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근덕면 하맹방리 소한계곡에는 전국 유일의 보물이 숨어 있다. 바로 '민물김'이다. 바다에만 김이 있는 게 아니고 계곡물에서도 김이 자란다.

일본과 중국, 함경도와 강원도의 일부 계곡에서 자랐다고 알려졌지만, 지금은 흔적을 찾아볼 수 없고 삼척시 소한계곡에서만 일부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소한계곡은 노곡면 삼태산에서 발원하여 하월산리 지하로 스며들어 초당굴 하구인 소한굴로 유출된다고 한다.
 
소한계곡, 삼척시 근덕면 하맹방리(2023/7/12)
 소한계곡, 삼척시 근덕면 하맹방리(2023/7/12)
ⓒ 진재중

관련사진보기


초당 저수지에서 1km가량 계곡을 거슬러 올라가면, 민물김 서식지를 볼 수가 있다. 계곡 좌우에는 원시림에서만 만날 수 있는 식물들이 보인다. 소한천은 전형적인 산간계류형 하천으로 수변경관이 매우 양호하며 수변에는 버드나무, 갯버들, 산뽕나무, 소나무 등의 숲이 조성되어 사계절 시원함을 유지해 준다.
 
하천주변으로 나무가 잘 조성되어 사계절 시원함을 유지해 준다,(2023/7/12)
 하천주변으로 나무가 잘 조성되어 사계절 시원함을 유지해 준다,(2023/7/12)
ⓒ 진재중

관련사진보기


시원한 계곡물 사이로 보이는 바위 위에는 녹색빛을 띤 이끼가 반갑게 맞는다. 얼핏 보면 민물김 같지만 이끼다. 민물김은 자태를 잘 드러내지 않는다. 전문가들도 민물김을 식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물속에 숨어 있다. 소한계곡에서 민물김을 볼 수 있는 시기는 4월부터 10월까지다. 민물김은 다 자라면 최대 길이가 10cm에 이른다.
 
계곡 곳곳에는 녹색 빛을 띤 이끼를 볼 수가 있다(2023/7/12)
 계곡 곳곳에는 녹색 빛을 띤 이끼를 볼 수가 있다(2023/7/12)
ⓒ 진재중

관련사진보기

     
암반위의 이끼(2023/7/12)
 암반위의 이끼(2023/7/12)
ⓒ 진재중

관련사진보기


민물김은 석회암 지대에서 뿜는 용천수로 유속이 빠른 여울이 있는 구간의 돌에서 서식한다. 사계절 13도 이하의 수온을 유지하고, 초당 1m 이상으로 세차게 흐르는 물에서만 겨우 자란다. 

민물김처럼 서식 환경이 까다로운 생물도 흔치 않다. 민물김을 민물김 연구센터 김동삼 박사는 "지구온난화가 되면서 개체 수가 점점 줄고 있다"며 "민물김 보존방안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민물김이 자라는 계곡(2023/7/12)
 민물김이 자라는 계곡(2023/7/12)
ⓒ 진재중

관련사진보기

 
민물김, 물의 흐름이 빨라야하고 사계절 수온이 13도를 유지해야 한다.(2023/7/12)
 민물김, 물의 흐름이 빨라야하고 사계절 수온이 13도를 유지해야 한다.(2023/7/12)
ⓒ 진재중

관련사진보기


민물김은 바다김과 생김새에서 크게 다르지는 않지만 계곡물먹고 자란 민물김은 일반 김과는 다르게 씹으면 씹을수록 단맛이 난다고 한다. 이곳에서 태어나 민물김을 먹고 자랐다는 안성기(81) 어르신은" 바다김보다도 특별한 맛은 덜 하지만 건강에 좋고 추억이 담겨있는 식재료라서 더욱 애정이 간다"라고 말한다. 불과 10여 년 전까지도 초당마을 주민은 민물김을 채취해 밑반찬으로 쓰고, 장터에도 내다 팔았다.  
마른 민물김, 씹으면 씹을 수록 단맛이 돈다
 마른 민물김, 씹으면 씹을 수록 단맛이 돈다
ⓒ 진재중

관련사진보기


삼척시에서는 민물김 보존과 서식 보호를 위해 2012년 생태·경관 보전 지역으로 지정 관리하고 있고 민물김을 활용한 주민소득화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민물김연구센터를 건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계곡 초입의 민물김연구센터에서 김의 생장 환경을 관리하고 양식을 한다. 2023년 연구센터에서 양식으로 7kg을 이미 수확했다. 놀라운 성과다. 자연생태 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되면서 민물김 채취는 법적으로 금지됐다.
 
민물김 양식장, 민물김 연구센터(2023/7/12)
 민물김 양식장, 민물김 연구센터(2023/7/12)
ⓒ 진재중

관련사진보기


기후변화로 하나둘씩 우리 고유의 종들이 사라지고 있다. 민물김도 언제 사라질지 모른다. 국내 유일의 민물김 서식지로 알려진 소한계곡, 더 이상 오염되지 않고 자연 그대로를 유지하면서 민물김이 자라는 환경을 유지해주어야 한다.
 
소한천, 민물김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갖춘하천(2023/7/12)
 소한천, 민물김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갖춘하천(2023/7/12)
ⓒ 진재중

관련사진보기


태그:#민물김, #소한계곡, #삼척시 초당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그물에 걸리지않는 바람처럼!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처럼!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