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날 잡아 봐라', 세 자매 신이 났다. 앞서거니 뒷서거니 달린다.
▲ 달리는 자메 '날 잡아 봐라', 세 자매 신이 났다. 앞서거니 뒷서거니 달린다.
ⓒ 문운주

관련사진보기


지난 4일 아침, 몸도 나른하고 해서 TV 채널을 이리저리 돌리고 있는데 전화 소리가 울린다. 동영상 전화다. 인천의 손녀 루비(아들네)가 눈물만 주룩주룩  흘린다. 광주에 내려오고 싶은 모양이다.  생각지도 않게 가족이 모이게 된 동기다. 명절 때가 아니면 온 가족이 모이는 일이 많지 않다.

연휴 기간이라 고속도로가 정체다. 오후 5시가 되어서야 아들네가 광주에 도착했다. 기다리고 있던 손녀 콩이와 콩콩이가 루비와 만났다. 먼저 아래층에 양해를 구했다. 층간 소음은 참을 수 없는 고통이다. 특히 아이들의 발걸음 소리는 생머리가 아프다. 누군가의 '층간 소음 극복하기'에서 보면 서로 잘 알게 되면 이해 못할 것도 없다고 해서다. 

세 자매가 만났다. 그림을 그려서 선물을 주고 기차놀이도 한다. 이 방 저 방, '칙칙폭폭 칙칙폭폭' 기차는 달려간다. 지금까지 배운 노래도 들려주고 무용도 보여준다. 여기저기 쿵쾅거리며 뛰어다닌다. 온 집안이 난장판이다.

빠질 수 없는 즐거움 중 하나, 먹거리다. 가족 회식에는 삼겹살 파티가 제격이다. 옥상에 자리를 만들었다. 시내 야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야경에 취하고 술 한 잔에 취하고 온 가족이 둘러앉아 오손도손 이야기의 꽃을 피운다.

어렸을 때 이야기다. 그간 서운한 일, 삶에 대한 후회, 반성 같은 것도 반주에 곁들인다. 다시 젊은 시절, 그보다 더 멀리 학창시절로 되돌아간다면 인생에 대한 설계를 바꿀 수 있을까. 운명을 바꿀 수는 있을까. 삼 남매의 주정(?)을 그냥 듣고만 있었다, 밤은 깊어만 갔다.

네 잎 클로버 찾기

손녀 콩이도 네 잎 클로바를 찾았다고 자랑이다. 풀 하나를 들고...
▲ 네 잎 클로바 손녀 콩이도 네 잎 클로바를 찾았다고 자랑이다. 풀 하나를 들고...
ⓒ 문운주

관련사진보기


언니 콩이가 네 잎 클로바를 찾았다. 풀 밭에 쭈그리고 앉아 네 잎 클로바를 찾는다. 자연 속에 뛰어노는 모습이 여간 즐겁다.
▲ 네 잎 클로바 언니 콩이가 네 잎 클로바를 찾았다. 풀 밭에 쭈그리고 앉아 네 잎 클로바를 찾는다. 자연 속에 뛰어노는 모습이 여간 즐겁다.
ⓒ 문운주

관련사진보기


"네 잎 클로버 찾았어요."
"……."

손녀 콩이가 소리소리 지른다. 손녀가 네 잎 클로버를 찾았다. 오늘 행운이 있을 것이라고 모두 축하해 줬다. 우리 어렸을 적에는 학교 공부가 끝나면 초록의 잔디가 펼쳐진 들판에서 뛰어놀곤 했다. 시골이라 아이들이 공부에만 매달리는 시절이 아닌 탓이다. 당시에 맏이가 할 수 있는 일은 꼴을 베거나 동생들을 돌보는 일이다.

냇가에는 수양버들이 늘어지고 소들이 한가로이 풀을 뜯고 있었다. 아이들은 떼를 지어 잔디밭에 뒹굴거나 말 타기 놀이도 하면서 놀았다. 여자아이들은 쭈그리고 않아 네 잎 클로버를 찾았다. 네 잎 클로버는 찾기가 쉽지 않았다. 어렵게 찾은 네 잎 클로버, 언니들은 책갈피에 넣어 행운을 기원했다.

즐거워요, 아이들이 마음껏 뛰노는 세상이 그립다. 우리 어렸을 적에 처럼...강가에서도 풀밭에서도.
▲ 점프 즐거워요, 아이들이 마음껏 뛰노는 세상이 그립다. 우리 어렸을 적에 처럼...강가에서도 풀밭에서도.
ⓒ 문운주

관련사진보기


소리도 지르고 점프도 하면서 사이좋게 지내는 아이들
▲ 야호!! 소리도 지르고 점프도 하면서 사이좋게 지내는 아이들
ⓒ 문운주

관련사진보기


언니가 달리니 동생들이 뒤따른다. 언니가 공중으로 뛰어오르니 동생들도 뛰어오른다. "곰 세마리가 한 집에 있어 아빠 곰, 엄마 곰, 아기 곰~~", 세 자매 신이 났다.

2박3일의 짧은 여정이지만 만나면 즐겁다. 또 보고 싶고 만나고 싶어진다. 가족이기 때문이다.  어느 지상파 방송에서 출연자 한 분이 효도계약서를 써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래야 효도를 하지 않으면 물려준 재산을 돌려받을 수 있다나...

즐거워 하는 콩콩이, 무엇이 좋은지 덩달아 떠들고 다닌다.
▲ 콩콩이 즐거워 하는 콩콩이, 무엇이 좋은지 덩달아 떠들고 다닌다.
ⓒ 문운주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가족의 의미를 찾고 싶습니다. 가족은 만나면 반갑습니다. 그리고 가족은 서로 안아주는 것이라 들었습니다. 슬플 때 아픔을 같이하고 행복은 같이 나누면서 살아가고 싶습니다. 그냥 우리 가족의 사는 이야기입니다.



태그:#육아일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아이들의 초롱초롱한 눈망울을 보며 삶의 의욕을 찾습니다. 산과 환경에 대하여도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미래에 대한 희망의 끈을 놓고 싶지 않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