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경남장애인권리옹호네트워크는 11일 오전 경남도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장애인 참정권 보장을 위한 경남지역 투표소와 선거관리위원회 대상 정당한 편의제공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경남장애인권리옹호네트워크는 11일 오전 경남도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장애인 참정권 보장을 위한 경남지역 투표소와 선거관리위원회 대상 정당한 편의제공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장애인들이 투표를 할 수 있도록 이전보다 많이 나아졌지만, 아직도 개선해야 할 사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장애인권리옹호네트워크는 지난 8~9일 사이 사전투표소 상황과 지역에 있는 선거관리위원회 사무실 등에 대한 편의제공을 조사해, 11일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했다.

이 단체는 창원 5곳, 진주, 통영, 고성, 사천, 김해, 밀양, 거제, 의령, 함안, 하동, 양산, 남해, 함양, 산청, 거창, 합천 등 22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조사했다. '투표소 접근성'과 '화장실 이용 가능성'을 대상으로 했다.

이 단체는 "이번 투표소 현장조사 결과는 실망스럽기 그지없다"며 "투표소 접근성은 74%에 그쳤고, 화장실 이용 가능성은 이보다 더 낮은 59%에 머물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 이 단체는 "투표권 행사를 위해 장애인단체는 그동안 장애인을 위한 정당한 편의제공을 끊임없이 요구하고 개선을 외쳤지만 개선이 되지 않고 있음을 이번 조사는 확인시켜 주었다"며 "그러므로 향후에 보다 빠른 속도로 장애인이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들은 "투표소의 환경적 측면을 살펴보면, 화장실 칸 안에 빨래건조대나 기타 여러 사물을 창고처럼 넣어두는 공간으로 전락한 경우가 발견되었다"며 "장애인이 대소변을 볼 때 신체의 무게 중심과 균형을 잡아주는 손잡이를 설치하지 않은 투표소가 발견되었다"고 했다.

이들은 "투표소가 2층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아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은 투표 장소로 올라갈 수 없는 곳도 있었다"며 "건물의 출입구와 화장실을 휠체어 통과 가능한 유효폭과 회전폭이 턱없이 부족한 곳이 많았다"고 지적했다.

경남장애인권리옹호네트워크는 "앞으로 장애인이 투표권을 행사함에 있어 불편함이 없는 편의제공과 장애인-친환경적인 투표소 위치선정, 화장실과 주차장 등의 제반 환경이 구축되록 해야 할 것"이라 촉구했다.


태그:#장애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