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쉐키의 여름궁전
 쉐키의 여름궁전
ⓒ 이상기

관련사진보기


왕의 궁전이 있는 쉐키 역사지구는 201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 되었다. 그곳에 가기 위해서는 구시가지가 있는 산쪽으로 올라가야 한다. 궁전을 둘러싸고 있는 성벽에는 남쪽과 북쪽 두 개의 문이 있다.

일반적으로 남쪽으로 들어가 궁전을 보고 북쪽으로 나오는데, 우리는 북문으로 들어가 남문으로 나오기로 한다. 그것은 북쪽으로 들어가면 바로 왕의 궁전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왕의 궁전은 쉐키의 왕인 하지 샬랍(Haji Chalab: 1743~1755)에 의해 건축이 시작되었고, 1762년 완성되었다.

그러한 사실은 궁전 입구의 문 위에 적힌 안내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18세기 1762년, 왕의 궁전, 세계적 의미의 기념물"이라는 현판이다. 궁전을 둘러싼 성벽은 궁전보다 늦은 1800년대 완성되었다고 한다. 성벽은 길이가 1.2㎞, 높이가 4-6m, 두께가 2m에 이른다.

왕궁은 돌과 벽돌을 활용해 2층으로 쌓고, 창과 문을 나무와 유리로 만들어 달았다. 외벽에는 여러 가지 색의 타일을 붙여 다양한 문양을 만들었다. 창문의 안쪽에는 스테인드글라스로 장식해 햇빛을 받으면 화려한 색깔로 빛난다. 이러한 궁전건축 양식은 이란의 쉬라즈에 남아 있는 잔드와 카자르 왕조시대 왕궁과 유사한 면이 있다.
 
쉐키의 여름궁전 내부
 쉐키의 여름궁전 내부
ⓒ 이상기

관련사진보기


궁전의 1층에는 현관 역할을 하는 두 개의 문이 있고, 2층에는 테라스 역할을 하는 두 개의 문이 있다. 이들 문 위에는 유리로 화려하게 장식한 무카르나스(Muqarnas)가 있다. 1층은 왕의 서재와 응접실, 집무실 그리고 연회와 의식이 열리는 홀로 이루어져 있다.

2층은 왕과 가족들의 주거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거실, 침실, 주방 같은 생활공간이 있고, 휴식과 일을 공유하는 공간이 있다. 이들 방의 벽과 천장에는 다양한 그림이 그려져 있다. 1층에는 사냥과 전투 장면을 그린 역사기록화가 인상적이다. 2층에는 문학과 전설 속의 이야기를 그린 프레스코화가 특징적이다.

이처럼 주제가 있는 그림을 제외하면 벽에는 당초문과 꽃그림이 많은 편이다. 일부에는 기하학적 문양이나 동물 그림을 볼 수 있다. 남쪽으로는 스테인드글라스가 설치되어 외부의 빛이 안으로 비쳐 들어오게 만들었다.

그 때문에 방안이 화려한 색으로 치장한 느낌이다. 이러한 스테인드글라스 양식은 이란의 쉬라즈와 테헤란 왕궁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아제르바이잔의 건축이 이란과 영향을 주고 받았음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아제르바이잔이 실크로드를 통해 남쪽으로 이란, 서쪽으로 터키와 연결되기 때문이다.

궁전의 공방에서 이뤄지는 예술활동
 
카자르시대 인물조각상
 카자르시대 인물조각상
ⓒ 이상기

관련사진보기


여름궁전은 왕궁이 중심이지만, 옛날 왕궁 부속건물을 활용한 응용예술센터, 응용예술박물관, 전문대학 등이 운용되고 있다. 그 중 우리는 ABAD로 불리는 도자와 응용미술 센터를 살펴본다. 이 건물은 19세기 말 지어졌고, 2018년 쉐키지역 도자기를 중심으로 응용미술을 가르치는 공방 겸 문화센터로 재건되었다.

안내판을 보니 아제르바이잔 대통령 일함 알리예프의 가르침에 따라 쉐키의 전통도자기를 재현하고 그것을 후세대에 전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적혀 있다. 이곳에서도 대통령의 가르침과 지도를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응용미술 센터 외부 담 위에 카자르시대 인물 조각들이 세워져 있다. 이슬람 신자답게 모두 터번을 쓰고 수염을 길렀다. 각계 각층의 대표적인 인물을 표현한 것 같다. 표정이나 손동작들이 아주 독특하고 재미있다.

센터 안에는 회화 공방과 조각 공방이 있다. 회화는 두 가지 부류다. 하나는 쉐키의 모습을 전통적인 화풍으로 그렸다. 카라반사라이(카라반(상인)들이 머물고 교류하는 장소)에 오는 상인들이 낙타를 끌고 있다. 다른 하나의 배경은 과거지만, 그 안의 인물을 현대적으로 그려 새로운 시도를 했다.
 
