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탈핵부산시민연대는 25일 오전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신고리5·6호기 반대 여론 결집을 위한 시민 행동에 나서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탈핵부산시민연대는 25일 오전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신고리5·6호기 반대 여론 결집을 위한 시민 행동에 나서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 정민규

관련사진보기


탈핵을 바라는 부산 지역 시민단체들이 신고리5·6호기 건설 저지를 위한 여론 조성에 나선다. 70여 개 지역 시민단체가 꾸린 탈핵부산시민연대는 25일 오전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탈핵의 마음을 모아 신고리5·6호기를 반대하는 천 개의 이유, 천 개의 행동을 조직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고리5·6호기 건설 중단 여부를 결정하는 공론화위원회 활동 기간 중 시민들을 상대로 여론전에 나선다는 내용이다. 1인 시위를 통해 신고리5·6호기 건설의 부당성을 시민들에게 알리고, 토론회 등을 이어나가 여론 확산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시민연대는 "이번 과정은 여러 가지 우려에도 불구하고 핵발전으로부터 더욱 멀어지는 과정, 탈핵을 위한 시민들의 바람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면서 "탈핵은 부산시민의 바람이라는 것을 그대로 보여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동시에 시민연대는 정부가 분야별 전문가 9명으로 구성한 공론화위원회에 우려 섞인 목소리를 전달했다. 이들은 "(위원회에) 숙의형 공론화를 경험한 인사가 거의 없어 숙의민주주의를 제대로 설계할 수 있을지 우려가 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들은 "신고리5·6호기 공론화가 공정하고 합리적인 직접민주주의로 진행될 수 있도록 시민사회와 숙의형 공론 전문가의 입장과 의견을 적극 반영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민연대는 신고리5·6호기와 인접한 부산·울산·경남 지역민들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위원회의 공정성은 지금까지 숨겨져 왔던 핵발전에 관한 정보들이 낱낱이 공개되고, 신고리5·6호기 백지화를 바라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얼마나 왜곡 없이 전달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부산에서 시민 행동이 준비되는 가운데 울산에서도 비슷한 활동이 전개되고 있다.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울산시민운동본부는 지난 24일 시민 토론회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신고리 5·6호기 공론화 기간 울산 곳곳에서 릴레이 토론을 벌이고, 오는 9월 24일에는 1000명이 모이는 대토론회를 열겠다는 구상을 발표했다. 이를 위한 조직위원회도 구성했다. 

울산시민운동본부 측은 "사회 공론화 과정 3개월 동안 206개 단체와 마을 모임들이 각자의 독특하고 고유한 방식으로 탈핵 콘서트, 탈핵 캠프, 탈핵 텃밭 등 다양한 탈핵 문화의 장을 선보이고, 울산지역 탈핵 로드맵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되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


태그:#신고리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