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자유한국당 대선주자로 나선 이인제 전 최고위원이 2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자유한국당 대선주자로 나선 이인제 전 최고위원이 2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기사 보강 : 13일 오후 3시 55분]

자유한국당 대선 주자들이 경선룰 때문에 단단히 뿔이 났다. 여론조사 100%(책임당원 70% : 일반 국민 30%) 경선 방식부터, 예비 경선을 거치지 않고도 본 경선에 합류할 수 있는 '특례 규정' 등 경선룰 전반을 향한 반발이다.

사실상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을 배려하는 듯한 규정이 나오자 이인제 전 의원과 김진 전 중앙일보 논설위원,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는 경선 불참도 시사했다.

이 전 의원과 김 전 논설위원, 김 전 지사를 비롯해 원유철 의원, 안상수 의원 등 당내 대선주자들은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의 한 호텔에서 김광림 한국당 선거관리위원장을 만나 경선 룰에 대한 항의를 전달했다.

이 전 의원은 이후 기자들과 만나 "여러 문제가 많지만, 후보 결정 방식을 100% 여론조사 방식으로 하는 것은 정당 민주주의 원리를 완전히 훼손하는 것"이라면서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세계 어느 나라에도, 과거에도, 앞으로도 있을 수 없는 일로, 상상할 수도 없는 방식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인제 "'특례규정'은 중간에 끼어드는 새치기 경선"

이 전 의원은 특히 '특례 규정'을 "중간에 끼어드는 새치기 경선"이라고 비난하면서 "변칙 중 변칙으로, 우리 당을 죽이는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특례 규정을 두고 황교안 권한대행을 위한 '우대 룰'이라는 지적이 당 안팎에서 제기된 터였다. 

김진 전 논설위원도 "특정인을 위한 편법, 새치기, 끼어들기 경선으로 (그 특정인이) 대선에 나가면 야당이 뭐라고 하겠느냐"면서 "대통령이 돼도 편법 끼어들기로 (나라를) 경영할 거냐고 공격할 거다"라고 주장했다.

경선 불참 의사도 분명히 했다. 김 전 논설위원은 "오우 기자회견을 통해 (이 전 의원과 함께) 경선 참여를 거부 하겠다"면서 "이 경선룰 하에서는 경선 보이콧이다"라고 말했다.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 또한 회동 이후 기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한국당 비대위원직을 사임했다"면서 "(이후 기자회견에서) '새치기 경선'을 규탄하고, 인명진 비대위 체제에 대한 견해를 밝힐 예정"이라고 밝혔다.

주자들을 화나게 한 원인에는 경선 룰 자체 뿐 아니라, 당 차원의 '소통 부재'도 한 몫 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예비주자 캠프 관계자는 "(당에서) 후보들에게 경선룰을 이렇게 하겠다는 식의 조율이나 논의도 없었고, 구체적인 내용도 언론을 통해서 들었다"면서 "경선으로 후보를 뽑는 건데, 책임당원들이 현장에서 표 한 장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하는 안"이라고 비판했다.

"들러리 경선" 비판에 정우택 "그대로 진행할 것"



대선출마 선언한 김진
 대선출마 선언한 김진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김광림 선관위원장은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주자들의) 의견을 전해듣고, 현안을 설명드렸다. 지켜봐달라"고 말한 뒤 먼저 자리를 떠났다. 원 의원 또한 "사전에 (주자들과) 회의를 했으면 좋았을 텐데, 아쉽다는 이야기를 했다"면서 "김 위원장이 내일 오전까지 답을 주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 전 의원과 김 논설위원, 김 전 지사는 다음날까지 기다리지 않고 당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항의 기자회견을 진행하기로 했다. 의견을 수렴한다해도, 당의 결정이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기 때문이다. 이 세 사람은 나머지 주자들이 다 자리를 떠난 뒤에도 2시간가량 논의를 이어갔다.

이 전 의원은 "오전 중 (당에서) 반응이 있으면 기자회견 내용이 달라지겠지만, 현재로서는 거의 가능성이 없다"고 말했다. 김 전 논설위원 또한 "당 지도부가 이것을 바꿀 가능성이 없다고 본다"면서 "자유한국당이 위기 상황에서 궤도를 이탈해 정도를 거부하는 방식에 대해 국민과 당원 앞에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는 한편, 이 전 의원은 인 비대위원장이 홍준표 경남도지사의 '당원권 정지'를 일시 중지한 것을 비난하기도 했다. 그는 같은 날 오후 기자회견에서 "(인 비대위원장은) 편법으로 (홍 지사의) 대법원 판결 시까지 잠정적으로 효력을 정지한다고 했는데, (저도) 법률가 출신이지만 도저히 알아들을 수 없는 방법으로 (당원권을) 회복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 전 의원은 인 위원장 체제에서 당원권이 정지된 서청원, 최경환, 윤상현 의원과 탈당을 요구받았던 이정현 전 당대표 또한 홍 지사처럼 복권해줄 것을 주문했다. 그는 "그분들도 (당의 결정에) 상처 입고, 어느 정도 정치적 과오를 속죄했다"면서 "홍 지사의 복권 만큼 그들의 복권도 시급하게 처리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당 지도부는 이들의 문제제기를 크게 염두에 두지 않고 있다.

정우택 원내대표는 같은 날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그분들이 국민들로부터 충분한 지지율을 받는다면 특례조항을 적용할 이유가 없을 것이다. 만약 후보를 3명으로 압축했는데 그들 지지율이 아주 저조하거나 또는 대선을 승리로 이끌 인물이 뒤늦게 나올 수 있는 여건을 봉쇄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정 원내대표는 "경선룰은 당사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규정을 만들 수 없다"면서 "저희들이 만든 규정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못박았다. 정 원내대표는 "룰을 정하는데 경기하는 사람과 협의할 시간적 여유도 없고, 선언한 사람과 앞으로 나올 사람들을 다 모아서 하나하나 이야기를 들을 계제가 못됐다"고 덧붙였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급박히 전개된 대선 국면에서, 주자들 각각의 의견까지 반영하며 룰을 정하는 것은 무리라는 입장이다.


태그:#자유한국당, #경선, #김진, #김문수, #이인제
댓글1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