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15반빈곤권리장전>(아래 '권리장전')은 2015년 6월 29일부터 7월 10일까지 약 2주간 서울, 경기 곳곳에서 벌어지는 도시빈민에 대한 탄압 양상에 대해 조사하고, 도시빈민의 권리목록을 작성하여 발표하고자 모인 실천단입니다.

<권리장전>에는 약 130여 명의 대학생들이 참가하여 가든파이브, 철거민(돈의문, 서소문, 염리동, 노점상(DDP, 삼양동, 수유시장, 미아삼거리), 임차상인(만복, 보용만두, 신신원 등), 쪽방 주민(동자동), 홈리스(서울역, 홈리스행동)들을 만나 개별 면접조사 및 간담회 등을 통해 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본 글은 조사에 참가한 대학생들이 조사를 하는 과정에서 보고, 느끼고, 들은 바들을 많은 이들과 함께 나누고자 연속 르포 형태로 기고될 예정입니다. 각 지역에 대한 조사보고서 및 종합보고서는 빈곤사회연대 홈페이지 문서 자료실에 업로드 되어 있습니다. - 기자 말

서소문지역에 게시할 플래카드를 쓰고있는 <2015반빈곤권리장전>대원들
 서소문지역에 게시할 플래카드를 쓰고있는 <2015반빈곤권리장전>대원들
ⓒ 2015반빈곤권리장전

관련사진보기


시청역 8번 출구로 나오면 높은 건물들이 즐비하다. 시청을 마주보고 있는 그 골목길에는 삼성 본관, 신한은행 본점, SK, CJ 등 대기업의 건물들이 하늘 높이 치솟아 있다. 낯선 이방인들로 가득한 서울에서, 이곳은 뉴스에서 봐왔던 오랜 풍경을 보여줌으로써 그들에게 새로운 고향으로 자리 잡는다. 그러나 많은 젊은이들이 해마다 꿈을 품고 오는 이곳에서의 삶은 생각보다 녹록지가 않다. 높은 건물들 사이사이로 우리는 생각보다 쉽게 빈민을 마주할 수 있다.

서소문 5구역이라 불리는 태평로 부근, 삼성 본관 사이에는 작은 상가들이 있다. 직장인들의 끼니를 위한 음식점, 카페 등이 운영되고 있는 곳이다. 그러나 5년 전 전재용(전두환 전 대통령 아들)씨가 이곳을 사들였고, 이 구역이 도시환경정비사업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상가 세입자들은 재개발을 명목으로 계약기간이 채 끝나기도 전에 쫓겨날 위기에 처했다. 다짜고짜 보상도 없이 언제까지 비우라는 변호사의 한마디에 상가 세입자들은 합법적으로 쫓겨날 수밖에 없었다.

11명이 시작한 투쟁, 이제는 한 명만이...

그렇게 시작한 투쟁, 다섯 개 건물 다 합해 11명이 시작한 이 투쟁은 현재 한 명만이 남아 투쟁을 계속하고 있다. 전국철거민연합에 가입하여 투쟁을 배우며 인근 지역과 연합하여 싸우고 있는 최진희씨. 여리고 아무 말도 할 수 없이 겁에 떨었던 그녀는 어느새 '투쟁하는 철거민에게 미래가 있다'며 민중 투쟁을 외치는 억센 투쟁인의 모습이 되었다. 지난 6월 말 그녀를 만났다.

남편과의 맞벌이로 저축을 하며 미래를 준비했지만, 투쟁을 시작하면서 가게 운영이 힘들어졌고, 최저생계비로 생활을 이어갈 수밖에 없게 되었다. 가계에 빚이 생기고 몸은 매일 지쳐가면서 엄마의 역할도 제대로 할 수 없었다. 매일 아침 간단한 계란 요리로 아이들의 끼니를 챙겨주며 '엄마, 나 닭 되겠어'라는 아이의 말에 그녀는 씁쓸하게 웃을 뿐이다.

그러나 현실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박근혜 정권으로 바뀌면서 전두환의 세금 추징 문제가 대두되었고, 그에 따라 재개발 투자에 차질이 생겼다. 중지된 재개발 사업은 철거민들의 상황을 더욱 불안정하게 했다. 개발 사업이 멈췄기에 철거가 강제 시행되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다시 장사하기도 나가기도 애매한 상황이었다.

<2015반빈곤권리장전>대원들이 연대의 뜻을 담은 자보를 작성했다.
 <2015반빈곤권리장전>대원들이 연대의 뜻을 담은 자보를 작성했다.
ⓒ 2015반빈곤권리장전

관련사진보기


명도 소송 이후 퇴거 일자는 정해졌지만 나가기엔 아쉬웠고, 장사를 지속하기엔 이미 오랜 투쟁과 소송으로 상권은 죽은 상태였다. 진희씨는 투쟁을 지속할 수밖에 없었다. 현재 남아있는 철거민들에게 보상은 없었다.

2014년 가을, 이 구역의 상가들은 경매로 팔렸고 건물주는 전재용에서 다른 이로 바뀌었다. 다시 재개발 사업이 진행되려는 것일까. 진희씨는 언제 다시 압력이 들어올지 몰라 매일 밤 잠을 이루지 못한다. 만반의 준비를 해놓고 있다지만 나가라면 나가야 할 힘없는 세입자일 뿐이다.

진희씨가 바라는 것은 어마어마한 보상금이 아니다. 다만 영세 세입자의 권리를 보호해 달라는 것이다. 그녀에게 그 상가의 작은 공간은 단순히 돈을 버는 곳이 아니라 그녀의 삶의 공간이었다.

그곳에서 소통하고, 삶의 즐거움을 누리면서 그 곳은 더 이상 월세 얼마에 보증금 얼마 하는 공간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그녀가 바라는 것은 단 하나다. 계속 일을 할 수 있는 작은 공간 하나만이라도 마련해 달라는 것. 귀퉁이의 작은 카페라도 좋으니 일을 할 수 있게 해 달라는 것이다.

그들이 외치는 생존권은 그리 대단한 것이 아니다. 세상과 소통할 수 있도록, 자신의 삶을 자신이 이끌 수 있도록 최소한의 삶의 터전을 마련해 달라는 것이다. 빈민이라는 말이 낯설고 나와는 동떨어진 일로 느껴질지도 모른다. 그러나 빈민이라는 것은 생각보다 우리 삶에 가까이 있다.

국부의 88%가 부동산인 대한민국에서 우리는 언제든 작은 투자, 정책 하나만으로도 우리의 집을, 터전을 빼앗길 수 있다. 국민의 90%가 언제든 빈민이 될 수 있는 상황에 처해 있는 것이다. 하루아침에 직장을 빼앗기고 길에 내몰릴 위기에 처해있는 도시 빈민, 철거민들이 결코 남의 이야기, 다른 세상 이야기가 아니다.


태그:#반빈곤권리장전, #빈곤, #철거, #철거민, #강제퇴거
댓글

빈곤은 경쟁을 강요하고 격차를 심화시키는 사회에서 발생합니다. 빈곤사회연대는 가난한 이들의 입장에서 한시적 원조나 시혜가 아닌 인간답게 살 권리, 빈곤해지지 않을 권리를 외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