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960, 70년대 인천 경동 싸리재에 있던 <평화각> 모습.
 1960, 70년대 인천 경동 싸리재에 있던 <평화각> 모습.
ⓒ 부극정

관련사진보기


인천을 대표하는 오래된 중화요리집으로는 공화춘, 중화루를 들 수 있다. 몇 번의 부침을 거친 후 공화춘은 짜장면박물관이 됐고, 중화루는 여전히 시민들이 애용하는 중국집으로 사랑받고 있다. 이들 중국집들의 역사는 인천 화교 이주의 역사와 궤를 같이 한다.

경동 싸리재에 있는 평화각, 결혼식장 피로연 장소로 유명

공화춘, 중화루와 더불어 인천을 대표하는 중국집이었던 곳이 하나 더 있었다. 중구 경동 싸리재에 있던 평화각이다. 이곳은 한때 인천시민들과 화교들의 결혼식장과 피로연 장소로 각광을 누렸다.

평화각은 지금 인천 사람들의 머릿속에서 잊혀진 지 오래지만 60, 70세 정도 된 시민들 중에는 경동 싸리재에 있었던 평화각을 추억하는 이들이 꽤 있다. 이들 중엔 아직도 평화각에서 먹었던 고소한 짜장면 맛을 기억한다.

평화각은 1980년대 초·중반까지 운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화각을 운영했던 인천화교 주대유(周大有·88)씨는 1977년 평화각을 접고 미국으로 이민을 떠났고, 그 후 그의 동생이 인수해 운영했지만 오래가지는 못했다. 평화각은 다시 한국인에게 매각됐고 1995년경 그 자리에 도로가 생기면서 건물마저 헐렸다. 

평화각의 이야기를 취재하고자 인천화교들을 상대로 수소문했지만 오래전에 이민 간 평화각 사람들의 이야기를 찾아내기는 쉽지 않았다.

다행히도 만수동에서 한의원을 운영하고 있는 인천화교인 임치유 원장이 당시 평화각 운영자들과 아는 사이였다. 임치유 원장의 도움으로 미국에 살고 있는 평화각 사람들과 연결이 됐다. 구순을 바라보는 주대유 사장은 생존해 있고, 그의 아들 주기이(周其怡)씨와 이메일 통해 평화각 이야기를 들었다. 
 
1940, 50년대 <평화각> 사진.
 1940, 50년대 <평화각> 사진.
ⓒ 자료사진

관련사진보기


평화각은 공화춘과 중화루가 차이나타운에 있었던 것과 달리 인천 경동 싸리재에 있었다. 지금 경동 애관극장과 아주 가까운 거리에 위치했다. 

영업은 1934년쯤 시작했다. 창업자는 인천 화교인 주명창(周銘昌·1911년생)이었다. 주명창은 1928년경인 17세 때 인천으로 이주했고, 그의 아들 주대유(周大有)는 1945년에 할머니와 함께 인천으로 왔다. 이때는 화교들이 인천에 많이 이주하던 시기다.

주명창은 중국 산둥에서 고깃배를 수리하는 일을 했지만 생활은 빈곤했다. 그는 한국으로 가면 돈을 벌 수 있다는 사람들의 얘기에 더 나은 삶을 위해 기회의 땅인 인천으로 이주를 결심했다. 주명창은 당시 인천으로 오는 뱃삯으로 계란 1줄을 사공에게 주고 겨우 배를 탈 수 있었다. 정식입국이라기 보다는 불법이주였던 셈이다. 

인천에 온 주명창은 처음 1년은 다른 가게의 종업원으로 일하다가 빵집을 열었다. 빵집은 장사가 잘 됐다. 주로 중국빵을 만들어 팔았는데 당시 중국빵은 인기가 많아 만드는 대로 잘 팔렸다.

주말엔 하루 14건 정도 결혼식 진행

주명창은 빵집을 운영하다 1년 뒤 동업 형태로 1934년경 평화각을 열었다. 동업이었지만 운영은 주명창이 맡았다. 

평화각의 전성기는 1960, 70년대였다. 주말에는 하루 14건의 결혼식이 있을 정도로 식당은 결혼식과 하객들로 붐볐다. 평화각은 결혼식도 하고 피로연도 할 수 있어 인기 장소였다. 또 인근의 신신예식장에 온 하객들의 식사도 평화각에서 하는 경우가 많아 사람들로 늘 북적 북적였다. 결혼식은 공화춘보다 평화각에서 더 많이 했다.
 
