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2030 엑스포 부산 유치 불발과 관련해 대국민 담화를 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2030 엑스포 부산 유치 불발과 관련해 대국민 담화를 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2030 부산세계박람회(부산엑스포) 유치 실패로 윤석열 대통령이 담화문을 통해 "이 모든 것은 전부 저의 부족"이라고 고개를 숙였지만, 여권 내에서는 전 정부가 늦장 대응한 것도 원인이라며 이른바 '문재인 탓' 주장이 흘러나온다. 이를 놓고 야권은 무책임한 태도라고 비판했다.

엑스포 유치전 실패 놓고 "늦장 대응이 원인"

'사우디 리야드 119표 VS 대한민국 부산 29표'라는 처참한 성적표를 받아든 국민의힘 일부는 실패의 원인 중 하나를 지난 문재인 정부에 찾는 모습이다. 김기현 당 대표는 29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외교적 자양분 될 수 있단 성과를 거론하면서도 "뒤늦게 유치전에 뛰어들며 처음부터 불리한 여건으로 시작했다"라고 한계를 함께 짚었다.

이는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 하루 전인 지난 27일 당 최고위에서 한 발언의 연장이다. 그는 당시 "안타깝게도 문 정부의 무관심으로 인해 우리나라가 사우디아라비아에 비해 늦게 출발했다"라고 말했다. 윤재옥 원내대표 역시 "경쟁국인 사우디아라비아보다 1년 늦게 유치전에 나섰다"라고 거들었다. 

'문재인 정부 탓'은 서병수 국회의원의 글과 박형준 부산시장의 입장에서도 반복됐다. 개최지 발표 직후 올린 SNS 글에서 부산엑스포 유치위가 만들어지는 과정부터 설명한 서 의원은 "도합 4년, 문재인 정부가 손 놓고 있는 동안 사우디가 전 세계를 상대로 유치전을 펼쳐 온 결과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박형준 부산시장도 현지에서 낸 입장문을 통해 "무엇보다 엑스포 유치를 국가사업으로 정해놓고도 사우디보다 1년 늦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에야 본격적인 유치전에 나선 점이 뼈아픈 대목"이라고 말했다. 초반 열세를 원인으로 본 앞서 나온 얘기와 비슷한 맥락이다.

반면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 등은 SNS에 "냉정한 분석이 필요하다"라는 취지의 글을 게시했다. 그래야 비슷한 실패를 경험하지 않는다는 말이었다. 미국·일본에 집중한 외교 경향이 안보적으로 맞는다고 해도, 이 대표는 "이런 국제행사 유치에는 불리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라며 다른 시각을 보였다.

여권 안의 '문재인 정부 탓' 주장은 바로 반발에 부딪혔다.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한 탁현민 전 청와대 의전비서관은 "이제 와서 전 정부 탓을 하겠다면 그냥 중요한 국가행사를 맡겨달라" 그러면 성공하는 것으로 보답하겠다"고 김기현 대표 등의 태도를 비꼬았다. 그는 이런 상황이 올 때까지 컨트롤타워가 이를 예상하지 못한 점을 들며 "전반적인 무능이 근본적 원인"이라고 질타했다.

부산 북강서갑의 전재수 민주당 의원은 30일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나와 "일관되게 대역전극을 말하더니 참담하다"라며 "외교 역량의 총체적 붕괴"라고 총평했다. 오판을 가져온 정보·보고 라인, 잼버리 행사 파행, 한반도 군사적 긴장 고조 상황 등의 문제를 잇달아 지적한 그는 "(이번 사태에 대해) 적어도 외교부 장관이라든지 국무총리라든지 이런 분들이 책임을 져야한다"라고 맞받았다.

박성준 민주당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초라하고 무능한 외교력과 정보력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데도 반성하지는 못할망정 뻔뻔하게 지난 정부 책임론을 꺼내며 변명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발끈했다. 그는 "이래서야 윤 대통령의 사과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 언제까지 지난 정부에 책임을 떠밀려고 하느냐"고 반문했다.
 
▲ 29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청사 외벽에 걸려 있던 엑스포 응원 현수막이 철거되고 있다.
 ▲ 29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청사 외벽에 걸려 있던 엑스포 응원 현수막이 철거되고 있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태그:#부산엑스포, #윤석열대통령, #문재인탓,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보성 기자입니다. kimbsv1@gmail.com/ kimbsv1@ohmynews.com 제보 환영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