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쟁기질한 촌로가 소를 몰고 밭을 갈고 있습니다.
조찬현
“이랴~”
“워~ 워~ ”
한 촌로가 소를 몰고 밭을 갈고 있습니다. 봄을 재촉하기라도 하듯이.
찬바람이 매섭습니다. 겨울 추위가 혹독할수록 따스한 봄이 더 기다려지는 법입니다. 겨울햇살이 내리쬐는 지난 16일 오후, 전남 여수 신풍면 구암 마을의 들녘에서 땅심을 돋우기 위해 한 촌로(76·유준석)가 소를 몰고 쟁기질을 하고 있습니다.
쟁기질은 이제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풍경이 아닙니다. 그 풍경을 마주하는 순간 고향의 부모님이라도 뵌 듯 어찌나 반갑던지. 기계화 영농과 주거환경의 변화로 아득한 먼 옛날 추억의 사진을 보는 듯합니다. 풍경과 마주하고 서있는데 문득 옛날 시조 한수가 떠오릅니다.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
소치는 아이는 상기 아니 일었느냐
재 너머 사래 긴 밭을 언제 갈려 하나니조선 후기의 문신 남구만이 봄을 맞이하는 농촌의 풍경을 노래한 시조입니다. ‘해가 떠서 동쪽으로 난 창문이 밝았다. 종달새가 울고 다닌다. 소치는 아이는 아직 일어나지 않았느냐. 재 너머 긴 이랑의 밭을 언제 갈려고 일어나지 않느냐‘ 는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