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비가 와서 그런지 물이 많고 맑다. 연둣빛을 띠기 시작하는 식물과 계곡은 그야말로 장관이었다. 빼어난 경치에 입을 다물지 못하고 감탄사를 연발했다. 유성천 상류 지역을 느리게 3시간 동안 걷는 순간순간이 모두 아름다움이었다.

25일 9시 30분에 현충원 주차장에서 출발했다. 유성천 종주를 위해서다. 발원지를 찾아가면서 만난 유성천에는 물이 많았다. 이틀간 내린 비가 만든 물은 힘찬 소리를 내며 하류로 흘러가고 있었다.

4명의 월평공원 갑천 생태해설가 선생님들과 함께 걷는 것은 느림을 배우는 시간이다. 왕복 4km의 거리를 3시간 동안 걸었다고 생각하면 얼마나 느린지 알 수 있다. 본래 유성천 전체를 종주하려고 했으나 다음 일정이 있어 현충원부터 갑천 합류점까지의 하류는 다음을 기약하기로 했다.

.
▲ 느림을 알려준 선생님들 .
ⓒ 이경호

관련사진보기


대전에는 100개가 넘는 하천이 존재한다. 이중 국가하천이 3개 지방하천이 28개소이며 나머지 78개가 소하천이다. 이렇게 많은 하천 중에 크기가 큰 대전천, 유등천, 갑천을 3대 하천이라 부른다. 대전환경운동연합은 지난 3년간 3대 하천을 처음부터 끝까지 종주했다. 구간별로 매월 1회씩 종주하며 생태계와 하천의 지형 변화 등을 확인했다.

2018년에는 대전의 지방하천들을 종주하기로 결정했고 그 첫 번째를 바로 유성천으로 정한 것이다. 도덕봉에서 발원한 유성천은 유성구청 앞에서 갑천과 합류한다. 약 8km의 거리를 흘러가는 작은 하천이다. 발원지를 가본 적이 없어 꼭 한번 가보고 싶었다.

.
▲ 유성천의 모습 맑은 물로 바닦에 그대로 보인다 .
ⓒ 이경호

관련사진보기


대전현충원에서 출발하여 상류로 올라가기 시작한 유성천은 속된말로 '깜놀'(깜짝 놀람)이었다. 연둣빛을 띠기 시작하는 새싹들이 하천의 풍광을 더 높여주기는 했을 터이지만 매우 절경이었다. 도덕봉에서 내려오는 맑은 물은 계곡의 바닥까지 그대로 보여주고 있었다. 계룡산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도덕봉에서 내려오는 물이라서 그런지 맑음 그 자체였다.

.
▲ 유성천 상류에 모습 .
ⓒ 이경호

관련사진보기


도덕봉 입구까지는 마을과 함께 어우러져 흐르는 작은 하천이었다. 도덕봉 입구에 들어서자 그야말로 유명한 계곡과 다름없을 정도의 경관이 나타났다. 곳곳에서 들리는 물소리는 자연을 느끼기에 충분했다. 봄을 준비하는 큰유리새의 지저귐은 유성천의 오감으로 느낄 수 있게 해 주었다.

안타깝게도 유성천 발원지인 도덕봉 계곡은 국립공원관리지역이라 끝까지 오를 수는 없었다. 철조망과 통제 푯말이 설치되어 있어 접근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었다. 속된말로 개구멍이 만들어져 오를 수 있었으나, 접기로 했다. 다음에 공식적으로 국립공원의 허가를 받아 입산하여 발원지를 답사하기로 정하고 내려왔다.

.
▲ 2017년 유성구청 앞 유성천의 모습 .
ⓒ 이경호

관련사진보기


유성구청 앞에 있는 유성천은 탁도와 오염도가 높다. 이렇게 더러운 모습이 익숙하기에 상류에 아름답고 맑은 모습이 더 충격적으로 다가 왔을 수 있다. 맑게 흐르는 물이 도시를 관통하변서 변화되는 모습을 생각하니 씁쓸하기도 했다.

대전환경운동연합은 올해 매월 1곳의 지천을 답사할 예정이다. 대전 3대 하천 뿐만 아니라 20여개의 지천의 모습도 기록해 나갈 계획이다. 다음 달 지천 탐사가 벌써 기다려진다.


태그:#유성천, #현장답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날로 파괴되어지는 강산을 보며 눈물만 흘리고 계시지 않으신가요? 자연을 위한 활동이 필요하시면 연락주세요! 대전환경운동연합 회원이 되시면 함께 눈물을 흘리고 치유 받을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하기! https://online.mrm.or.kr/FZeRvcn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