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회 및 혁신위원회 인선을 둘러싸고 계파 갈등이 불거지는 있는 가운데, 지난 1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릴 새누리당 전국위원회가 상임전국위원회의 무산으로 파행되자, 전국위원들이 회의장을 떠나고 있다.
▲ 새누리당 전국위원회, 상임전국위원회의 무산으로 파행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회 및 혁신위원회 인선을 둘러싸고 계파 갈등이 불거지는 있는 가운데, 지난 1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릴 새누리당 전국위원회가 상임전국위원회의 무산으로 파행되자, 전국위원들이 회의장을 떠나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이혜훈 당선자라든가, 김성태 의원이나 이런 분들이 그런 부분(친박계의 조직적 불참)을 문제제기한 것 같은데요. 원래 이혜훈 당선자, 이 분은 모든 것을 침소봉대해서 자기 입장에서 얘기하고 하시는 분이거든요. 완전히 트러블메이커인데요. 확인도 않고 이런 얘기들을 가감 없이 그냥 얘기하는 것은 올바른 행태가 아니라고 봅니다."

친박(친박근혜) 김태흠 새누리당 의원이 18일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한 말이다. 지난 17일 상임전국위원회·전국위원회가 친박 측의 조직적 불참 탓에 무산됐다는 비박(비박근혜) 측의 문제제기를 '원래부터 근거 없이 당내 분란을 조장하는 것'으로 몰아붙인 것이다.

이번 사태로 비상대책위원회와 혁신위원회 추인이 불발되면서 새누리당이 '뇌사상태'에 빠졌다는 안팎의 비판에 대해서도 당당했다. 김 의원을 비롯한 친박 주요 인사들은 이날 각종 라디오 인터뷰에 출연, 전국위 무산 책임을 정진석 원내대표와 비박 측의 '오판'으로 몰아붙였다.

"정진석, 너무 어려워서 못하겠다면 스스로 사퇴해야"

김태흠 의원은 이날 인터뷰에서 비대위 및 혁신위원장 인선을 '백지' 상태에서 다시 꾸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대위원장을 겸임하기로 한 정진석 원내대표를 향해서는 "감당할 수 없다면 사퇴해야 한다"라는 요구까지 했다.

친박 측의 조직적 보이콧 탓에 전국위가 무산됐다는 주장도 부인했다. 그는 "어제 친박, 비박을 떠나서 많은 분들이 불참한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지금 당내 갈등이 있고 혁신위원장하고 비대위원장 인선 그런 과정 속에서 공감하지 못한 이런 부분들이 가장 (불참의) 큰 이유라고 본다"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번 사태의 가장 큰 원인은 정진석 원내대표와 비박 측의 '청와대 탓'에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혁신위원장에 내정됐던 김용태 의원이 전날 사의를 표명하며 "새누리당이 혁신의 마지막 기회를 잃었다, 그들에게 무릎 꿇지 않겠다"라고 밝힌 것에 대해선 "(20대 총선 패배의) 모든 책임을 대통령과 친박에 돌리는 것 아니냐"라고 불쾌감을 드러냈다. 또 "그런 분이 혁신위원장이 된다면 앞으로 불 보듯 뻔한 일 아니겠나, 그래서 저희들 입장에서는 외부에서 인사를 모시고 와서 혁신위를 구성하고 혁신안을 만들어 나가자는 게 저희들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정진석 원내대표가 비박 중심으로 인선한 비대위에 대해서도 "비대위는 전당대회를 준비하는 실무적인 역할을 하면 되는데 그러면 중립적인 인사로 구성하는 게 맞다"라며 비대위 재구성을 요구했다.

그는 "(현 비대위는) 비박 쪽이라고 일컬어지는 분들 중에서도 대통령을 공격하고 친박을 공격하는 강성들로만 이뤄진 것"이라며 "임명도 되기 전에 청와대 공격하고 친박 공격하고 이미 그랬는데 앞으로 우리 당이 가야 할 화합에 대해서 커다란 문제점을 낳을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

또 "정 원내대표가 처음에 원내대표 나올 때 '화합과 협치를 하겠다'고 하지 않았나, 자기가 말한대로 행동을 했으면 좋겠다"라며 "이런 상황까지 왔기 때문에 그런 책임에 대해 통감하고 사과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본인께서 '너무 어려워서 못하겠다' 그러면 본인 스스로 사퇴하든가 해야 한다"라고도 덧붙였다.

