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교육시민단체들은 7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황우여 교육부장관 후보자에 대해 “교육의 정치적 중립과는 가장 거리가 먼 인물”이라며 “즉각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 "교육의 정치 중립과 가장 거리가 먼 인물" 교육시민단체들은 7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황우여 교육부장관 후보자에 대해 “교육의 정치적 중립과는 가장 거리가 먼 인물”이라며 “즉각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 이창열

관련사진보기


황우여 교육부장관 후보자의 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황 후보자가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과는 거리가 먼 인사라는 이유가 첫 손가락에 꼽힌다.

교육운동연대와 교육혁명공동행동 등 교육시민단체들은 7일 오전 국회 앞에서 황우여 교육부장관 후보자 사퇴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 교육시민단체에는 전국교수노동조합과 전국교직원노종합,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평등교육실천전국학부모회 등 50여 개 교육분야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황우여, 사립학교법 개악 주도한 장본인"

김정훈 전교조 위원장은 "황 후보자는 평생 보수정당에 있으면서 사립학교법 개악을 주도한 장본인"이라면서 "교육부가 선생님들을 직접 고발했지만 사회통합을 위해 어떤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라고 지적했다.

교육시민단체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황 후보자가 교육부장관으로 부적합한 이유로 '정치중립 위반'을 우선 걱정했다.

국회의원 4선 경력의 황 후보자는 지난 18년 동안 보수정당의 주요 당직을 거쳤고, 최근에는 새누리당 당대표를 역임했다. 황 후보자는 특히 지난 2005년 국회 교육상임위원회 위원장을 맡으면서 박근혜 당시 한나라당 대표, 사학재단 이사장, 교장들과 함께 개혁 사학법 무력화 투쟁에 앞장섰다.

당시 사학교장들은 집회에 참여하면서 불법적으로 출장비까지 챙겨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기도 했다. 지난 달 수업결손을 예방하면서까지 조퇴투쟁에 참여한 교사들에게 대대적인 색출과 징계를 강행하고 있는 교육부의 행태와 대조를 보이는 대목이다.

"세월호 참사가 남긴 교훈 이행할 인물 아니다"

교육시민단체들은 황 후보자가 인사청문회를 거쳐 교육부 장관에 임명되면 교사 시국선언과 조퇴투쟁에 참여한 교사들에 대한 형사고발과 대량징계, 전교조 전임자 직권면직 직무이행명령, 교육감 형사고발 등 교육현장의 갈등이 더욱 증폭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내각개편이 이뤄졌지만, 황 후보자는 교육계에 산적해 있는 비리와 교피아 문제 등 세월호 참사의 교훈을 이행할 인물이 절대 될 수 없다"라면서 "즉각 사퇴하는 게 맞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위원장 설훈)는 이날 오전 황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열었다. 황 후보자의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 여부는 오는 8일 오전 전체회의를 통해 결정될 예정이다. 국회의 인사청문회 문턱을 넘으면 다음 주에 대통령이 공식 임명한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교육희망>에도 함께 싣습니다.



태그:#황우여, #교육부장관 후보자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시민기자입니다. 교육 분야에 관심이 많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