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길도 아침바다보길도 앞바다 멀리 아침 햇살 사이로 전복 양식장이 보인다.
참거래
'전복'이라는 단어를 생각하면 첫 번째 떠오르는 것이 비싸다는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1kg 가격이 보통 8~9만원까지 하기 때문이다. 전복은 전복이라는 이름보다는 환자들을 위한 '전복죽'이 더 유명할 정도로 전복은 건강을 회복하고 지키는 데 최고의 음식으로 꼽힌다. 얼마 전 모 방송에서 완도 전복에 관한 방송이 있었다. 거기서도 연기자들의 대화는 한 결 같다.
"이 귀한 전복을…."
전복은 한때는 보기도 힘든 귀한 음식이었고 지금도 여전히 가난한 서민들에게는 1년에 한 번도 먹기 어려워 서민 식탁에 오르기엔 버거운 식품이다. 하지만 얼마 전 전복의 판로가 어렵고 산지 가격과 소비자의 가격의 차이가 너무 많아 직거래로 판매를 하고 싶다는 전복양식농민의 연락을 받았다. 전복 가격이 산지에서 많이 떨어졌는데 소비자는 여전히 비싼 가격에 구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비싸다는 전복에도 그런 사정이 있을까? 정말일까? 하는 의구심이 들었다. 그래서 직접 전화를 주신 분과 만나보기로 했다.
어민이 살고 있는 곳은 완도군 보길면 예작도라는 작은 섬마을이라고 했다. 예작도를 가기 위해서는 해남 땅끝이나 완도에서 배를 타고 보길도로 가서 다시 배를 타고 들어가 한다.
보길도를 가기 위해 오랜만에 배에 오르니 푸른 바다 남해에서 불어오는 향긋한 바닷바람이 상쾌하게 불어온다. 20여 분쯤 배를 타고 섬에 가까워지자 여기저기 전복양식장이 보인다. 노화도와 보길도에서 완도 전복의 70%가 생산된다고 한다.
전복은 보통 종폐를 넣은 다음 4~5년을 키워 출하를 하게 된다. 그만큼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양식장을 만들고 종폐를 넣는 등 투자되는 돈도 많고 회수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예를 들면 육지의 인삼재배와 비슷하다. 하지만 인삼이 땅에서 하는 것에 비하면 태풍과 파도가 치는 험한 바다에서 전복 양식을 하는 것은 인삼보다 몇 배는 더 어렵다. 이렇게 어렵게 생산된 전복이 비싼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보길도 청별항에서 만난 어민 부부는 생각보다 젊었다. 섬이 좋아서 섬에 살고 바다에서 하는 일이라면 뭐든지 즐겁다는 정수길씨와 그런 남편이 좋아 광주에서 살다 섬 남자와 결혼한 안영은씨의 올해 나이는 34살로 동갑이라고 했다. 젊은 농민을 만나기 어려워서 그런지 젊은 어민을 만나기만 해도 기분이 좋았다. 첫 날은 짧은 인사를 나누고 다음날 바다로 함께 나가보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