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국회 운영위원장직을 내놓지 않고 있는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20일 오후 소집한 운영위 회의에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생각에 잠겨 있다.
▲ 국회 운영위원장직 내놓지 않는 정우택 국회 운영위원장직을 내놓지 않고 있는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20일 오후 소집한 운영위 회의에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생각에 잠겨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정회해요. 회의가 졸속적으로 열렸어!"
"왜 늦게 들어와서 큰 소리야!"

20일 오후 국회 운영위원회. 고성이 오갔다. 민경욱 자유한국당 의원이 자유발언을 통해 "논문표절, 위장전입 이런 건 우리가 (인사 배제 원칙으로) 내세운 게 아니라 대통령이 내세운 것이다. 그럴싸한 말 해놓고 국회 청문회는 참고용이라는 오만함을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며 조국 민정수석의 출석 필요성을 강변하던 중이었다. 뒤늦게 회의장에 들어선 민주당 의원들은 민 의원의 발언에 목소리를 높이면서 중단을 요구했다.

그러나 운영위원장인 정우택 한국당 당대표 권한대행은 "이렇게 하셔서 정회로 이끌려고 하시나"라며 이들의 항의를 수용하지 않았다. 민 의원은 최근 논란이 된 문정인 외교안보특보를 거론하며 정의용 안보실장 사퇴까지 주장한 뒤에, 책상을 내려치면서 "나는 자유발언을 하는 것이지 (상임위원장을 상대로 제한된 시간 안에 해야 하는) 의사진행발언을 하는 것이 아니다"고 맞섰다.

야당이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 등의 출석을 요구하면서 단독 소집한 국회 운영위원회가 결국, 예상대로 '파행'으로 치달은 셈이다.

"상견례는 물론 간사 선출도 안 했는데, 정치공세 하려고"

민주당은 상임위 간사조차 선임되지 않았고 새로 보임된 위원 간의 상견례조차 이뤄지지 않은 상황임을 지적했다. 정 권한대행이 이날 "(한국당 운영위 간사인) 김선동 의원 등 11명의 개의 요구에 따라 열렸다"면서 '재적위원 4분의 1 이상의 요구가 있을 때에 개회한다'는 국회법 52조를 그 근거로 내세웠지만 관례에 맞지 않는 억지 주장이라는 얘기였다.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인 박홍근 의원은 "두 교섭단체가 (운영위 당연직 위원이 될) 새 원내대표를 선출했고 (운영위원 간) 상견례조차 안 했다. 간사 선출도 안 돼 있다"면서 "이런 것이 국민의 입장이나 국회의원으로서 이해되는 상황인가"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렇게 운영위를 시작하자면 앞으로 각 당의 원내대표와 수석부대표가 (국회) 파행의 선두적 역할을 하라는 것인가"라며 "최소한 상견례도 하고 간사 선출도 한 뒤에 협의를 통해 운영위를 이끌어야지. 일방적으로 열어서 정치공세의 장을 만들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박용진 의원도 "여야 간 대립이 있더라도 운영위만큼은 여야 합의로 안정적으로 운영돼야 한다. '정쟁' 운영위원회로 만들었다"면서 "청와대를 상대로 문제제기하고 국민을 대신해 질의하겠다는 것인데 아직 (운영위의) 소위원회도 구성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특히 그는 "(상임위 활동이) 회의 열고 마이크 잡고 청와대 비판하고 대통령 비난하면 되는 게 아니잖나"라며 "이런 상황을 운영위원장이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정우택 위원장이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응천 민주당 의원은 한 걸음 더 나아가 "국회 관행에 맞게 운영위원장을 여당에게 넘기는 게 맞다"고 주장했다. 그는 "민주화 이후 국회 운영위는 집권여당에서 그 위원장을 맡는 것이 확립된 관행이라고 알고 있다"면서 "13대 국회 이후 운영위원장은 모두 집권여당이었고 실제로 20대 국회 전반기 원 구성 때도 원내1당이 민주당이었음에도 새누리당(현 한국당)에 운영위를 양보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야당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 오히려 운영위를 이렇게 소집하게 된 책임은 문 대통령과 여당에 있다고 주장했다. 무엇보다 여당이 뒤늦게 회의에 참석해 민경욱 의원의 발언 중 목소리를 높인 것을 '부끄러운 모습'이라고 일갈하기도 했다.

