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풀어주는 수다아무리 사랑스러운 아내라해도 둘만 보고 있으면 무료하다. 출산 초기는 하는 일도 단순해 쉽게 우울증이 찾아온다. 그 때마다 친구와 이웃들이 찾아와 대화를 나누며 우울증을 극복했다.
주재일
"아침 먹고 땡, 점심 먹고 땡, 저녁 먹고 땡. 창문을 열어보니 비가 오더래. 지렁이 세 마리 기어가더래. 아이고, 무서워 해골바가지~."
큰딸(별·4살)이 어느 날 그림을 그리며 노래를 부른다. 20년 전 내가 부르던 노래를 딸이 부르다니…. 나는 운동장 흙에, 딸은 스케치북에 그린 것 말고는 달라진 게 없다. 반가운 마음에 어디서 배웠는지, 누가 가르쳐주었는지 묻자, 딸은 귀찮은 듯 쳐다보지도 않고 "언니들이"라고 짧게 답한다. 며칠 지나자 나도 이 노래를 부르는 게 아닌가. 청소하거나 빨래할 때 나도 모르는 사이 흥얼거리고 있다. "아침 먹고 땡~"
이 노래가 중독성이 강하기도 하지만, 특히 내 입에 착 달라붙는 이유가 있었다. 육아휴직한 뒤 내 삶이 이 노래와 딱 맞았기 때문이다. 아침에 일어나 밥상 차리고 먹고 치우면 금세 점심 준비할 때가 닥친다. 점심 해치우고 나면 빨래하고 청소하고…, 가끔씩 아내 주전부리 만들어주면 저녁 먹어야 한다. 하루하루 흐를수록 살려고 먹는 건지, 먹자고 사는 건지 헷갈린다.
살려고 먹나, 먹자고 사나그나마 다행으로 여기는 건 아내가 반찬 투정을 하지 않는다는 점. 아내는 예민한 편이지만 국이 맛이 없다느니, 또 같은 반찬 내놓았다느니 하는 소리는 입에 담지 않았다. 일주일 내내 미역국만 끓여주어도 잘 먹는다. 끓이는 나는 금방 질려 미역국 냄새만 나도 싫은데, 아내는 꾹꾹 참고 내가 끓인 미역국을 잘도 먹는다. 다만 밥 때를 놓쳐서는 절대 안 된다(아내는 저혈당이라서 배고프면 힘들어 한다.)
육아휴직하면서 가장 부담스러운 게 밥상 차리는 문제였다. 중학생 때부터 집을 나와 살았지만 할머니 도움을 받거나 사먹었기에 음식을 만든 적이 없었다. 결혼 초기 내가 부엌살림을 못하자 아내는 적지 않게 실망했다.
미역국을 처음 끓일 때였다. 아내가 먼저 미역을 들기름에 볶으라고 하기에, 마른 미역 채 볶았다가 된통 혼났다. "모르면 그럴 수도 있지 뭘 그러느냐"고 대꾸했다가 "어떻게 미역을 불리는 것도 모를 수 있느냐"는 핀잔만 듣고 또 들었다. 삽시간에 소문이 퍼져 동네에서 모여 살고 있는 누나와 형, 아우들이 나를 보고 실실 웃을 때마다 창피했다.
육아휴직하면서 초기에 요리 솜씨가 조금 나아졌지만 두렵기는 마찬가지다. 진간장과 양념간장은 어떻게 다른지, 언제 소금으로 간을 하고 언제 간장으로 간을 하는지, 어떤 요리에는 들기름을 쓰고 어떤 요리에는 올리브유를 넣는지…. 항상 아리송하다.
그렇다고 아내에게 쉽게 물어보기도 어려웠다. "내가 몇 번을 말했어! 아직도 그걸 물어봐?" 하는 말이 돌아온다. 아내는 화가 나지 않았다고 하지만, 내가 듣기에는 목소리가 날카로워지고 끝이 올라가는 게 언짢은 기분이 분명하다. 아마 아내는 내가 한심할 뿐이라고 할 것 같다. 운전은 아내나 남편에게 배우지 말라고 하던데, 요리도 마찬가지다.
그래도 내겐 여전히 어려운 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