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낙동강하구지키기전국시민행동은 12일 부산광역시의회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낙동강하구지키기전국시민행동은 12일 부산광역시의회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 낙동강하구지키기전국시민행동

관련사진보기

 
낙동강에 건설되는 부산 사상~식만 사이 '대저대교' 노선을 두고 논란인 가운데, 환경단체가 '무조건 반대'가 아닌 '최적안'을 제시해 관심을 끈다.

낙동강하구지키기전국시민행동(아래 '시민행동')은 12일 부산광역시의회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부산시는 시민이 공감하는 대저대교 건설 최적안 채택에 적극 나서라"고 촉구했다.

환경부 산하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지난 6월 25일, '겨울철새 공동조사·평가 협약'에 따라 평가위원 의견으로, 4가지 대안노선을 제시했다. 기존에 부산시가 냈던 노선은 멸종위기종 서식에 직접 영향을 끼쳐, 대안노선을 제시했던 것이다.

시민행동은 환경부가 제시한 4가지 대안노선을 비교분석한 결과, '경전철 근접 건설안'이 자연훼손이 가장 작으면서도 교통개선과 경제적 효과는 물론 사회적·기술적 측면에서도 최적의 대안이라고 했다.

'경전철 근접안'은 4개 노선안 가운데 가장 낙동강 하류 쪽에 위치해 있다. 시민행동은 "부산시가 이 안을 채택해 건설을 추진할 경우 협조할 수 있다는 의견을 모았다"고 했다.

'경전철 근접안'에 대해, 이들은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최소화"라는 것. 시민행동은 "기존의 부산-김해간 경전철 교량에 근접해 교량을 건설함으로써 서식지 파편화를 막아 큰고니 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삼락생태공원 경관 훼손이 가장 작으면서도 교량 길이가 가장 짧다"고 했다.

또 '교통개선 효과 최대'라는 것. 이들은 "서부시외버스 터미날과 르네시떼, 홈플러스 등 서부산에서 가장 유동인구와 교통량이 많은 광장로와 바로 연결되어 시외버스 등이 감전IC로 우회하는 것을 없애 남해고속도로 제2지선으로 연결되는 서부산낙동강교의 교통분산 효과가 크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이에 반해 나머지 안들은 모두 부산-김해간 경전철 교량을 넘어 건설되어 강서구쪽 IC가 기형적으로 건설되어야 하고, 신호대기 과정을 거쳐 접속하기에 이용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고 했다.

또 이 안은 '경제성 최대'라고 내다봤다. 시민행동은 "다른 안과 달리 경전철 교각 위를 넘어갈 필요가 없고 강변의 둔치 등을 이용해 공항로와 바로 연결되는 IC 건설이 가능해, IC 건설을 위한 사유지 매입 필요성이 없어진다"고 했다.

'경전철 근접안'에 대해 이들은 "경전철 건설 등을 위해 주변 지질에 대한 조사가 이미 끝난 상태이며, 낙동강 횡단구간 직선화와 연약지반 통과구간 최소화로 시공성과 구조·기술적면에서도 가장 유리하다"고 했다.

또 이들은 이 안이 '사회적 측면 우수', '사업 추진성 우수'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환경부가 1위안으로 추천한 '수관교 인접안'은 서식지 파편화를 최소화하여 큰고니 서식지 보호 효과는 있으나 삼락생태공원과 대저생태공원을 통과하는 거리가 증가해 생태공원 훼손이 크다"고 했다.

또 이들은 "'3위안'과 '4위안'으로 제시한 공항교차로까지 아래로 내려가는 안은 모두 서식지 파편화를 초래해 큰고니 서식을 불가능하다"고 했다.

시민행동은 "낙동강하구의 자연을 지키면서도 교통문제를 해결하는 현명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의 구체적 모범 사례가 부산시와 박형준시장의 큰 결단에 의해 창출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태그:#대저대교, #낙동강, #부산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