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만남과 대화. 누구를 만나느냐에 따라 한순간 인생이 바뀐다고 합니다. 대화를 통해 받은 감명이 삶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겠지요. 운명적인 만남이지요. 우리들이 성인 등 선현의 말씀에 귀 기울이는 건 그들이 생을 통해 보여주었던 삶의 교훈을 얻고자 하는 바람일 것입니다.

선업 쌓기를 주저하는 건 왜일까, '욕심'

만남은 인연이 낳은 업. 그래서 선업을 지어야...
 만남은 인연이 낳은 업. 그래서 선업을 지어야...
ⓒ 성불사

관련사진보기


요즘 의도하지 않았던 절집으로의 선문답 여행 중입니다. 벚꽃, 진달래꽃 등이 만개해 향기 가득한 봄날은 사람들을 꾀어냈습니다. 봄의 손짓에 화답하듯 지난 주말, 경남 창원 여항산 성불사로 향했습니다. 청강스님과 마주 앉았습니다. 스님께 한 말씀 청했습니다. 스님께선 '인연'과 '업'을 화두로 내놓으셨습니다.

    思量作一因  因生更諸果(사양작일인  인생갱제과)
    果還造多業  業種分苦樂(과환조다업  업종분고락)

    생각은 하나의 인연을 만들고
    인연은 다시 모든 열매를 낳으며
    열매는 되돌아 많은 업을 만드니
    업의 씨앗은 괴로움과 즐거움으로 나뉜다!

불교에서 인연(因緣)은 "결과를 만드는 직접 원인인 인(因)과 간접 원인인 연(緣)을 아울러 이르는 말"로 풀이합니다. "'나'라는 실제가 없는 무아(無我), 무상(無常)"이라는 겁니다. 무심코 맺은 인연이 열매를 맺고, 인연의 결실이 업으로 돌아온다니 쉬 간과할 일이 아닙니다.

업(業)은 "사람이 몸과 입과 뜻으로 지은 선과 악의 소행 또는 전생(前生)의 행동에 의해 현생(現生)에서 받는 선악의 응보(應報)"라고 합니다. 즉, 삶이 즐겁고 행복하려면 악업보다 선업을 지으라는 겁니다. 이를 뻔히 알면서도 선업 쌓기를 주저하는 건 왜일까. 욕심 때문입니다.

아름다운 소유란, '남에게 쓰기 위해 갖는 것'

- 나를 어떻게 다스려야 합니까?
"행복도 불행도 모두 스스로 짓는 겁니다. 남 탓이 아닌 내 탓이지요. 나보다 남을 위해 복을 짓고, 겸손한 마음으로 덕을 쌓아야 합니다. 죄악은 탐욕과 성냄 및 어리석음에서 생깁니다. 늘 참고, 적은 것에 만족할 줄 알아야 합니다. 방하착이 중요하지요."

- 방하착(放下着)은 무엇입니까?
"집착을 내려놓고 마음 편하게 가지라는 겁니다. 마음속에 갖는 온갖 집착, 원망, 스트레스, 갈등 등을 홀가분하게 벗어 던져서 진정한 자유를 얻으려고 부단히 노력해야 하지요."

- 많이 가진 사람들이 다 가지려고 하는 건 어찌 봐야 합니까?
"생각을 바꾸어야 합니다. 지금까지 자신만을 위해 무엇인가를 가졌다면, 앞으로는 아름다운 소유가 되어야 하지요."

- 아름다운 소유란 무엇입니까?
"요즘 빈부의 차가 큽니다. 함께 살기 위해서는 나누어야 합니다. 내가 행복하기 위해 가졌던 것을, 이제는 모두가 함께 행복하기 위해 가져야 합니다. 아름다운 소유란 내가 쓰기 위함이 아니라 남에게 쓰기 위해 갖는 거지요."

- 아름다운 소유의 근본은 무엇입니까?
"내가 행복하려면 받은 만큼 돌려줘야 합니다. 원인과 결과가 분명합니다. 혼자만의 노력으로 돈을 번 게 아닙니다. 중생에게 받았으니 중생에게 다시 돌려주자는 겁니다. 고마움을 알면 다툼이 없지요."

- 무엇을 고마워해야 합니까?
"얼굴 잘난 사람은 못난 사람에게 고마워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못난 사람이 있어서 잘난 사람이 돋보이고 빛나는 것이니까. 이처럼 서로 경계가 있습니다. 부자와 가난한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서로 돌봐야 합니다. 잘난 사람과 부자 등은 자신이 받은 공덕을 다른 사람에게 베풀고 돌려주는 '회향'을 해야 합니다."

얼마나 더 살아야 '나'를 사랑하게 될까

얼마나 살아야 나를 더 사랑하게 될까?
 얼마나 살아야 나를 더 사랑하게 될까?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충격이었습니다. 스님 말씀을 듣기 전에는 몰랐습니다. 발상의 전환을 강조했는데, 저도 말과 생각뿐이었나 봅니다. 소유(所有). 그저 욕심(慾心)의 또 다른 말인 줄로만 알았습니다. 소유 앞에 '아름다운'이 붙는 순간, 그게 아니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스님 덕분입니다.

그렇습니다. 자신만을 위한 '이기적(利己的)' 소유에서, 남을 위한 '이타적(利他的)' 소유가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자본의 '소유'가 악업(惡業)이었다면, 앞으로 자본의 소유는 '아름다운 소유', 선업(善業)이어야 합니다. 놀란 가슴 추스르는 사이, 스님께서 시조 한 수 또 읊으셨습니다.

    憎愛與親疎  皆是自作客(증애여친소  개시자작객)
    富貴又貧賤  此亦幻中塵(부귀우빈천  차역환중진)

    미움과 사랑, 원한과 친분도
    모두 스스로가 지어낸 길손이며
    부하고 가난하고 귀하고 천함도
    이 또한 변하는 것 중의 티끌이네

공(空)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게 어디 그저 공이겠습니까! "부처가 따로 없"고,  "몸과 마음이 건강하면 곧 부처"란 게죠. 자신을 사랑하는 만큼 남도 사랑하는 법. 이로 보면 우리는 살면서 아직 자신을 사랑하지 않나 봅니다. 얼마나 더 살아야 '나'를 사랑하게 될까…. 여행은 뜻하지 않는 배움을 선물했습니다.

덧붙이는 글 | 제 블로그에도 올릴 예정입니다.



태그:#여항산 성불사, #아름다운 소유, #청강스님, #선문답, #인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묻힐 수 있는 우리네 세상살이의 소소한 이야기와 목소리를 통해 삶의 향기와 방향을 찾았으면... 현재 소셜 디자이너 대표 및 프리랜서로 자유롭고 아름다운 '삶 여행' 중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