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위기충남행동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위기충남행동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무한정보> 최효진

관련사진보기

 
충남 시민사회단체·정당들로 구성된 '인권·농민·노동·환경 위기충남 공동행동'이 2만1000여 명의 '충남 인권조례·학생인권조례 폐지' 반대서명을 제출했다.

사실 기존 폐지 청구안은 지난 3월 보수 기독교계를 중심으로 제출했다. 충남도의회는 최근 조례 폐지안에 대한 심사 절차를 3차까지 진행하고 있다. 청구인 명부 검증 작업을 거친 뒤, 운영위원회를 통해 폐지안에 대한 수리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에 반대로 위기충남행동은 1~6월까지 ▲충남 인권기본조례·학생인권조례 폐지 반대 ▲쌀값 보장과 생산비 폭등에 대한 지자체 지원정책 마련과 즉각 시행 ▲당사자 참여 보장하는 정의로운 전환 추진 ▲노동정책 후퇴 중단과 사각지대 노동자 권리 보호의 4대 의제 중심으로 '위기의 충남! 김태흠 도정 심판! 충남도민 서명운동'을 벌였다.

10일 충남도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연 위기충남행동은 "12일이면 충남도의회 제346회 임시회가 열린다. 그동안 위기충남공동행동은 충남인권기본조례·학생인권조례 폐지에 반대하는 충남도민들의 뜻을 서명운동을 통해 모아왔다"라며 조례폐지를 막아내기 위해 싸워나갈 것임을 분명히 했다.

장명진 충남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대표는 "보수 기독교 단체의 뜻으로 폐지 조례가 올라왔다는 것은 교회를 섬기는 한 사람으로서 부끄러운 일이다"며 "도지사와 도의회가 보수 기독교의 뜻만을 대표한다면 다음 선거에서 국민의힘은 반드시 심판받을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이진구 전국농민회 충남도연맹 의장은 "45년 만에 쌀값이 폭락했고, 농자재값은 폭등했다. 쌀값과 농자재값을 다른 도는 대책을 세웠다"며 "충남은 쌀 생산량이 제일 많다. 하지만 도는 스마트팜만을 앞세우며 쌀값 보전은 온데간데 없다"라고 김 지사를 힐난했다.

문용민 민주노총 세종충남본부 본부장은 "노동, 농민, 인권에 대해 위기감을 느끼고 작년 12월 농성했다. 하지만 김태흠 도지사의 독선적인 행태는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며 김 지사 도정에 대한 비판이 끝나지 않을 것임을 예고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충남 예산군에서 발행되는 <무한정보>에서 취재한 기사입니다.


태그:#위기충남행동, #충남인권조레, #학생인권조례, #예산군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본인이 일하고 있는 충남 예산의 지역신문인 <무한정보>에 게재된 기사를 전국의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픈 생각에서 가입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