인천화교협회 회장을 지낸 필명안 고문의 결혼 사진. 그는 1972년 <평화각>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인천화교협회 회장을 지낸 필명안 고문의 결혼 사진. 그는 1972년 <평화각>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관련사진보기


임치유 한의원 원장의 평화각에 대한 추억 하나. 

"1960, 70년대 평화각에서 결혼식이 많다보니 화교학교 학생들이 주말에 이곳에서 아르바이트를 많이 했어요. 당시 화교학교 학생들은 예식 손님들에게 음식을 서빙하고 그 대가로 짜장면을 먹고 일당을 받았어요. 당시는 짜장면을 쉽게 먹을 수 있는 때가 아니어서 평화각 아르바이트는 인기가 높았던 걸로 기억합니다."

평화각의 인기 메뉴는 짜장면과 해삼탕이었다. 춘장을 직접 만들고 해삼을 말려서 만든 음식은 다른 식당보다 풍미가 좋았다. 덴뿌라도 평화각의 대표 메뉴 중 하나로 손님들이 즐겨 찾던 요리였다.
 
주대유씨 가족이 <평화각>에서 촬영한 가족 사진.
 주대유씨 가족이 <평화각>에서 촬영한 가족 사진.
ⓒ 주기이

관련사진보기


평화각은 3층 건물이었다. 1층은 원탁 테이블 8개, 2층은 프라이빗 룸 12개, 3층은 200~300명이 앉아서 식사가 가능했다. 하루 약 8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어 공화춘과 중화루보다 규모가 더 컸고 직원만 해도 12~18명에 달했다.

평화각의 메인 간판은 임자풍(林子豊) 선생이 썼고, 식당 출입문 작은 간판은 인천화교학교 교장을 역임한 왕덕릉 선생의 글씨다. 왕덕릉 선생은 글씨를 잘 썼던 것으로 화교들은 기억했다.

1977년 미국 이민… 애틀란타서 다시 평화각 열어 

주명철에 이어 평화각을 운영한 사람은 그의 아들인 주대유였다. 그는 1970년대 인천화교사회 발전을 주도했다. 1970~74년 인천화교협회 회장을 지냈고, 인천화교학교 이사장을 역임하면서 인천 화교들의 권익과 화교와 대만과의 유대관계 증진, 화교들이 인천에서 사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행정적 지원에 앞장섰다.  

구순을 바라보는 주대유씨는 "화교협회 회장을 하면서 화교들의 주례를 많이 섰는데 사람들의 인연을 이어주고 축복해 주었던 것을 인생에서 가장 보람된 일로 여긴다"고 말했다. 

평화각의 주대유씨 가족이 이민을 가게 된 배경은 한국 정부의 각종 규제와 화교차별 정책이 큰 원인이었다. 제2차 화폐 개혁과 박정희 대통령 시절 단행된 외국인 토지 취득 및 관리에 관한 법으로 한국에서 경제 활동이 어렵다고 판단한 화교들 중엔 이 시기 미국, 대만 등으로 이민을 떠난 사람들이 많다. 주대유씨도 마찬가지였다. 
 
미국 애틀란타에 있는 <평화각>.
 미국 애틀란타에 있는 <평화각>.
ⓒ 주기이

관련사진보기

<평화각> 운영자였던 주대유옹. 그는 현재 미국 애틀란타에서 아들과 함께 평화각을 운영하고 있다.
 <평화각> 운영자였던 주대유옹. 그는 현재 미국 애틀란타에서 아들과 함께 평화각을 운영하고 있다.
ⓒ 주기이

관련사진보기


주대유 옹은 1977년 코스타리카를 거쳐 미국으로 들어갔고, 1980년 미국 애틀란타에서 다시 평화각을 열었다. 미국에서도 평화각은 여전히 인기 있는 중국집이다.

평화각을 운영했던 주대유 옹은 50여 년 정도 운영한 평화각이 없어진 현실이 안타깝지만, 그 당시에는 그 결정이 최선이었다며 안타까운 현실을 표현했다.

현재 평화각은 없어졌지만 아직도 평화각을 기억하는 인천시민들이 많다. 그 시절. 인천사람들의 소중한 추억과 기억이 사라져 안타까운 마음이다.

<i-View> 바로가기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인천시 인터넷신문 'i-View'에도 실립니다. 이 글을 쓴 이용남 기자는 'I-View' 편집위원입니다.


태그:#평화각, #공화춘, #중화루, #짜장면, #중화요리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인천시 인터넷신문 ‘i-View’는 시민의 알권리와 다양한 정보제공을 위해 발행하며 시민을 대표해서 객원·시민기자들이 콘텐츠 발굴과 신문제작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제작된 신문은 뉴스레터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