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현충원 장군묘역에 안장돼 있는 김창룡의 묘
심규상
이들의 김창룡 묘 이장 시위는 올해로 수 년째에 접어들고 있지만 관련기관의 움직임은 미온적이다.
국회는 지난 2006년 시민사회단체들이 반민족행위자에 대해 국립묘지 밖으로 이장이 가능토록 하는 내용의 국립묘지법 개정 청원서를 제출했지만 이를 외면했다.
또 지난 해 4월 '국립묘지법 개정법률안'이 재상정됐지만 이 또한 외면했다.
국가보훈처도 시민단체들의 이장요구에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김창룡 유족 "명예 훼손 당했다" 소송 제기대전민족문제연구소 관계자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국립묘지법을 개정해 반민족행위자들과 반국가 사범들이 모두 국립묘지에서 떠날 때까지 활동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날 대전현충원 앞에서 김창룡의 죄상이 적힌 홍보판을 전시하고 '김창룡묘 이장'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
김창룡 전 특무부대장은 함경남도 영흥 태생으로 ▲ 일제시대 관동군 헌병대 정보원 ▲ 한국전쟁 당시 육군본부 정보원 ▲ 군검경합동수사본부장 ▲ 육군특무부대장 등을 지냈다. 지난 1992년에는 안두희가 김구 선생 암살 당시 '실질적 지령'을 내린 인물로 지목한 바 있다.
한편 김창룡 유족들은 민족문제연구소와 대전지부의 전ㆍ현직 지부장을 상대로 김창룡이 백범 김구선생 암살범이라고 단정해 명예를 훼손당했다며 소송을 제기, 1심에서 패소했으나 항소해 현재 2심 계류중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수학을 통해 사회를 분석한 <오지랖 넓은 수학의 여행>, 역사가 담긴 자전거기행문 <미안해요! 베트남>, <체게바를 따라 무작정 쿠바횡단>, <장준하 구국장정6천리 따라 자전거기행> 출간. 전 대전환경운동연합 의장, 전 민족문제연구소 운영위원장, 현 배재대 명예교수, 피리와 클라리넷 연주자로 활동
공유하기
3·1절 89주년, 김창룡은 여전히 국립묘지에...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