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와 딸식탁에 앉아 아버지를 인터뷰 중인 딸
박유미
"아부지, 이번에 재혼에 대한 기사를 써 보고 싶은데요. 아부지 이야기 써도 돼요?""유미 공주님, 근데 왜 하필 아빠를 써?""왜냐면요, 우리 집이 재혼한 집 중에 제일 행복하니까!""응, 우리 집이 행복하지. 근데 재혼이라고 하지 말고 '다시결혼'이라고 하자."이상은 휴대전화로 이루어진 '아부지'와 '유미 공주님'의 대화 내용이다. 부녀지간으로 보이는 이 둘은 서로 성이 다르다. 아버지는 심씨, 딸은 박씨. 그리고 여기서 '딸'은 바로 나다.
우리 집은 재혼가정이다. 친아버지가 돌아가시고, 다시 지금의 아버지와 내가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맺어진 게 2004년이니, 햇수로 5년째로 접어든 셈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결혼에서 재혼 비율이 22.7%나 된다고 하니 그리 특이한 집만은 아니다. 우리나라 한 해 재혼 건수는 1980년대 1만2000여 건에서 1990년대 들어 2만여 건으로 늘어났고, 지난해에는 4만2000여 건에 달했다. 그러나 재혼가정이 많이 늘어난 만큼 재혼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나 재혼 당사자들의 만족도도 높아졌는지는 의문이다.
특히 자녀와의 관계 정립에서 어려움이 나타난다. 한국결혼문화원의 2007년도 조사에 따르면 '재혼생활의 저해요소 1순위'로 '자녀 관련 문제'를 꼽은 사람이 전체 223명 중 46%인 92명이었다.
필자는 딸과의 관계를 성공적으로 이루고 있는 아버지 심재석씨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었다. 아버지는 재혼에 대해, 가족에 대해 그리고 딸들에 대해 어떤 생각을 지니고 계실까. 인터뷰는 16일 밤 9시, 대전 서구 우리 집 부엌에 놓인 식탁에서 이루어졌다.
"재혼 가정 말고, '다시결혼' 가정이라고 하자"
- 아부지, 아니 지금부터 심재석씨의 인터뷰를 진행하겠습니다."네, 시작해주십시오."
- 먼저 심재석씨께서 '재혼'이 아니라 '다시결혼'이라는 용어를 써달라고 부탁하셨는데 이유가 궁금합니다."'재혼'이라는 말은 불륜이나 돈있는 사람들의 축첩처럼 부정적 의미가 들어있는 부모 세대의 말입니다. 우리가 추구하는 행복한 삶과는 거리가 머니까 우리는 '다시결혼'이라는 새 말을 사용했으면 좋겠습니다."
- 그렇다면 심재석씨의 '다시결혼' 과정을 한 번 소개해 주시죠. "나이를 먹어가면서 혼자 살 수만은 없다고 느껴서 지인들로부터 소개를 받았는데, 마음에 드는 사람이 없다가 부모님 산소에서 정성껏 빌었더니 지금의 '아내'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그 때가 2004년 1월입니다."
- 딸과의 첫 만남은 언제였는지. "그 해 삼일절 즈음이었는데, 집에 놀러갔다가 만났습니다. '이웃집 아저씨처럼 편해 보인다'고 엄마한테 말해줬다고 해서 참 고마웠습니다."
- 딸을 보면서 어떤 느낌이 드셨나요?"저렇게 감성적인 아이를 잘 따르게 할 수 있을까 걱정이 많았지. 어린아이인데 어른인 척 의연해 하는 게 눈에 다 보였어. 자기도 힘들면서 엄마가 원하는대로 하려고 하고."
- 근데 갑자기 반말이 되어버리셨네요?(웃음)"아, 존댓말 계속 하기 힘들어. 그냥 이렇게 하자."
"당연하게 '아빠'라고 불러준 게 큰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