김선동 한국당 의원은 "국회법에 따라 열었고, 야3당이 이 자리에 참여해서 (운영위) 소집 필요성을 웅변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절차적으로 문제가 없다"면서 "야3당이 인사에 문제가 있다고 엄중히 말하는데도 이런 목소리가 그냥 짓밟혀지고 임명을 강행한 것을 좌시하는 게 옳지 못하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여당 의원께서 발언 하나 정도는 침착하게 지켜봐주시고 차분히 문제제기를 하면 되는데, (고성을 지르는) 이런 모습이 국민 앞에 보이는 자체가 부끄러운 모습이 아닌가 생각한다"면서 "독자적으로 이런 자리를 마련한 것, 저희들도 마음이 굉장히 불편하다. 그 원인이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지 여당에서도 충분히 자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결국 민주당은 '퇴장'을 택했다. 박홍근 원내수석부대표는 마지막으로 "간사를 선출하고 의안도 정하고 한다면 그것을 누가 반대하겠나. 이번은 앞뒤가 어긋났기에 절차가 무시됐다고 항의한 것"이라며 "나머지 모든 상임위는 발목을 묶어놓고 왜 운영위만 열었나. 무슨 의도냐"고 지적했다.

정우택 "민주당, 작전 짜서 와서 회의장 혼란스럽게 하려고"

국회 운영위원장직을 내놓지 않고 있는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20일 오후 소집한 운영위 회의에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생각에 잠겨 있다.
▲ 국회 운영위원장직 내놓지 않는 정우택 국회 운영위원장직을 내놓지 않고 있는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20일 오후 소집한 운영위 회의에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생각에 잠겨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한국당·국민의당·바른정당 등 야3당은 민주당의 퇴장 이후에도 그대로 자리에 남아 정부·여당에 대한 성토를 이어갔다. 민주당이 중도퇴장 한 것에 대한 유감표명이 주된 내용이었다.

이언주 국민의당 원내수석부대표는 "(국회에) 와서 인사하고 악수하는 게 소통이 아니라 상대방 얘기를 듣고 조율하는 게 진정한 소통"이라며 "지금 (회의장에서) 퇴장하셨는데 굉장히 구태의연한 행동이다. 여당이 옛날과 똑같이 (중도) 퇴장하고 청와대 편만 드는 게 능사가 아니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양석 바른정당 원내수석부대표도 "운영위에서 따지기 전에 여당 내부에서 (최근 인사검증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나왔으면 이런 일도 없었을 것이라고 본다"면서 "야당이 독주한다고 비난하기 전에 여당으로서 양심적 역할을 해 달라"고 요구했다.

정용기 한국당 의원은 "국회 관례상 운영위원장은 여당 몫"이라는 민주당의 주장에 "운영위원장은 국회의장과 예산결산특위 위원장 문제와 연계해서 협상한 것이다. 국회의장을 양보하면서 운영위원장을 새누리당에서 맡기로 일단락된 것"이라고 반박했다. 당시 "운영위는 여당 몫"이라면서 협상에 임했던 점은 누락시킨 주장이었다. 특히 그는 "회의장에서 위원장을 보고 사퇴하라는 식으로 얘기하는 것은 기본적인 인간적 품격과 예의 이런 면에서 문제가 많은 것을 보여준 것"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정우택 권한대행은 "그간 의정활동을 통해 보면 (민주당의 행동은) 아예 작전을 짜고 와서 회의장을 혼란스럽게 만들겠다는 의도라고 보인다"라면서 적법한 절차를 거쳐 운영위를 열었다고 강변했다. 다만, 그는 "청와대 관련 인사를 출석시키는 문제는 원만한 운영위원회 운영을 위해 한 템포 늦추자는 의원들의 의사를 수렴하겠다"면서 "다음 운영위 개의 때 (조국 수석 등의) 출석 요구를 상정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의당은 이날 운영위원회에 불참했다.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는 따로 기자회견을 통해 "여야가 합의한 상임위 일정도 납득할 수 없는 이유로 무산되는 상황에서 여야 교섭단체 합의 없이 운영위가 일방적으로 소집돼 정치공세로 활용되는 것이 유감"이라며 "대선이 끝난 마당에 여전히 비정상적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국회의 상황이 대단히 안타깝다"고 밝혔다.


태그:#정우택, #운영위원회, #문재인, #조국, #인사청문회
댓글1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