"내부에 총질하고 정부 흔든 인사들이... 있을 수 없는 일"

다른 친박 인사들도 이 같은 주장에 동조했다. 이장우 의원은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총선 패배) 과정에 가장 무거운 책임이 있는 사람은 (김무성) 당대표인데 그 최측근들이 대거 배치됐다는 데 문제가 있다"라며 비박 중심의 비대위 구성을 문제 삼았다.

"공천파동을 일으킨 건 결국 친박 아니냐"는 지적에도 "당 공천관리위원회를 구성한 것도 당대표이고 당대표 밑의 사무총장이나 사무1부총장이나 최측근들 다 공천관리에 들어간 것 아니냐"라고 반박했다.

즉, 비박 학살 공천 논란을 야기한 이한구 전 공천관리위원장의 책임 역시 그를 임명한 김무성 전 대표에게 물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반박(반박근혜) 인사들 위주로 (인선) 하고 친유승민계나 김무성 대표 중심으로 비대위를 구성을 함으로써 이게 사달이 벌어진 것"이라며 "주로 당내에 총질하고 집권여당인데 정부를 흔들어대는 일에 강성발언을 계속 해댄 인사들이 앞장선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본다"라고 날을 세웠다.

같은 당 홍문종 의원도 이날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 출연해 "(비대위원) 선발하는 과정에 있어 상임전국위원들과 미리미리 상의했어야 했다, 그 분들이 아무 상의가 없는데 꼭 참석해야 할 이유가 뭐가 있으며 그 선택에 대해 참석해야 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 역시 이번 사태의 원인을 정 원내대표 측의 '준비 부족'으로 규정한 것이다. 특히 홍 의원은 "정진석 원내대표도 많은 상처를 받았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라며 중진위원회 등을 통해 해법을 모색하자고 제안했다. 아예 새 판에서 비대위 및 혁신기구 문제를 다시 논의하자는 얘기였다.

그는 "당의 오피니언 리더 등과 상의해서 중지를 모으면 나름대로의 해결채도 생기고 수습 방안도 있을 것이다, 전당대회를 빨리 치루는 방안을 강구하던지"라면서 "중진위원회 등을 통해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사람들, 오피니언 리더들 이런 분들과 함께 중지를 모아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비대위원들을 다시 구성하는 방법 외에 뾰족한 방법이 있을까(싶다)"라면서 "(혁신위원장은) 계파로부터 자유로운 사람들이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자기네 입맛 안 맞는다고 사퇴? 그 분들 재가 받아야 됐나"

김용태 새누리당 혁신위원장 내정자가 1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사퇴 의사를 표명한 뒤 자리를 나서고 있다.
김 내정자는 "새누리당이 국민에게 용서를 구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잃었다"라며 "혁신위원장을 사퇴한다, 국민에게 무릎 꿇을지언정 그들에게 무릎을 꿇을 수 없다. 민주주의를 위해 싸우겠다"라고 말했다.
▲ 김용태 새누리당 혁신위원장 내정자 사퇴 김용태 새누리당 혁신위원장 내정자가 1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사퇴 의사를 표명한 뒤 자리를 나서고 있다. 김 내정자는 "새누리당이 국민에게 용서를 구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잃었다"라며 "혁신위원장을 사퇴한다, 국민에게 무릎 꿇을지언정 그들에게 무릎을 꿇을 수 없다. 민주주의를 위해 싸우겠다"라고 말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반면, 비박 김성태 의원은 이 같은 친박 측의 주장에 "아직 잘못을 깨우치지 못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맞섰다. 또 비대위 역시 예정된대로 다시 추인해야 하고 김용태 의원의 혁신위원장 사의 표명도 반려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 "아직까지 계파적인 시각을 가지고 중립성 인선 운운한다는 자체가 아직까지 우리들의 잘못을 깨우치지 못하고 있다는 서글픈 현상으로 상당히 참담한 심정"이라고 말했다.

김태흠 의원의 '정진석 사퇴 요구'에 대해서는 "굳이 계파를 나눈다면 친박의 전격적인 지원 속에서 당선된 분인데 자기네들 입맛에 맞지 않는다고 사퇴해야 하느냐"라며 "정 원내대표가 그 분들의 재가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비대위, 혁신위 구성을 결정해서 하차시켜야 한다면 새누리당의 지도체제가 자리 잡을 필요가 없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태그:#새누리당, #보이콧, #김태흠, #이장우, #홍문종
댓글6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기획편집부 기자입니다. 조용한 걸 좋아해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