전통화풍으로 그려진 카라반사라이
 전통화풍으로 그려진 카라반사라이
ⓒ 이상기

관련사진보기


조각 공방의 경우 전문적인 장인과 배우는 학생들이 각기 다른 공간에서 작업을 한다. 한쪽에는 이들이 만든 도기가 구워지기 전 상태로 놓여 있다. 이 지역의 도자기는 양각과 음각이 뚜렷한 상감기법을 사용하는 것 같다. 학생들의 실습장에는 버려진 것들도 여럿 보인다. 이를 통해 이들은 도자기 제작기법을 배우며 실험을 하는 모양이다. 응용미술 센터 남쪽으로는 쉐키 주립 전문대학도 있다.

여기서 남쪽으로 경사진 곳을 내려가면 6세기 알바니아 시대 지어진 교회가 있다. 이 교회는 신도가 없어 교회로서의 기능을 더 이상 하지 못하고, 응용예술박물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키쉬에서 본 알바니아 교회와 양식이 비슷하지만, 좀 더 크고 현대적인 느낌이 든다. 그것은 문과 지붕이 비잔틴 양식이 아닌 현대적인 양식으로 고쳐졌기 때문이다. 이곳 역시 문이 닫혀 있어 들어갈 수 없고, 건물 밖에 놓인 사진을 통해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응용예술박물관으로 사용되는 알바니아교회
 응용예술박물관으로 사용되는 알바니아교회
ⓒ 이상기

관련사진보기


18세기 왕궁을 중심으로 번성했던 쉐키는 이제 인구 7만의 작은 도시로 변했다. 19세기 중후반 카프카스 지역 실크산업의 중심지였으나, 이제는 한 개의 실크공장만이 운영되고 있다. 이곳이 산악지대기 때문에 현재 농업과 목축이 주된 산업이다.

그러므로 농산물과 축산물 가공공장이 운영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통 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관광산업에 투자해서 외국 관광객들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쉐키의 볼거리로는 왕궁 외에도 카라반사라이, 모스크, 목욕탕 등이 있다. 이들은 왕궁 아래 구시가지에 위치한다.

호텔로 활용되고 있는 쉐키 카라반사라이 
 
쉐키 카라반사라이 외부
 쉐키 카라반사라이 외부
ⓒ 이상기

관련사진보기


쉐키에는 한때 5개의 카라반사라이가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는 두 개만 남아 위쪽(Yukhary) 카라반사라이와 아래쪽(Ashaghy) 카라반사라이라고 불린다. 이들은 18세기에 건립되었으며, 현재 문화유산이면서 동시에 호텔로 활용되고 있다.

카라반사라이는 도적으로부터 상인과 물품을 보호하기 위해 성처럼 지어졌다. 출입구도 성문처럼 작게 만들어졌다. 문 안으로 들어가면 가운데 정원을 중심으로 직사각형의 2층 건물이 사방을 감싸고 있다. 이곳 카라반사라이에는 300개의 방과 창고가 갖춰져 있어, 상인들이 쉬어갈 수 있도록 했다.

가운데 정원에는 옛날 사용되던 물건들이 일부 진열되어 있다. 야자나무와 활엽수를 심어 그늘을 드리우도록 했다. 정원에는 작은 연못을 만들었고, 그 주변으로 의자를 만들어 놓아 이곳을 찾는 사람들이 쉬면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했다.

방 앞으로는 복도를 만들었고, 그 복도에서 가운데 정원을 내려다볼 수 있도록 개방해 놓았다. 그것은 1층 창고에 보관한 물건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정원 남쪽으로는 통로가 있어 후원(後苑)으로 나갈 수 있다. 그곳은 말과 낙타 같은 동물들이 머무는 공간으로 사용되었을 것 같다.
 
쉐키 카라반사라이 내부
 쉐키 카라반사라이 내부
ⓒ 이상기

관련사진보기


아제르바이잔에서 가장 오래된 카라반사라이는 일한국 시대인 14세기 바쿠에 만들어진 물타니(Multani) 카라반사라이다. 15세기 쉬르반샤 왕조 때 부하라(Bukhara) 카라반사라이가 만들어졌다. 18세기 사파비 왕조 때 쉐키에 카라반사라이가 생겼다.

이들은 20세기 들어 기차와 자동차가 보편화되면서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 카라반사라이는 숙박과 창고 기능에서 문화와 관광 기능으로 그 쓰임새가 바뀌게 되었다. 사람들은 이제 문화유산과 호텔로 카라반사라이를 찾는다.

태그:#쉐키, #여름궁전, #카라반사라이, #궁전공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관심분야는 문화입니다. 유럽의 문화와 예술, 국내외 여행기, 우리의 전통문화 등 기사를 올리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