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풍해장국제주에서 이름난 해장국, 고추기름으로 인해 육개장스러운 맛이 난다. 하지만 보기보다 자극적이진 않다
맛객
한중일 3국을 대표하는 조리기구는 각각 그 나라의 식문화를 관통한다. 일본의 칼은 사시미를 대변하고 중국의 프라이팬은 볶음요리를 대변한다. 우리의 냄비는 다양한 국물요리를 만들어냈다.
이는 또 각 나라의 자연환경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일본은 섬나라답게 수산물이 풍부하여 자연스레 회 문화가 발달되었다. 중국에서 볶음요리가 발달했다는 것은 그들의 수질이나 토양이 그리 깨끗하지 못하다는 얘기가 된다. 기름 앞에선 웬만한 잡내와 잡맛은 한 수 접고 들어가야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국 문화가 발달하였는데 이는 우리의 수질이 우수하였다는 방증이다. 예로부터 아름다운 금수강산은 달리 있는 말이 아니다. 남한이야 난개발로 인해 그 말이 무색하게 되었지만, 북한의 금수강산은 가히 세계적이라 할 만하다(바위에 새겨놓은 김일성 어쩌고 저쩌고 하는 낙서는 빼고).
이 땅의 맑은 물로 만든 우리의 국 문화는 다양한 음식으로 탄생되었다. 대표적인게 바로 국밥이다. 국밥은 우리의 식문화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국과 밥, 김치가 반드시 구성되는 음식이다. 그래, 우리 식문화의 엑기스라 해도 무리는 아니다.
따라서 국밥은 대한민국 국민들의 정서를 대변한다. 지난 대선에서 모 후보가 국밥 먹는 장면을 광고로 내보낸 것도, 자신의 특권 이미지를 불식시키고 서민의 정서를 파고들기 위해서이다. 가식의 결정판이지만 한편으론 그 정도로 우리 국민과 국밥은, 떼려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를 보여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국밥이라고 다 같은 국밥이 아니다. 각 지역마다 독특한 국밥문화를 형성해왔다. 병천의 순대국밥, 부산의 돼지국밥, 전주의 콩나물국밥, 서울의 해장국 등이 그것이다. 그렇다면 제주의 국밥은 어떨까?