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낡은 고리원자력발전소 1호기 폐쇄 요구가 높은 가운데, 부산 기장군 고리에서 원전사고가 날 경우 부산은 물론 경남 창원·양산·김해 등 상당수 기업들의 수출에도 지장을 초래하기에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고리1호기 핵발전소 폐쇄 1인시위'에 나선 박종권 마산창원진해환경연합 공동의장은 이같이 경고했다. 마창진환경연합은 6일부터 매주 두 차례(수·목요일), 두 달 동안 창원 정우상가 앞에서 1인시위를 벌이고 있다.

박 의장은 창원에 있는 한국전력공사 경남지사 앞에 이어 정우상가 앞에서 피켓을 들고 서 있었다. 마창진환경연합 박옥순씨 등 회원들도 1인시위에 나섰다.

"고리1호기 수명연장, 국민 목숨 담보로 전기 장사 하는 것"

박종권 마산창원진해환경연합 공동의장은 고리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폐쇄를 요구하며 창원 정우상가 앞에서 1인시위를 벌였다.
 박종권 마산창원진해환경연합 공동의장은 고리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폐쇄를 요구하며 창원 정우상가 앞에서 1인시위를 벌였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마창진환경연합은 "산업통상자원부는 낡고 불안한 고리1호기 수명연장 절차를 밟겠다고 하는데, 이는 국민들의 여론을 무참히 짓밟는 행동이며 국민의 목숨을 담보로 전기 장사를 하는 것"이라며 "고리 핵발전소 폐쇄를 위해 시민들의 관심을 모아 나갈 것"이라 밝혔다.

마창진환경연합은 피켓에 "고리1호기 핵발전소 치아뿌라. 후쿠시마 원전사고도 낡은 순서대로 폭발. 또 수명연장 시도중. 1978→2007→2017", "고리1호기 총 130여회 고장→사고. 연평균 3.69회 고장. 우리나라 23기 핵발전소 고장→사고의 20% 차지. 이제는 우리가 폐차해야 할 시간"이라 썼다.

또 이 단체는 "원자로 파괴검사 불합격에 안전성 꼼수. 2012년에 블랙아웃. 툭하면 납품비리와 짝퉁 부품. 비상사태시 긴급냉각이 불가능", "전력수급 운운하지만 전력피크시기에 예방정비로 가동중단. 잦은 고장으로 인한 운행기간마저 적다. 전체 전력 생산량의 0.5%"라고 피켓에 밝혔다.

박종권 "원전사고 나면 창원공단은 마비"

경남 주요 도시는 부산 기장 고리핵발전소와 가깝다. 창원시청까지 57km, 옛 마산시청까지 65km, 옛 진해시청까지 50km 거리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때는 80km 거리의 주민에 대해 대피권고가 내려졌는데, 이 기준을 따르면 창원 모든 지역까지 해당된다.

마창진환경연합은 고리원전에서 330km 안에 있는 부산·울산·양산 시민 330만 명이 피해를 입는다고 우려하고 있다.

박종권 의장은 7일 <오마이뉴스>와 한 인터뷰를 통해 "후쿠시마 원전사고 때 주변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을 외국에서 수입하지 않았다"며 "방사능이 묻은 제품을 어느 나라에서 수입해 가려고 하겠느냐. 창원공단은 그야말로 마비가 될 것"이라 우려했다.

그는 "고리원전에서 창원은 불과 50km 안팎인데, 만약에 초속 3m의 바람이 분다면 불과 5시간 안에 방사능이 창원에 도달하게 된다"며 "그야말로 순식간이다, 그만큼 창원은 위험지역에 들어가고, 사고가 났다면 아수라장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고리원전에는 총 6기의 핵발전소가 있는데, 모두 다 없애라는 말이 아니다, 우선 낡은 고리1호기부터 폐쇄해야 한다"며 "지역 기업체를 비롯한 경제계도 고리원전 문제에 관심을 갖고 목소리를 내야 할 것"이라 강조했다.

마산창원진해환경연합은 8~9월 사이 두달 동안 창원 정우상가 앞에서 오래된 고리원자력발전소 1호기 폐쇄를 요구하는 1인시위를 벌이고 있다.
 마산창원진해환경연합은 8~9월 사이 두달 동안 창원 정우상가 앞에서 오래된 고리원자력발전소 1호기 폐쇄를 요구하는 1인시위를 벌이고 있다.
ⓒ 마창진환경연합

관련사진보기


경남도와 창원시, 김해시, 양산시 등 자치단체와 지방의회도 고리1호기 폐쇄를 요구해야 한다는 것. 3년 전 경남도의회와 양산시의회가 고리1호기 폐쇄촉구 결의안을 낸 적이 있지만, 지난 6․4 지방선거 뒤 구성된 지방의회는 아직 관심이 없다.

박종권 의장은 "지난 지방선거 때 환경단체들이 경남지사를 비롯한 단체장과 지방의원 후보들을 대상으로 고리1호기 폐쇄 여부를 묻는 질의를 했는데, 당시 야당 후보들은 동의했지만 홍준표 지사는 묵묵부답이었다"며 "홍 지사는 도정목표가 '안전'이라고 했는데, 위험요소 1호인 고리1호기에 대한 대비없이 무슨 안전이냐"고 말했다.

박 의장은 "두 달 동안 1인시위를 벌이고, 시민들의 관심을 이끌어 낸 뒤 경남도와 의회에 '고리1호기 폐지 촉구안'을 내도록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고리1호기는 전체 전력생산략의 0.5%에 해당한다"며 "원전 하나를 없앤다고 해서 전력 수급에 지장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고리1호기는 1971년에 착공해 1977년에 완공되었고, 이듬해부터 상업운전을 시작했다.


태그:#고리원자력발전소, #고리1호기, #마창진환경연합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