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 기사는 시민기자 하연주와 현재 미국 국립 보건원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에 근무 중인 감염내과 전공의 박인권(남편)이 공동 작성한 글입니다. 기사의 일인칭 화자는 박인권입니다. - 기자 말

8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송탄보건소에 마련된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진료버스에서 의료진들이 고열 등 메르스 의심증상으로 방문한 시민들을 검진하고 있다.
 8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송탄보건소에 마련된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진료버스에서 의료진들이 고열 등 메르스 의심증상으로 방문한 시민들을 검진하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저는 재미 교포이자 현재 미국 국립 보건원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에서 감염내과 전공의로 있습니다.

최근 한국에서 발생한 메르스 사태를 주의 깊게 지켜 보며 이 분야의 전공의로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픈 마음으로 글을 씁니다. 무엇보다도 우리나라가 이 시련을 현명하게 그리고 투명하게 극복함으로써 사스에 대한 완벽한 방어로 얻은 방역 선진국의 위상을 조속히 회복하기를 간절히 기원합니다.

저는 이 글에서 감염병 분야의 의사로서 앞으로의 조치에서 특별히 고려해야 할 점을 밝히고, 더불어 여러 감염병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하고자 합니다.

첫째, 메르스 바이러스에 대해 우리가 모르는 바가 너무도 많습니다. 그동안 중동 지역에서만 주로 연구되어 왔고 현재 유전자 변이가 없다지만, 현 상황을 보면 중동 연구 결과를 함부로 국내에 인용해서는 안 될 듯합니다.

중동과는 너무나 다른 환경, 기후, 문화를 가진 우리나라에 들어온 메르스 바이러스는 중동에서 보고된 것과는 사뭇 다른 감염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대한민국은 이제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세계 2위의 메르스 발병국입니다. 전혀 모른다는 마음가짐으로 최악의 상황을 예상하고 앞으로의 계획을 짜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둘째, 현재 삼성서울병원의 상황이나 메르스 확진자가 전국적으로 발견된 양상은 발병 초기의 역학조사가 허술했고, 그에 따른 격리에도 허점이 많았음을 보여줍니다. 제가 가장 두려운 것은 노인성 호흡기 질환 환자들 중,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더 많은 메르스 감염자가 지금까지 대형병원의 중환자실에서 아무런 격리나 검사없이 검역의 사각지대에 있지 않을까 하는 우려입니다.

이 분들은 원래 다른 노인성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기에 갑작스런 증상의 악화가 메르스 감염이 아닌 것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병원들 입장에서는 그동안 격리대상이 아니었던 중환자들에 대한 메리스 검사는 대단히 어려운 결정일 것입니다.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거지만 메르스가 우리나라 중환자실에서 살아남고 변이할 가능성을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기에는 처음의 방역 대응이 너무나 허술했습니다.

 8일 오후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삼성서울병원 응급실 바로 옆에서 온몸을 무균복으로 감싼 환자가 강남구 보건소 소속의 구급차에 탑승하기 위해 병원에서 나오고 있다.
 8일 오후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삼성서울병원 응급실 바로 옆에서 온몸을 무균복으로 감싼 환자가 강남구 보건소 소속의 구급차에 탑승하기 위해 병원에서 나오고 있다.
ⓒ 이희훈

관련사진보기


저의 아주 조심스런 제안은 우리나라 3차 병원에 입원해 있는 50세 이상의 호흡기 질환 환자의 가래를 역학조사와 상관없이 전수 검사하는 것입니다. 최악의 가능성을 예상하고 대처한다면, 저는 이 정도의 전수 검사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메르스를 우리나라에서 완전 퇴치하는 건 우리나라 국민들의 건강 뿐 아니라 주변 동아시아 국가들, 그리고 결국 전 인류를 위해 결코 피해갈 수 없는 책임입니다.  

다시 한 번 제가 이 글을 쓴 이유는 앞으로의 메르스에 대한 대처에서 우리가 고려할 점들에 대한 문제 제기와 이 분야의 여러 전문가들로부터 앞으로 빠른 시간내에 취해져야 할 조치에 대한 의견을 듣고자 함입니다.

끝으로 위의 글은 제 개인의 의견입니다. 제가 근무하고 있는 미국 국립 보건원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과는 아무 상관도 없음을 분명히 밝힙니다.

박인권 (In Kwon Park, M.D.)
미국 국립 보건원 (National Institues of Health) 감염내과 전공의.


태그:#메리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