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이 23일 국회에서 열린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와 관련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이 23일 국회에서 열린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와 관련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이 "위기 상황에는 정보를 신속하고 투명하게 공개하라는 WHO의 가이드라인도 잘 따랐다"며 정부의 비밀주의가 사태를 키웠다는 지적을 인정하지 않았다. 또한 사태 초기 병원명 비공개는 본인의 결정이라고 밝혔다.

23일 국회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 질문에 참석한 문 장관은 "위기 상황에서는 소통이 중요하고, WHO에서도 발생 초기에 정보를 투명하고 신속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했음에도 왜 따르지 않은 것이냐"는 남인순 새정치연합 의원의 질문에 "최선을 다해 따랐다"고 답해 반발을 샀다.

문형표 장관 "WHO의 정보 공개 원칙 잘 따랐다"

이에 남 의원이 황당하다는 듯 "언제 따랐다는 것이냐"고 따져 물었고, 문 장관은 "환자가 발생했다는 사실을 국민께 말씀드렸으며, 병원 이름 비공개 때문이라면 따로 설명을 드리겠다"고 답했다.

남 의원이 다시 "병원명 비공개는 누가 결정했느냐"고 묻자 문 장관은 '주어'는 밝히지 않은 채 "당시 의료계 전문가 자문과 내부 검토를 통해 결정했다"고만 답했다. 재차 남 의원이 "최종 결정은 장관이 하신 것이냐"고 추궁하자 "예 뭐 그렇다"고 말했다.

이어 남 의원이 "그렇다면 WHO의 가이드라인을 위배한 것이 된다"고 묻자 문 장관은 "병원명을 공개하라는 내용은 가이드라인에 없다"며 "병원명을 공개하면 해당 병원에 피해가 가고, 다른 병원에서 진료 거부가 일어났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정부의 비밀주의가 사태를 키웠다는 점을 여전히 인정하지 않은 것이다.

또한 메르스 확산의 1차 진원지인 평택성모병원이 일찍이 정부에 코호트 격리를 요청했지만 이를 거부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부인했다.

먼저 남 의원이 "지난달 28일 평택성모병원이 정부에 코호트 격리를 해달라고 정부에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아 다음날 자진 폐쇄를 했고, 환자들을 강제 퇴원시키며 병원-병원 간 감염을 낳았다"고 비판했다.

이에 문 장관은 "당시에는 평택성모병원 의료진 대부분이 격리 상태라 코호트 병원 요건이 안 되었으며 강제 퇴원은 정부가 아니라 병원 측이 자의적으로 한 것"이라고 책임을 인정하지 않았다.

다시 남 의원이 "지시를 안 했다는 것만으로는 책임을 회피할 수 없었다"며 "당시 정부가 코호트 격리도 거부하고, 비용도 안 대겠다고 하는 상황에서 병원이 무얼 할 수 있었겠나? 이를 다 보고 받고도 나몰라라한 것 아니냐"고 추궁했다.

하지만 문 장관은 "코호트 격리를 할 여건은 안 됐다. 비용을 안 대줬다고 답변한 적이 없다"고 재차 부인했다. 

○ 편집ㅣ손병관 기자



태그:#문형표, #메르스, #남인순
댓글10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좋은 사람'이 '좋은 기자'가 된다고 믿습니다. 오마이뉴스 정치부에디터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