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2021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 당정협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2021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 당정협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 공동취재사진

관련사진보기

 
전국민·선별 지급을 놓고 이견을 보여온 더불어민주당과 정부가 결국 코로나19 5차 재난지원금을 소득 하위 80%에만 지급하기로 29일 합의했다. 재난지원금 등 코로나 피해회복을 위한 2차 추가경정예산안의 전체 규모는 33조 원으로 책정했다. 역대 최대였던 지난해 3차 추경(35조)에 버금가는 규모다.

박완주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정협의 직후 브리핑에서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은 심도 깊은 논의를 거쳐 중산층을 폭넓게 포괄하는 소득 하위 80% 가구를 대상으로 지원하기로 협의했다"라고 발표했다.

당내 개혁 그룹인 '더좋은 미래(더미래)'나 '경제민주화와 평화통일을 위한 국민연대(민평련)'에 속한 70여 명 의원이 성명을 내는 등 여당에선 전국민 지급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컸음에도 홍남기 경제부총리 등 기획재정부의 논리로 결정난 것이다. 박 정책위의장은 "실무 논의 과정에선 (정부에)계속 전국민 지급 요청을 했다"라며 "전국민 지급을 해야 한다는 당내 의견들이 있기 때문에 향후 의총을 통해 의견을 수렴해 국회 심의과정에 반영하려는 노력을 하겠다"고 했다.

이 같은 '80%' 재난지원금과 더불어 소상공인 피해지원, 저소득층 플러스자금, 상생소비 지원금 신용카드 캐시백 등에 총 15~16조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또 ▲ 백신방역 보강에 4~5조 원 ▲ 고용 및 민생안정 지원 예산에 2~3조 원 ▲ 지역상권 지방재정 보강에 12~13조 원이 편성됐다. 총 33조 원에 달하는 규모다.

태그:#홍남기, #기재부, #코로나19, #윤호중, #박완주
댓글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