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창근 통합진보당 대전시당 위원장이 대전시장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김창근 통합진보당 대전시당 위원장이 대전시장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 오마이뉴스 장재완

관련사진보기


김창근 통합진보당 대전시당 위원장이 6월 4일 치러지는 대전시장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김 위원장은 13일 오전 대전 대덕구 오정동 통합진보당대전시당 대회의실에서 출마 기자회견을 갖고 "불통과 독재를 심판해야 민주와 복지가 찾아온다"면서 "민주를 수호하는 강력한 유일한 야당 통합진보당과 노동자·서민과 함께 해온 김창근을 대전시장으로 선택해 달라"고 호소했다.

김 위원장은 우선 출마선언문을 통해 통합진보당에 대한 박근혜 정권의 탄압을 강력히 비판했다. 그는 "박근혜 정권은 실체적 진실이 드러난 총체적 관권부정선거와 대선공약 파기로 국민저항에 부딪히자 종북몰이와 내란음모 조작사건을 만들어냈다"며 "또한 위헌정당 심판청구로 진보당을 강제 해산 시키려는 야당탄압 정당파괴를 일삼는 독재정권"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역사적으로도 부정한 정권, 독재 정권들이 자신의 권력을 지키고자 했던 것이 바로 용공조작사건이었다"며 "진보당 조봉암 선생이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고, 김대중 전 대통령이 내란음모죄로 사형을 받았지만, 역사는 진실을 밝히고, 두 분에 대한 무죄를 선고했다, 지금이 바로 그 역사적 연장선상에 있음을 부정하지 않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박근혜 독재를 심판하여 대전을 민주도시로 만들겠다"는 대전시장 선거 출마 이유를 밝혔다. 그는 "박근혜 독재에 맞서 제대로 싸울 수 있는 강력한 야당을 국민들은 원한다, 진정한 야당, 통합진보당 대표 김창근이 민주주의를 지키고자 당당히 나섰다"고 밝혔다.

그는 또 "박근혜 독재정권을 막는 일은 우리 시민들의 복지를 되찾아 오는 일이다, 박근혜 정부는 지난 대선기간에 약속했던 복지공약을 모조리 폐기하고 지키지 않고 있다"며 "복지공약이 거의 모두 파기된 상황에서 대전시민의 복지의 행복한 삶을 위해 대전시장이 할 수 있는 것이 거의 없는 것도 현실이다, 부정한 정권 박근혜 정권을 심판해야 민주주의를 지키고, 서민들의 복지를 지켜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민선 5기 염홍철 대전시장은 도시철도 2호선 논란과 엑스포 과학공원 조성 사업 등에서 대전시민들과의 소통에서 실패했고, 독단적인 추진으로 인해 많은 갈등을 일으켰다"며 "시민과 정치인의 신뢰회복은 소통에 있다, 대전시민과 소통의 공간, 서민들의 어려움이 있는 공간 그 자리에 김창근이 서 있겠다"고 밝혔다.

그는 끝으로 "저 김창근은 노동자, 서민의 어려움이 있는 자리, 그 자리에서 늘 귀 기울이면서 함께 해 왔다"며 "불통과 독재를 심판해야 민주와 복지는 찾아온다, 서민을 위한 길, 독재 정권에 맞서 싸우는 길, 민주와 복지가 꽃피는 도시 대전을 만드는 길에 저 김창근이 앞장 서겠다"고 덧붙였다.

김창근 통합진보당 대전시당 위원장이 대전시장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김창근 통합진보당 대전시당 위원장이 대전시장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 오마이뉴스 장재완

관련사진보기


충남 금산고를 졸업한 김 위원장은 아람회 국가고문조작 사건과 관련한 5.18민주화운동 유공자다. 그는 민주노총대전본부 비상대책위원장과 우리겨레하나되기 대전충남운동본부 공동대표 등을 지냈으며, 현재는 (재)대전 김대중기념사업회 이사와 관권부정선거 진상규명 민주수로 대전범국민운동본부 공동대표 등을 맡고 있다. 지난 2010년 총선에서는 대전 대덕구에서 야권단일후보로 출마한 바 있다.

이날 질의응답에 나선 김 위원장은 '야권연대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야권이 연대하지 않으면 승리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따라서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선거에 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통합진보당대전시당은 이번 지방선거에서 유성구청장(유석상 위원장)과 대덕구청장 등 20여명의 후보를 출마시킬 예정이다.


태그:#김창근, #대전시장 선거, #대전시장, #통합진보당, #6.4지방선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향나무는 자기를 찍는 도끼에게 향을 묻혀 준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