는 국정교과서는 휴짓조각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김 교육감은 "이처럼 국정교과서 체제로 가게 되면 우리 교육청은 합법적이고 교육적으로 정당하게 대응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상곤 교육감도 "교학사 역사교과서 문제는 '이런 방식의 역사교과서는 이념적인 문제를 떠나서 우리 국민의 역사 상식에 맞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줬다"면서 "정부가 편수국을 만드는 것은 시대착오적이고 과거 퇴행적인 조치"라고 몰아붙였다.

한편, 이날 토로회에 참석한 교육감 세 명은 이명박 정부가 만든 자율형사립고(자사고)에 대해서도 "평가를 통해 재지정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에 따르면 시도교육감은 자사고와 특수목적고(특목고) 등에 대해 5년에 한 번씩 평가해 재지정 여부를 결정토록 하고 있는데, 자사고에 대해서는 올해 평가를 벌여야 한다.

김상곤 교육감은 "이미 지난해 자사고와 특목고에 대해 예비평가를 진행했다"면서 "경기도 교육청은 철저하게 평가 결과에 따라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승환 교육감도 "자사고든 특목고든 좋지 않은 평가 점수를 받으면 탈락을 시킬 수밖에 없다"고 잘라 말했다.

덧붙이는 글 | 인터넷<교육희망>(news.eduhope.net)에도 보냈습니다.



태그:#국정교과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에서 교육기사를 쓰고 있습니다. '살아움직이며실천하는진짜기자'가 꿈입니다. 제보는 bulgom@gmail.com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